3. 生滅(생멸)의 相(상)

復次分別生滅相者有二種(부차분별생멸상자유이종) 云何爲二(운하위이)

또한 생멸의 양상=生滅相을 분별하는 것에는 두 가지가 있으니, 무엇이 그 둘인가?

[생멸상(緣滅相)이란 마음의 인식에 의하여 생멸하는 ‘모습’]

一者麤(일자추) 與心相應故(여심상응고)

첫째는 거친 번뇌=麤이니, 이러한 추와 더불어 마음이 상응하는 때문이며, 

[마음과 서로 대응하는 생멸의 모습, 지상(智相)·집취상(執取相)·계명자상(計名字相) 등 세 가지 거친 양상은 외경(外境)이 있어 심법(心法)과 상대적으로 호응하기 때문에 거친 분별의 생멸하는 양상]

二者細(이자세) 與心不相應故(여심불상응고) 

둘째는 미세한 번뇌=細이니, 이러한 미세한 것과 더불어 마음이 상응하지 않기 때문이며,

[불상응염심(不相應染心)은 심법(心法)과 외경(外境)이 아직 나뉘어지지 않아 외경이 심법과 더불어 아직은 상대적으로 호응하지 않기 때문에 미세한 생멸양상]

又麤中之麤(우추중지추) 凡夫境界(범부경계)

또 거친 가운데의 거친 번뇌는 범부의 경계이며, 

麤中之細(추중지세) 及細中之麤(급세중지추) 菩薩境界(보살경계)

거친 가운데에서의 미세한 번뇌와 미세한 가운데의 거친 번뇌는 보살의 경계이며,

細中之細(세중지세) 是佛境界(시불경계)

미세한 가운데의 미세한 번뇌는 바로 부처의 경계이다.

 

此二種生滅(차이종생멸) 依於無明熏習而有(의어무명훈습이유)

이 두 가지 생멸은 무명의 훈습에 의지해서 있는 것으로, 

所謂依因依緣(소위의인의연)

이른바 인에 의지하고 연에 의지한다.

依因者(의인자) 不覺義故(불각의고) 依緣者(의연자) 妄作境界義故(망작경계의고)

인에 의지한다는 것은 불각(무명)의 뜻이고, 연에 의지한다는 것은 망령되게 경계를 짓는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若因滅則緣滅(야인멸즉연멸) 因滅故(인멸고) 不相應心滅(불상응심멸)

만약 인(무명인)이 멸하면 연(경계인)도 멸하는 것이니, 인이 멸하였기 때문에 상응하지 않는 마음=不相應心이 멸하고, 

[불상응심이 멸한다고 하는 것은 제8식 아뢰야식을 알아서 견성 하는 것]

緣滅故(연멸고) 相應心滅(상응심멸)

연이 멸하였기 때문에 상응하는 마음=相應心이 멸하는 것이다. 

[인(因)은 주체적인 원인이라면 연(緣)은 비교적 부수적인 것, 인이 멸하면 제8식 불상 응심이 없어지며, 멸한다는것은 결국 아는것과 같은 말.]

問曰(문왈) 若心滅者(약심멸자) 云何相續(운하상속)

문나니, 만약 마음이 멸한다면 어떻게 상속하며? 

若相續者(약상속자) 云何說究竟滅(운하설구경멸)

만약 상속한다면, 마침내 어떻게 멸한다고 말할 수 있는가?

答曰(답왈) 所言滅者(소언멸자) 唯心相滅(유심상멸) 非心體滅(비심체멸)

답하나니, 멸한다고 하는 것은 오직 마음의 현상=心相이 사라짐을 말하는 것이지, 마음의 본체=心體가 멸하는 것이 아니다.

[심상(心相)은 마음이 갖고 있는 모양, 심체(心體)는 마음의 체로 뿌리에 해당]

如風依水而有動相(여풍의수이유동상)

(이를 비유하면) 마치 바람이 바닷물에 의지하여 (파도를) 움직이는 현상이 있는 것처럼,

若水滅者(약수멸자) 則風相斷絶(즉풍상단절) 無所依止(무소의지) 以水不滅(이수불멸)

만약 바닷물이 없어지면 바람의 모습도 끊어져서(사라지니) 의지할 바가(대상이) 없어서 그치겠지만 (파도는 없어지지만), 바닷물이 없어지지 않기 때문에 

風相相續(풍상상속) 唯風滅故(유풍멸고) 動相隨滅(동상수멸) 非是水滅(비시수멸)

바람의 모습이 상속되는 것이다. 오직 바람이 멸하였기 때문에 (물의) 움직임도 따라서 멸하였지만 바닷물이 사라진 것은 아니다.

 

無明亦爾(무명역이) 依心體而動(의심체이동)

무명(근본무명) 또한 그와 같아서 심의 본체=心體에 의지하여 움직이지만, 

若心體滅(약심체멸) 則衆生斷絶無所依止(중중생단절무소의지)

만약 심체가 사라지면 중생도 단절되어 의지할 바 대상이 없지만, 

以體不滅(이체불멸) 心得相續(심득상속)

심체는 멸하지 않으므로 마음이 상속하는 것이며, 

唯癡滅故(유치멸고) 心相隨滅(심상수멸) 非心智滅(비심지멸)

오직 어리석음(무명)만 멸하였기 때문에 마음의 현상=心相도 따라서 멸할지언정, 마음의 지혜=心智가 멸하는 것은 아니다.

 

 4. 染淨熏習(염정훈습)

㉮ 染淨熏習(염정훈습)의 四法(사법)

復次有四種法(부차유사종법) 熏習義故(훈습의고)  

다시 다음에 네 가지 법의 훈습하는 뜻이 있기 때문에 

染法淨法(염법정법) 起不斷絶(기부단절) 云何爲四(운하위사)

염법과 정법이 일어나 단절되지 않으니, 무엇이 그 넷인가?

一者淨法(일자정법) 名爲眞如(명위진여)

첫째 청정한 법=淨法이니, 진여(진여 훈습)라고 하며,

二者一切染因(이자일체염인) 名爲無明(명위무명)

둘째 모든 물듦=一切染의 원인이니, 무명(무명 훈습)이라고 하며,

三者妄心(삼자망심) 名爲業識(명위업식)

셋째 허망한 마음=妄心이니 업식(업식 훈습)이라고 하며,

四者妄境界(사자망경계) 所謂六塵(소위륙진)

넷째 허망한 경계=妄境界이니, 이른바 육진(육진 훈습)이라고 한다.

[근본 무지인 무명이 훈습되는 무명훈습과 제8식 아뢰야식에 물드는 업식 훈습과 안이비설신의 육근의 대상인 육진[색성향미촉법]이 훈습되는 육진훈습이 있습니다. 육진훈습은 대상에 의해 물드는 것입니다. 내 눈을 통해 무언가를 보면 물들고, 귀를 통해 무언 가를 들으면 물듭니다. 제6식, 제7식 훈습이 육진훈습, 제8식 훈습이 업식훈습이 되어 그 뿌리가 무명훈습]

 

㉯ 熏習(훈습)의 뜻

熏習義者(훈습의자) 如世間衣服(여세간의복) 實無於香(실무어향)

훈습의 뜻이란, 마치 세간의 의복과 같아서, 실제로는 향기가 없지만,

若人以香而熏習故(야인이향이훈습고) 則有香氣(즉유향기)

만약 사람이 향기를 쐬면(향기를 훈습하면), 곧 향기가 있는 것과 같다.

此亦如是(차역여시) 眞如淨法(진여정법) 實無於染(실무어염)

이 또한 그와 같아서, 진여 정법에는 실로 물듦(염법)이 없지만, 

但以無明而熏習故(단이무명이훈습고) 則有染相(즉유염상)

다만 무명으로서 훈습한 까닭에 물든 현상=染相이 있게 된다.

 

無明染法實無淨業(무명염법실무정업)

무명의 염법에는 실제로 정화시키는 활동력=정업이 없지만

但以眞如而熏習(단이진여이훈습) 故則有淨用(고즉유정용)

다만 진여로써 훈습한 까닭에 곧 청정한 작용=淨用(정업의 작용)이 있다.

[훈습(熏習)= 자기의 힘을 다른 상대에게 옮겨 실어주는 것으로, 상대를 자기와 동화시키는 작용. 일반적으로 ‘냄새가 옷에 밴다.’, ‘꽃을 만진 손에는 꽃향기가, 마늘을 만진 손에는 마늘 냄새가 밴다.’ 등의 비유를 통해서 널리 알려져 있다.

즉 지금까지 없었던 습성(習)이 계속 되풀이함에 따라 자기의 습성이 되어 영향을 주는 것. 경험을 되풀이하면 습관성이 된다. 그 습관성을 외래적인 것으로 보고 훈습이라고 한다.]

 

㉰ 染法熏習(염법훈습)

云何熏習(운하훈습) 起染法不斷(기염법부단)

어떻게 훈습하여 염법을 일으켜 단절하지 않는다고 하는가?

所謂以依眞如法故(소위이의진여법고) 有於無明(유어무명)

이른바 진여법에 의지하기 때문에 무명이 있고, 

以有無明染法因故(이유무명염법인고) 卽熏習眞如(즉훈습진여)

무명에 염법의 원인=染法因이 있기 때문에 곧 진여를 훈습하며, 

[무명염법인(無明染法因)= 무명이라는 염법의 인(因). 무명이 다른 염법의 인(因)이 되는 것으로서, 이 활동이 무명훈습이다.]

以熏習故則有妄心(이훈습고즉유망심)

훈습하기 때문에 곧 허망한 마음=妄心이 있게 된다.

[여기서 망심이란 업식을 말하니 아리야식이 일어남을 말한다.] 

以有妄心(이유망심) 卽熏習無明(즉훈습무명)

망심이 있음으로 해서 곧 무명을 훈습하며, 

不了眞如法故(불료진여법고) 不覺念起(불각념기) 現妄境界(현망경계)

진여법을 완전히 알지 못하기=不了 때문에 불각의 망념(轉識)을 일으켜 허망한 경계=妄境界(경계상)를 나타낸다.

[무명은 훈습을 가하는 능훈(能熏)이고, 진여는 훈습을 받는 소훈(所熏)이며, 그 결과는 망심(妄心)]

以有妄境界染法緣故(이유망경계염법연고) 卽熏習妄心(즉훈습망심)

허망한 경계의 염법의 반연이 있기 때문에 곧 허망한 마음을 훈습하여, 

令其念著造種種業(령기념착조종종업) 受於一切身心等苦(수어일체신심등고)

그것으로 하여금 생각하고 집착하게 하여(제7식을 일으키어), 갖가지 업(의식)을 지으며, 일체 몸과 마음=身心의 괴로움(과보)을 받게 된다.

[令其念著 제칠식을 일으키는 것, 造種種業은 의식을 일으키는 것, 受於一切身心等苦란 과보를 받는 것]

 

 ㄱ. 妄境界熏習(망경계훈습)

此妄境界熏習義(차망경계훈습의) 則有二種(즉유이종) 云何爲二(운하위이)

이 허망한 경계=妄境界 훈습의 뜻에는 두 가지가 있으니, 무엇이 그 두 가지인가?

一者增長念熏習(일자증장념훈습) 二者增長取熏習(이자증장취훈습)

첫째 망령된 생각을 증장하는 훈습=增長念熏習이며, 둘째 집착심을 증장하는 훈습=增長取熏習이다

[증장념훈습=망경계의 힘에 의하여 지식(智識)과 상속식(相續識)의 세력을 강화하여, 법집의 분별의 념을 증장시키는 것.
증장취훈습=망경계의 힘에 의하여 집취상(執取相)과 계명자상(計名字相)의 아집의 힘을 강화하여, 취착(取著)을 증장시키는 것]

 

 ㄴ. 妄心熏習(망심훈습)

妄心熏習義(망심훈습의) 則有二種(즉유이종) 云何爲二(운하위이)

망심이 훈습한다는=妄心熏習의 뜻에 두 가지가 있으니, 무엇이 그 두 가지인가?

[망심(妄心)= 업식(業識) 등의 삼세(三細)와 지식, 상속식 등의 의(意)와 의식(意識, 분별사식) 등 모든 식]

一者(일자) 業識根本熏習(업식근본훈습)

첫째 업식근본훈습이니, 

能受阿羅漢(능수아라한) 辟支佛一切菩薩生滅苦故(벽지불일체보살생멸고고)

능히 아라한과 벽지불과 일체의 보살이 생멸의 괴로움을 받는 때문이며,

二者(이자) 增長分別事識熏習(증장분별사식훈습) 能受凡夫業繫苦故(능수범부업계고고)

둘째 증장분별사식훈습이니, 능히 범부가 업에 얽매여 괴로움을 받기 때문이다.

[業識根本熏習 : 업식이 무명을 훈습하여 전상(轉相)과 현상(現相)을 일으키는 것(아리야식).
增長分別事識熏習 : 망경계가 지말무명(枝末無明)을 훈습하여 말나식과 의식을 일으켜, 견사이혹(見思二惑)을 일으키고 심업(心業)과 신업(身業)·구업(口業)의 갖가지 업(業)을 지어 육도의 범부가 그 업에 얽매어 분단생사(分段生死)의 괴로움을 받는다. 견사이혹이란 사물의 이치를 몰라 일어나는 견혹(見惑)과 대상에 집착하는 사혹(思惑)을 말한다

여기서는 증장(增長)을 훈습(熏習)으로 표현한 것]

 

 ㄷ. 無明熏習(무명훈습)

無明熏習義(무명훈습의) 有二種(유이종) 云何爲二(운하위이)

무명이 진여를 훈습하는=無明熏習의 뜻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으니, 무엇이 그 두 가지인가?

一者(일자) 根本熏習(근본훈습) 以能成就業識義故(이능성취업식의고)

첫째 근본훈습이니, 능히 업식을 이루게 한다는 뜻인 까닭이며. (업식으로 成就한다는 뜻인 까닭이며)

[근본무명불각이 진여를 훈습하는 근본훈습(根本薰習)으로 인해 진여를 움직여 업식을 이루게 한다.]

二者(이자) 所起見愛熏習(소기견애훈습) 以能成就分別事識義故(이능성취분별사식의고)

둘째 소기견애훈습=견애훈(見愛熏)이니, 능히 분별사식을 이룬다=成就한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 淨法熏習(정법훈습) - 본훈(本熏)= 진여가 무명을 훈습하는 것. 본훈(本熏)= 진여가 무명을 훈습하는 것

云何熏習(운하훈습) 起淨法不斷(기정법부단)

어떻게 훈습하여 청정한 법=淨法을 일으켜 끊어지지 않게 하는가?

所謂以有眞如法故(소위이유진여법고) 能熏習無明(능훈습무명)

이른바 진여법이 있기 때문에 진여가 능히 무명을 훈습하는 것이며, 

以熏習因緣力故(이훈습인연력고) 則令妄心厭生死苦(즉령망심염생사고) 樂求涅槃(요구열반)

훈습한 인과 연의 힘에 의하여 곧 허망한 마음=妄心으로 하여금 생사의 괴로움을 싫어하게 하고, 열반을 즐겨 구하게 한다.

 

以此妄心有厭求因緣故(이차망심유염구인연고) 卽熏習眞如(즉훈습진여)

이 허망한 마음=망심에 (생사를) 싫어하는 인연이 있기 때문에 (열반을 구하는 인연이 있기 때문에) 곧 진여를 훈습하여, 

[염구심(厭求心)은 훈습을 가하는 능훈(能熏)이고 진여는 훈습을 받는 소훈(所熏)이며, 그 결과는 수행(修行)이다]

自信己性(자신기성) 知心妄動無前境界(지심망동무전경계) 修遠離法(수원리법)

스스로 자기 성품(본성)을 믿어, 마음이 헛되게 움직이는=妄動하지만, 목전의 경계가 없음을 알아, 멀리 여의는 법을 닦아 행한다.

[以此妄心有厭求因緣故~自信己性이라는 것은 십신위 중의 신(信), 知心妄動無前境界 修遠離法이라 한 것은 삼현위 중의 수행을 나타낸 것이다. (三賢 : 십주, 십행, 십회향).]

以如實知無前境界故(이여실지무전경계고) 種種方便起隨順行(종종방편기수순행)

목전에 나타나는 경계가 없음을 여실히 알기 때문에 갖가지 방편에 수순하여 수행을 일으켜,

[ 以如實知無前境界故는 초지의 견도(見道)에서 유식관이 이루어짐을 밝힌 것, 種種方便起隨順行 ~ 久遠熏習力故는 십지의 수도위 중에서 만행(萬行)을 닦음을 나타낸 것]

不取不念(불취불념) 乃至久遠熏習力故(내지구원훈습력고) 無明則滅(무명즉멸)

취하지도 않고, 망념을 내지도 않으며, 나아가 오랫동안 훈습한 힘에 의하여 무명이 곧 사라지게 된다.

[無明則滅이하는 다섯 번째 과지에서 열반을 증득함을 나타낸 것]

以無明滅故(이무명멸고) 心無有起(심무유기) 以無起故(이무기고) 境界隨滅(경계수멸)

무명이 멸하였기 때문에 마음에 일어나는 것이 없으며, 일어남이 없기 때문에 경계가 따라서 멸하며, 

以因緣俱滅故(이인연구멸고) 心相皆盡(심상개진) 名得涅槃成自然業(명득열반성자연업)

인과 연이 함께 멸하였기 때문에 마음의 모양=心相이 모두 다하여, 열반을 얻게 되어 자연업(부처의 행)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불과위(佛果位)에서 무명을 끊어 가는 차제를 밝혔음]

 

ㄱ. 妄心熏習(망심훈습) - 망심에 대한 진여(眞如)의 정화작용, 즉 정용(淨用)이 나타나는 것

妄心熏習義有二種(망심훈습의유이종) 云何爲二(운하위이)

망심훈습의 뜻에는 두 가지가 있으니, 무엇이 그 두 가지인가?

 

一者(일자) 分別事識熏習(분별사식훈습) 依諸凡夫二乘人等(의제범부이승인등)

첫째는 분별사식훈습이니, 모든 범부와 이승의 사람들이 

[분별사식은 의식(意識)의 이명(異名), 이 식(識)은 마음에 인식되는 어느 개체가 그대로 외계의 실재라고 분별하는 것, 분별이란 제7식 말라식]

厭生死苦(염생사고) 隨力所能(수력소능) 以漸趣向無上道故(이점취향무상도고)

생사의 괴로움을 싫어하고, 능력에 따라 수행할 수 있는 한도 내에 의지해서 점차 무상의 도로 나아가기 때문이다.

 

二者(이자) 意熏習(의훈습) 謂諸菩薩發心勇猛速趣涅槃故(위제보살발심용맹속취열반고)

둘째, 의훈습(업식훈습)이니, 이른바 모든 보살들이 발심하여 용맹하고 신속히 열반에 나아가는 것을 말하는 까닭이다.

[의(意)는 업식(業識), 전식(轉識), 현식(現識), 지식(智識) 및 상속식(相續識)의 오식(五識)을 말하는 것으로서, 의훈습(意熏習)은 이 5식에 가해지는 진여의 정화작용(淨用)을 말한다.]

'대승기신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승기신론 7  (1) 2023.01.25
대승기신론 6  (0) 2023.01.24
대승기신론 4  (1) 2023.01.23
대승기신론 3  (1) 2023.01.23
대승기신론 2  (3) 2023.01.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