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hayana is known as 'the Great Vehicle' because of its great motivation of cultivating love and compassion equally for all living beings. It is often associated with Zen Buddhism and the Pureland tradition, but is also the inner heart of Tibetan Buddhism. Mahayana is the path of the bodhisattva, who sees the emptiness of all phenomena and who aspires to free all living beings from suffering and lead them to complete enlightenment. The bodhisattva does this by cultivating great compassion.

대승은 적극적으로 일체의 생이 있는 존재에 대하여 평등히 고결한 자비심과 연민심을 배양하는 때문에 ‘거대한 탈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것은 종종 선 불교와 정토신앙과 결부되기도 하나, 그러나 또한 티벳 불교의 심장이다. 대승은 보살의 길이며, 보살은 모든 현상계를 공한 것으로 보고 모든 살아있는 존재를 고통으로부터 해방시키고자 갈망하여 그들을 완전한 깨달음으로 인도한다. 보살은 대자비심을 길러내어 이러한 일을 한다.

 

be associated with ...와 관련되다

aspire 1.       열망하다2.     갈망하다3.     바라다

 

The discipline of Buddhism known as Mahayana Buddhism is one of two of the great subdivisions of the Buddhist religion, the other being known as the Theravada School. The main point of the two divisions come from the point of origination of the school. The Mahayana discipline originated in India.

대승 불교로 알려진 불교를 수련(공부)하는 것은 불교라는 종교에서 아주 세분화된 부분 중의 하나로, 다른 부분은 소승으로 알려져 있다. 중심적인 요점의 두 파는 학교의 기원으로부터이다. 대승 수양은 인도에서 시작되었다  

   

Subdivision 1.  세분2. 재분할3.         세분화된 것

 

The word Mahayana refers to the idea of seeking enlightenment in order to help all sentient beings. It is also called the Bodhisattva Vehicle, or simply Bodhisattvayāna. From its inception in India, Mahayana teachings have spread to a number of other Asian countries, including Nepal, Korea, Japan, Mongolia, China, Singapore, and Vietnam. Based upon the new influences of these cultures, today the Mahayana teachings have been divided into many different sub schools, including Tibetan Buddhism, Shingon, Zen / Chan, and Pure Land.

대승이라는 말은 모든 지각이 있는 존재를 도위기위해 깨달음을 추구한다는 개념으로 나타낼 수 있다. 그것은 또한 보살의 탈 것, 또는 보살승이라 한다. 인도에서 시작되어, 대승의 가르침은 네팔을 포함하여 한국, 일본, 몽고, 중국, 싱가폴 그리고 베트남 등의 아시아 국가들에 전파도었다. 이러한 새로운 문화적 영향을 바탕으로, 오늘 날 대승의 가르침은 티벳 불교를 포함한, 싱곤, 선 / 찬, 정토 등의 여러 세분된 교육으로 나뉘어져 있다.

 

Vehicle 1.(발음에 주의) (주로 격식)2.(자동차·버스·트럭 등 보통 육상의) 운반 수단3.전달 수단(전파·음파 등)4.은유(隱喩)의 주어가 비유되는 사물 또는 개념5.(약을 먹기 쉽게 하기 위한) 부형제(賦形劑)

Bodhisattvayāna 보디삿뜨바야나,  보살승

Inception 1.      인셉션2.         처음3. 시작4. 설립5. 초기

 

Mahayana Buddhism History 대승불교의 역사

There is much debate about the origins of Mahayana Buddhism, with some scholars believing it rose in competition to the established schools of Hinayana. Others believe that it was created as a layperson response to the established schools of the time, which tended to be exclusive to the religious elite. Early interpretations of the Mahayana doctrine by its students was taken very literally, with many living out the ideals of living life as a monk in the wilderness.

대승 불교의 발생에 대하여 많은 논쟁이 있는데, 어떤 학자들은 정착된 소승 불교에 대적하기 위하여 일어났다고 믿고. 다른 학자들은 소승이 정착된 시기에 배타적인 경향이 있는 종교적인 엘리트들에게 일반 신도들이 대응하기 위하여 형성되었다고 믿는다. 초기에 해석된 대승의 교리는 그것을 믿는 학자들에 의해 문자 그대로 받아들여져서, 대다수가 황야에서 승려로서 이상적인 삶을 살았다

 

debate  1.        논쟁2. 토론3. 논의4. 토의5. 심의

established  1.설립된2.정해진3.자리를 잡은4.정착된5.시작된

tend to 1. 경향이 있다2. 경향을 가지고 있다

exclusive 1. 배타적인2. 독점적인3. 전일(專一)의4. 독점 기사5. 배타적인 사람

literally 1. 축어적으로2. 글자 뜻대로3. 한마디 한마디4. 엄밀한 의미로5. 과장 없이

 

Mahayana Buddhism 대승불교 – BBC

Mahayana Buddhism is strongest in Tibet, China, Taiwan, Japan, Korea, and Mongolia.

Mahayana Buddhism is not a single group but a collection of Buddhist traditions: Zen Buddhism, Pure Land Buddhism, and Tibetan Buddhism are all forms of Mahayana Buddhism.

대승불교는 티벳, 중국, 대만, 일본 한국 그리고 몽고에서 강세이다.

대승불교는 단일 계통이 아닌, 전통적인 불교의 집합으로; 선불교, 정토 불교, 그리고 티벳 불교들이 대승을 형성한다.

 

not A but B A가 아니고 B. It is not red, but black. 붉은 것이 아니고 검은 것이다

 

Theravada and Mahayana are both rooted in the basic teachings of the historical Buddha, and both emphasise the individual search for liberation from the cycle of samsara (birth, death, rebirth...). The methods or practices for doing that, however, can be very different.

소승 불교와 대승 모두 역사적인 부처의 가르침에 근거하여 뿌리를 내린, 그리고 양쪽 모두 윤회의 (탄생, 죽음, 재 탄생….) 굴레에서의 해방을 각 개인이 탐구할 것을 중요시하고 있다. 그것을 위한 방법 또는 수련은, 그러나, 크게 다를 수 있다.

 

Theravada소승 불교(Hinayana)

be rooted in 1. ~에 원인이 있다2. ~에 뿌리박고 있다

emphasis  1.    강조2. 중점3. 중요4. 중시5. 주안점

 

The Bodhisattva 보살

Mahayana talks a great deal about the bodhisattva (the 'enlightenment being') as being the ideal way for a Buddhist to live. Anyone can embark on the bodhisattva path. This is a way of life, a way of selflessness; it is a deep wish for all beings, no matter who they are, to be liberated from suffering.

대승은 불교적인 삶의 이상적인 길을 위한 보살(깨달음을 성취한 사람)에 관하여 상당히 많이 가르친다

누구든지 보살의 길에 나아갈 수 있다. 이타적인 삶, 이러한 방법의 삶; 그들이 누구이든 관계없이, 그들은 고통으로부터 해방되고자 하는 모든 존재를 위해 간절히 소망한다.  

 

Embark 1.        탑승하다2.      시작하다3.      배를 타다

Selflessness 1. 무사2. 무욕

 

The Boddhisattva Vow 보살의 사홍서원 

However innumerable sentient beings are, I vow to save them.

 중생무변서원도(衆生無邊誓願度) : 가없는 중생을 다 건지오리다.

However inexhaustible the defilements are, I vow to extinguish them.

번뇌무진서원단(煩惱無盡誓願斷) : 끝없는 번뇌를 다 끊으오리다.

However immeasurable the dharmas are, I vow to master them.

법문무량서원학(法門無量誓願學) : 한없는 법문을 다 배우오리다.

However incomparable enlightenment is, I vow to attain it.

불도무상서원성(佛道無上誓願成) : 위없는 불도를 다 이루오리다

 

The Trikaya - the three bodies of Buddha 부처님의 세가지 몸3신불(三身佛)

Mahayana Buddhism says that there are three aspects of Buddhahood, which it describes by regarding Buddha as having three bodies (trikaya):

대승 불교에서는 세가지 형태의 부처님을 주장하는, 즉 부처님께서는 3가지의 몸을 가진 것으로 묘사하고 있다.

Dharmakaya: Buddha is transcendent - he is the same thing as the ultimate truth.

법신(法身); 초월하신 부처님- 부처님은 지극한 진리 그 자체이며

Sambhogakaya: Buddha's body of bliss, or enjoyment body.

보신(報身); 부처님의 몸은 축복, 또는 환희의 몸이며

Nirmanakaya: Buddha's earthly body - just like any other human being's body.

응신(應身); 지상(이 세상)의 부처님 몸- 그저 보통의 다른 사람들과 같은 몸

 

Aspect 1.양상2.용모3.국면4.방향5.성위(星位)

Transcendent 1.           초월적인2.      탁월한 사람3. 이해가 안 가는 사람

'영문으로 읽는 불교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업 Karma  (0) 2022.08.17
보살(菩薩) Bodhisattva  (0) 2022.08.15
영어 사무량심(四無量心)  (0) 2022.08.13

ⓐ Karma (Sanskrit: कर्म, Pali: kamma) in Sanskrit means an action, work, or deed,

and its effect or consequences.

카마(산스크리스트  कर्म,  팔리어: kamma)는 산스크리스트로 활동, 작업, 또는 행위, 그리고 그로 인한 결과들이다.

 

In Indian religions, the term more specifically refers to a principle of cause and effect, often descriptively called the principle of karma, wherein intent and actions of an individual (cause) influence the future of that

individual (effect): Good intent and good deeds contribute to good karma and happier rebirths, while bad

intent and bad deeds contribute to bad karma and bad rebirths.

인도의 종교들에서, 그 조건을 인과 관계의 원리로 좀더 구체적으로 언급할 수 있으며, 종종 서술적으로 카마의 원리라고도 말하며, 개인의 의도적인 행위(원인, 인)가 미래의 그 개인에게 영향을 미치는(과보, 과): 나쁜(악한, 불선不善)의도의 나쁜(악한, 불선不善)의 행위가 악업과 악한 환생을 초래하는 반면, 좋은(선함, 착함) 의도의 좋은 행위(실행)는 선업(善業)과 보다 나은 환생의 결과를 초래한다. 

 

cause-and-effect 1. 원인과 결과의2. 인과 관계의

effect 1. (원인에 대한) 결과2. (법률·규칙 등의) 발효3. 효과4. …을 (결과로서) 초래하다5. 가져오다

principle 1. 원리2. (principles) 주의3. (보통 principles) 절조4. (물건의) 결정적 특질5. 소(素)

descriptively 1. 서술하여2. 기술적으로

contribute 1. 기부하다2. 기고하다3. 기여하다4. 주다5. 도움이 되다

기본happy 비교급happier 최상급happiest

intent  1.의향2.의미3.의도4.취지5.의사


The concept of karma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idea of rebirth in many schools of Indian religions

(particularly Hinduism, Buddhism, Jainism and Sikhism), as well as Taoism. In these schools,

karma in the present affects one's future in the current life, as well as the nature and quality of future

lives—one's saṃsāra. This concept has also been adopted in Western popular culture, in which the events

which happen after a person's actions may be considered natural consequences.

개념적으로 카마는 인도의 많은 종교적 교육에서 밀접하게 환생 사상으로 바로 연상되는 것은, (특히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와 시키교에서), 도교 사상과 마찬가지이다. 그러한 교육기관들에서, 현재의 카마는 개인의 현생의 삶이 장래(미래)에 영향을 기치며, 마찬가지로 그 개인의 윤회에서- 장래 삶의 본질과 특성(지위, 신분)에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개념(사상)은 서양세계의 일반적인 문화에 도입되어서, 발생한 사건은 그 사람의 행위에 따른 자연스런 결과에 따른 것으로 간주하고 있다. 

 

affect  1.영향을 주다2.작용하다3.감염시키다4.…체하다

closely 1. 밀접하게2. 빈틈없이3. 면밀하게4. 검소하게5. 호각으로

associate 1. 연결지어 생각하다2. (보통 수동태 또는 재귀 용법) 제휴시키다3. 결합시키다4. 제휴하다5. 사귀다

adopted  1.채택된2.입양된3.도입4.사용한5.규정

onsider 1. 고려하다2. 생각한다3. 여기다4. 평가되다5. 간주하다

 

Definition 정의
The term karma (Sanskrit: कर्म; Pali: kamma) refers to both the executed 'deed, work, action,

act' and the 'object, intent'.
카마의 정의는 대상, 의도와 행동, 작용, 작업, 행위로 집행하여진 두가지의 면 모두를 말한다

 

execute 1. 처형하다2. 집행하다3. 만들어내다4. 발효시키다

Wilhelm Halbfass (2000) explains karma (karman) by contrasting it with the Sanskrit word kriya: whereas

kriya is the activity along with the steps and effort in action, karma is

(1) the executed action as a consequence of that activity, as well as

(2) the intention of the actor behind an executed action or a planned action (described by some scholars

as metaphysical residue left in the actor). A good action creates good karma, as does good intent.

A bad action creates bad karma, as does bad intent.

윌헴 할파스(2000)은 카마(업적인 것)는 산스크리스트의 '키리야'와 대조적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키리야는 단계와 노력을 따른 행위의 활성도인 반면, 카마는 (1) 그 활동(행위)의 결과로써의 집행된 행위(작용), 뿐만 아니라 (2) 그 집행된 행위 또는 계획된 행위의 이면의 행위자의 의도 (행위자에게 남겨진 형이상학적인 잔여물이라고 어떤 학자는 묘사하였다) 

선한(좋은) 의도가 그러하듯이, 선한 행위는 선업을 낳고, 

악한(나쁜) 의도가 그러하듯이, 나쁜 행위는 악업을 낳는다.

 

contrast 1. 대조를 이루다2. 대조적이다3. 대조로 돋보이다

along with ‥1. …과 함께2. …과 (의견 등이) 일치하여

activity 1. 활동2. 활기3. 행위4. (용액·혼합 기체 성분의) 활성도5. (미) 조직체 

metaphysical 1. 형이상학의2. 추상적 사고에 관한3. 형이상학파의4. (구어) 극히 추상적인5. 근본 원리에 관한

residue 1.(격식) 나머지2.잔기(殘基)3.유산의 잔여 부분4.잉여5.잔여

Difficulty in arriving at a definition of karma arises because of the diversity of views among the schools of

Hinduism; some, for example, consider karma and rebirth linked and simultaneously essential, some consider

karma but not rebirth to be essential, and a few discuss and conclude karma and rebirth to be flawed fiction.

Buddhism and Jainism have their own karma precepts. Thus, karma has not one, but multiple definitions

and different meanings. It is a concept whose meaning, importance, and scope varies between the various

traditions that originated in India, and various schools in each of these traditions. Wendy O'Flaherty claims

that, furthermore, there is an ongoing debate regarding whether karma is a theory, a model, a paradigm,

a metaphor, or a metaphysical stance.

힌두교 학부들 사이의 다양한 견해로 인하여 카마의 발생(일어남)에 대한 정의에 도달하기가 어렵다. 

어떤 이들은, 예를 들자면, 카마와 환생은 연계되어 본질적으로 동시발생적이라고 고려하며, 

어떤 이들은 카마일 뿐 환생과 연계되지 않은 것이 본질적이라고 고려하고,

또한 소수는 카마와 환생은 결함이 있는 가상이라고 결론내리고 논의한다.

불교와 자이나교는 그 나름대로의 교리를 가진다

그러므로, 카마는 하나가 아닌, 다양한 정의와 차별된 의미들을 가진다 

그것은 인도에서 유래한 다양한 관습, 그리고 이러한 각각의 다양한 관습(전통)에 따른 학교들 간에서 그 개념의 의미, 중요성, 그리고 설정한 범위에 따라 차별하다.

웬디 오프라허티는, 더욱이, 카마는 학설인지, 논설인지, 패러다임인지, 은유 또는 형이상학적인 입장인지에 대한 논쟁은 진행되고 있다고 주장한다.

 

simultaneously 1. 동시에2. 일제히

essential  1.(생활·일의) 필수품2.불가결한 요소3.특질4.불가결한5.(한정적) 본질적인

flawed 1. 결점이 있는2. 금이 간

fiction  1.소설 문학2.(개개의 작품을 지칭하여) 소설3.꾸며낸 일4.(논의·설명을 위해 가정한) 상상적인 것5.의제(擬制)

precept 1. 교훈2. 격언3. 가르침

thus 1. 따라서2. 그렇게3. 현재까지4. 그렇기 때문에

multiple  1. 다_2. 다수의3. 여러4. 복합적인5. 다양한

vary 1. …의 (모양·외관·성질·실질을) 바꾸다2. …을 (다른 것과) 다르게 하다3. 변곡하다4. 갖가지이다5. 바뀌다

scope  1. 범위2. 영역3. 한계4. 여지5. 살펴보다

debate  1.논의2.숙고3.(the debates) 의회의 의사(議事) 보고서4.논의하다5.숙고하다

paradigm 1. 어형 변화예2. (격식) 패러다임3. 모범4. 이론적 테두리(어떤 시대·분야에서의 특징적인 사고 방식·인식의 틀)5. 전형적인 예

stance 1. 입장2. 자세3. 태도4. 전망5. 노선


Principle of karma 카마의 원리
Karma also refers to a conceptual principle that originated in India, often descriptively called the principle of

karma, and sometimes the karma-theory or the law of karma.

In the context of theory, karma is complex and difficult to define. Different schools of Indology derive different

definitions for the concept from ancient Indian texts; their definition is some combination of

(1) causality that may be ethical or non-ethical;

(2) ethicization, i.e., good or bad actions have consequences; and

(3) rebirth. Other Indologists include in the definition that which explains the present circumstances of

an individual with reference to his or her actions in the past. These actions may be those in a person's

current life, or, in some schools of Indian traditions, possibly actions in their past lives; furthermore,

the consequences may result in the current life, or a person's future lives. The law of karma operates

independent of any deity or any process of divine judgment.
또한 카마는 인도에서 유래한 개념적인 원리로 주장되는데, 묘사적으로 카마의 원리, 그리고 가끔 카마의 법 또는 카마의 이론이라고 자주 불리워진다.

이론적인 면으로, 카마는 정의하기가 복잡하고 어렵다. 

각각의 인도 학교들은 인도의 고어 문장의 개념(문맥의 맥락)의 정의를 다르게 유추하여서,; 그들의 정의들은 이하의 내용들이 복합된 것으로 (1) 원인은 도덕적(선) 또는 도덕적(악)이 아닐수도 있으며 (2) 윤리성을 부여한, 예를 들면 선의 또는 악의적인 행위들에 따른 결과를 가지는; 그리고 (3) 환생, 다른 인도학자들은 한 개인의 현재의 환경(이 생에서의 주변환경)은 그 또는 그녀의 지난 과거세를 나타낸다는 설명의 정의를 내포한다.

이러한 행위들은 아마도 그 개인의 현생의 삶일 수도 있고, 또는, 소수의 인도의 전통적인 학교는, 그들의 행위들은 그들의 과거세의 생들일 가능성이 있을 수도 있으며; 더욱이, 그에 따른 결과는 현생의 삶으로 귀결될 수 있으며, 또는 개인의 장래의 삶으로 귀결 될 수도 있나.

카마의 법칙은 어떠한 신성(절대자) 또는 신성적인 심판의 과정으로부터 독자적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conceptual 1. 개념의2. 개념 형성의

Indology 인도학

derive 1.유래하다2.나오다3.이끌어 내다4.연역(演繹)하다5.유도하다

causality 1. 인과 관계2. 원인 작용3. 인과성4. 작인(作因)

ethical 1. 처방전 없이는 판매할 수 없는 약2. 윤리적인3. 처방전 없이는 판매할 수 없는4. 윤리의

ethicize 1. …에 윤리성을 부여하다2. 윤리적으로 다루다

circumstance  1. 상황2. 환경3. 경우4. 사정5. 여건

consequence  1. 결과2. 영향3. 중요성4. 성과5. 대가

independent  1. 독립한2. 무소속의3. 독자적인4. 자유의5. 자주의

divine judgment 신의 심판

deity 1. 신2. 신성(神性)3. (격식) (the Deity) 절대자4. 신으로서 숭배되는 사람5. 여신


Causality 인과성
Karma as action and reaction: if we show goodness, we will reap goodness.
A common theme to theories of karma is its principle of causality. This relationship between karma and

causality is a central motif in all schools of Hindu, Buddhist, and Jain thought.

One of the earliest association of karma to causality occurs in the Brihadaranyaka Upanishad of Hinduism.

카마, 작용과 반작용으로써: 만약 우리가 미덕을 보이면, 우리는 미덕을 거두게 될것이다.

보통의 상식적인 주제로서의 카마는 그것의 인광성의 원칙이다. 카마와 인과성간의 관련성은 불교, 힌두교와 자이나교의 모든 학교에서의 핵심적인 주제이다.

초기의 인과성에 대한 카마의 관념 중의 하나는 힌두교의 브리하다라니카 우파니샤드에서 나타나 있다. 

 

causality 1. 인과 관계2. 원인 작용3. 인과성

reap 1. 이익을 얻다2. 거둬들이다

goodness  1. 선량2. 어머나3. 다행이다

theme 1.주제2.(미) 소논문3.(악곡의) 주제4.어간5.제목

motif 1. 주제2. 동기3. 문양

occur  1. 발생하다2. 일어나다3. 생기다4. 나타나다5. 발견되다

 

For example, at 4.4.5–6, it states:
Now as a man is like this or like that,
according as he acts and according as he behaves, so will he be;
a man of good acts will become good, a man of bad acts, bad;
he becomes pure by pure deeds, bad by bad deeds;

예를 들자면, 4.4.5-6에서, 정의하기를;

지금의 이 사람은 이와 같거나 또는 저와 같다

그가 행위함에 따라 그리고 그가 처신함에 따라, 그렇게 되리라.

좋은 행위를 한 사람은 선할 것이고, 나쁜 행위를 한 사람은 나쁠 것이라;

그는 순수한 행동으로 비롯하여 순수하여 지고, 나쁜 행동으로 나쁜사람이 되리라.

 

behave  1. 행동하다2. 처신하다3. 작용하다


And here they say that a person consists of desires,
and as is his desire, so is his will;
and as is his will, so is his deed;
and whatever deed he does, that he will reap. - — Brihadaranyaka Upanishad, 7th century BCE

그러므로 말하기를 사람은 욕망으로 가득차 있나니,

그의 욕망하는 대로, 그의 뜻을 이룰 지니;

그의 뜻하는 대로, 그는 행하나니;

어떠한 행위를 하든지간에, 그는 거둘 것이다


consist of ~로 구성되다

desire 1. (←『타동사』) 욕망을 가지다2. (격식) 바라다3. (격식) (…해 달라고) 부탁하다4. (옛투) 욕정을 느끼다5. 욕망

The theory of karma as causation holds that: (1) executed actions of an individual affects the individual and

the life he or she lives, and (2) the intentions of an individual affects the individual and the life he or she lives. Disinterested actions, or unintentional actions do not have the same positive or negative karmic effect,

as interested and intentional actions. In Buddhism, for example, actions that are performed, or arise,

or originate without any bad intent, such as covetousness, are considered non-existent in karmic impact

or neutral in influence to the individual.

인과성으로서의 카마의 논리가 가지는 것은 (1) 개인의 집행된 행위는 그 개인과 그 또는 그녀의 살아가는 삶에 영향을 끼친다. (2) 한 개인의 의도는 그 개인과 그 또는 그녀의 살아가는 삶에 영향을 미친다. 무관심한 행동, 또는 고의적인 아닌 행동들은, 관심있고 고의적인 행동들과 같은 만큼의,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카마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불교에서는, 예를 들면, 갈망과 같은, 어떠한 악의적인 의도 없이 유발되거나, 발생하거나, 행하여진 행위들은 카마적인 그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이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명확하지 않은 것으로 고려되고 있다.

 

disinterested  1.공평 무사한2.(비격식) 관심이 없는3.사욕 없는4.냉담한5.청렴한

unintentional 1. 고의가 아닌2. 본의 아닌3. 무심결의4. 마음에도 없는

covetousness  1. 탐냄2. 갈망함

impact 1.(물체와 물체의) 충돌2.영향3.…을 충돌시키다4.끼워 넣다5.막다

neutral 1. 중립의2. (특색·성격 등이) 뚜렷하지 않은(indefinite)3. 중성의 무성의4. 중립국5. (기어 등의) 뉴트럴 

Another causality characteristic, shared by karmic theories, is that like deeds lead to like effects. Thus,

good karma produces good effect on the actor, while bad karma produces bad effect. This effect may be

material, moral, or emotional – that is, one's karma affects both one's happiness and unhappiness.

The effect of karma need not be immediate; the effect of karma can be later in one's current life,

and in some schools it extends to future lives.

또 다른 인과성의 특성으로, 카마적인 이론과 함께하는 것은, 좋은 행위는 좋은 영향으로 이끈다는 것이다. 즉, 좋은 카마는 행위자에게 좋은 영향을 산출하고, 반면에 나쁜 카마는 나쁜 영향을 산출한다. 이 영향이란 물질적, 정신적, 또는 감정적일 수 있다.- 그것은, 개인의 카마는 개인의 행복과 행복하지 않은 양면을 말한다. 카마의 영향은 즉각적이지 않다; 카마의 영향은 그 개인의 현생의 노후에 나타날 수도 있다, 그리고 약간의 학교들은 그 영향이 개인의 미래의 삶(환생)으로 연장된다고 한다.

 

immediate 1. 즉시의(instant)2. 직접 접해 있는3. 직접적인4. 직관의5. 아주 가까운

extend  1. 확장하다2. 연장하다3. 늘리다4. 미치다5. 뻗다

The consequence or effects of one's karma can be described in two forms: phala and samskara. A phala

(lit. 'fruit' or 'result') is the visible or invisible effect that is typically immediate or within the current life.

In contrast, a samskara (Sanskrit: संस्कार) is an invisible effect, produced inside the actor because of the karma,

transforming the agent and affecting his or her ability to be happy or unhappy in their current and future lives.

The theory of karma is often presented in the context of samskaras.

한 개인의 카마의 영향의 결과를 두가지의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팔라(불을 밝히다. '과일' 또는 '결과')는 대체로 즉각적 또는 현생의 삶에서의 파악할 수 없거나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반면에, 삼스카라는 파악할 수 있는 영향, 카마 때문에 그 행위자의 내면에 생성된 것, 그 행위자를 변형 시켜서 그 또는 그녀가 이 현생과 미래의 삶에서 행복하거나 또는 행복하지 않을 수 있는 능력에 영향을 끼친다. 카마의 학설은 종종 삼스카라스의 문맥에서 나타난다

 

lit 1.불을 밝혔다2.켜졌다3.빛났다4.문학

typically  1. 일반적으로2. 보통은3. 전형적으로4. 대체로5. 보편적으로

invisible  1.눈에 보이지 않는2.보통 재무 제표에 나타나지 않는3.세상에 알려지지 않은4.눈에 보이지 않는 것 

visible 1. 눈에 보이는2. 알아볼 수 있는3. 손님과 만날 마음이 있는4. (보통 visibles) 눈에 보이는 것5. (the visible) 물질계

transform 1.(드물게) (형상·성질이) 바뀌다2.변형하다3.…을 변형시키다 …의 모양을 바꾸다4.…의 상태를 바꾸다 


Karl Potter (1964) and Harold Coward (1983) suggest that karmic principle can also be understood as a

principle of psychology and habit. Karma seeds habits (vāsanā), and habits create the nature of man.

Karma also seeds self perception, and perception influences how one experiences life-events.

Both habits and self perception affect the course of one's life. Breaking bad habits is not easy: it requires

conscious karmic effort. Thus, psyche and habit, according to Potter and Coward, link karma to causality

in ancient Indian literature. The idea of karma may be compared to the notion of a person's 'character',

as both are an assessment of the person and determined by that person's habitual thinking and acting.

칼 포터(1964)와 하롤드 코워드(1983)은 카마적 원칙은 또한 심리학과 습관의 원리로 이해되어 질수 있다고 제안하고 있다. 카마는 습관의 씨를 심고(바사나), 그리고 습관은 그 사람의 본성을 만들어 낸다. 카마는 또한 자아 인식의 씨를 심고, 

그리고 지각(인식)은 그 사람이 어떻게 삶 전체의 사상(事象) 경험하는가에 영향을 미친다.

습관과 자아 인식 모두 그 사람의 인생의 흐름에 영향을 준다.

나쁜 습관에서 벗어나는 것은 쉽지않다: 그것은 의식적인 카마의 노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마음과 습관, 포터와 코와드에 따르면, 카마를 인도의 고대 문헌에서는 카마를 인과에 연결한다.

카마에 대한 발상은 그 사람의 성향(성격)의 개념과 비교할 수 있는데, 이 둘 모두는 그 사람에 대한 평가이며 그 사람의 습관적인 생각(습기)와 행동을 결정한다.

 
psychology 1. 심리학2. (개인·집단의) 심리 (상태)3. (비격식) 심리 작전4. 마음의 움직임

self perception 1.자기 인식2.자아상3.자아 인식

effort  1.(육체적·정신적) 노력2.(노력의) 결과3.(주로 영) 모금 운동4.작동력5.노고

Psyche 1. 마음2. 정신3. 프시케

literature  1. 문학2. 문헌3. 문예4. 인쇄물5. 조사 보고서

assessment  1. 평가2. 조사3. 사정4. 학업5. 보고


Rebirth 환생

The third common theme of karma theories is the concept of reincarnation or the cycle of rebirths (saṃsāra).

Rebirth is a fundamental concept of Hinduism, Buddhism, Jainism and Sikhism. Rebirth, or saṃsāra, is the

concept that all life forms go through a cycle of reincarnation, that is, a series of births and rebirths.

The rebirths and consequent life may be in different realm, condition, or form. The karma theories suggest

that the realm, condition, and form depends on the quality and quantity of karma. In schools that believe

in rebirth, every living being's soul transmigrates (recycles) after death, carrying the seeds of Karmic impulses

from life just completed, into another life and lifetime of karmas. This cycle continues indefinitely, except for

those who consciously break this cycle by reaching moksha. Those who break the cycle reach the realm of

gods, those who don't continue in the cycle.
세번 째의 통상적인 카마 이론의 주제는 환생 또는 재 탄생의 윤회(삼사라, 윤회)의 개념이다. 

환생(재 탄생)은 힌두교, 불교, 자이나 교와 시키의 기본 개념이다.

환생, 또는 윤회는 모든 생명이 있는 생명체는 재 탄생의 사이클을 겪는데, 그것은 연속적인 탄생과 재 탄생이다.

재 탄생과 그 결과로 받은 생은 다른 범주(三界삼계), 조건(환경), 그리고 형태(6취(趣), 아귀도(餓鬼道), 축생도(畜生道), 아수라도(阿修羅道) 또는 수라도, 인간도(人間道), 천상도(天上道))일 수 있다

카마 논리는 카마의 질과 양에 따라 다른 범주, 다른 환경, 다른 형태의 생명으로 환생한다고 한다.

환생을 믿는 학교에서는, 모든 생명체는 죽은 후에 다시 태어나며(환전), 방금 마친 생으로 부터 카마적 충동의 씨앗을 가지고 있으며, (그 카마의 씨는) 카마의 또 다른 생과 일생에 들어있게 된다.

이 사이클은 끝없이 계속되나,  해탈에 이루어 이 사이클을 자각하여 깨뜨린 사람들은 제외된다.

이 사이클을 깨뜨린 사람은 신의 경지에 도달하여 그 사이클을 계속하지 않는 사람이다.

 

reincarnation 1. 영혼의 재생2. 재생3. 화신

fundamental 1.기본이 되는2.근본적인3.기본형의4.(보통 fundamentals) 기본5.(화음의) 밑음

consequent  1. (격식) 결과로 일어나는2. (논리적으로) 당연한3. (당연한) 결과4. 후건(後件)5. 비(比)의 후항(後項)

realm  1. 영역2. 왕국3. 범주4. 국토

transmigrate  1.…을 다시 태어나게 하다2.환생시키다3.이전하다4.환생하다5.옮기다

impulse 1.(물리적인) 충동2.충동3.역적(力積)4.임펄스5.충격

moksha 1. 해탈2. 열반

consciously  1. 의식적으로2. 의도적으로


The concept has been intensely debated in ancient literature of India; with different schools of Indian religions

considering the relevance of rebirth as either essential, or secondary, or unnecessary fiction.

이 개념은 고대 인도의 문헌에서 심도깊게 토론되어 왔다; 인도의 각각의 다른 종교 학교에는 재 탄생에 대하여 또한 기본적인, 또는 부차적인, 또는 불필요한 가설이라고 고려한다.- From wikipedia

 

ⓑ Karma is a concept encountered in several Eastern religions, although having different meanings.

Teachings about karma explain that our past actions affect us, either positively or negatively, and that our

present actions will affect us in the future.

Buddhism uses an agricultural metaphor to explain how sowing good or bad deeds will result in good or

bad fruit (phala; or vipāka, meaning 'ripening').

카마는, 비록 여러가지 다른 뜻을 가지고 있지만, 여러 많은 동양의 종교에서 대면하게 되는 개념이다.

카마에 대한 가르침을 설명하면, 카마는 우리의 지나간 행동(작용)이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쳐서 작용한다는 것이며, 그러므로 현재의 행동(작용)이 우리의 미래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불교에서는 농사 짓는 것에 비유하여 설명하는데, 좋거나 나쁜 행위(작용)을 심으면 그 결과는 좋은 결실 또는 나쁜 결실을 얻을 것이라고 한다.(팔라 또는 비파카는 '익은(성숙한)' 뜻이다

 

encounter 1. 만나다2. 마주치다3. 직면하다4. 부딪치다5. 충돌하다

although 1. 비록…이지만2. …임에도 불구하고3. …이지만

agricultural 1.농업의2.농예의3.농학(상)의

metaphor 1. 은유, 암유2. 은유 표현3. 예 Life is a journey. 인생은 여행이다4. (추상적인 것을 나타내는) 구체적인 것5. 상징

 

Solely through our actions? 오로지 우리의 행위(작용)을 통해서인가?

Early Buddhist writings (particularly SN 36.21: see related links for an annotated translation) suggest that not

all that we experience is the result of past action; it may be due to natural events of one sort or another.

This is one point on which early Buddhism appears to differ somewhat from later Tibetan teachings, which

suggest that all the good and bad things that happen to us are the results of past actions.

Whilst there might be doubt, or different opinions, about why we are experiencing some sort of misfortune,

there is no doubt that we can resolve any suffering in the present moment through the Buddhist teachings of

mindfulness and action based upon good motives.

초기의 불교 경전들, 특히 SN 36.21에서 우리가 경험하는 모든 것이 과거의 행위에 대한 과보가 아니라고 제의하기를; 그것은 어떤 여러 다양한 자연 현상 때문일 수도 있다.  

이 점은 초기 불교가, 우리에게 생기는 모든 좋고 나쁜 일들은 과거 행위의 결과라고 주장하는 최근의 티벳 불교와 다른 한 일면으로 보인다. 

아무튼, 왜 우리가 역경이라고 할 수 있는 것들을 겪어야 하는지에 관하여 다른 의견을 가지거나 또는 의심할 수 있겠지만, 한 점의 의심도 없는 것은 마음 챙김과 선의에 관한 불교의 가르침을 통하여 우리가 현생의 이 순간에 겪고 있는 어떠한 것도 해결 할수 있다는 것이다.

 

solely 1. 오직2. 오로지3. 단지4. 혼자서5. 단독으로

particularly  1. 특히2. 특별하게

due to ‥ 1. (서술적) …의 이유로2. (부사구를 이끌어) … 때문에

of one sort or another  1. 여러 가지의2. 다양한

later 1.(한정적) 더 늦은2.그 후에3.더 나중의4.나중에5.더 최근의

misfortune  1. 불행2. 역경

mindfulness 1. 명상2. 주의 깊음

 

Beyond this life 이 현생을 넘어서

For Buddhists, karma has implications beyond this life. Bad actions in a previous life can follow a person

into their next life and cause bad effects (which Westerners are more likely to interpret as 'bad luck').

Even an Enlightened One is not exempt from the effects of past karma. One story tells that the Buddha's

cousin tried to kill him by dropping a boulder on him. Although the attempt failed, the Buddha's foot was

injured. He explained that this was karmic retribution for trying to kill his step-brother in a previous life.

On a larger scale, karma determines where a person will be reborn and their status in their next life.

Good karma can result in being born in one of the heavenly realms. Bad karma can cause rebirth as

an animal, or torment in a hell realm. Buddhists try to cultivate good karma and avoid bad. However,

the aim of Buddhism is to escape the cycle of rebirth altogether, not simply to acquire good karma

and so to be born into a more pleasant state.

These states, while preferable to human life, are impermanent: even gods eventually die.

불자들에게는, 카마는 이 현재의 삶 이상을 암시한다. 전생의 옳지 못한 행동들은 그 사람의 다음 생에 좇아와서 악 영향을 끼칠 수 있다.(서양에서는 단지 '불운'이라고 해석할 가능성이 높은 것이지만).

깨우침을 얻은 사람마저도 지난 세의 카마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날 수 없다.

고사에서 말하기를 부처님의 사촌이 바위를 부처님께 떨어뜨려서 살해하고자 하였으나 비록 그 시도는 실패하여, 부처님의 발만 다치게 하였다. 부처님께서 설명하시기를 그것은 부처님의 한 전생에서 그가 이복형제를 살해하려고 하였던 일에 대한 카마적 응보라고 하셨다.

넓은 의미로 보면, 카마는 그 사람이 다음의 생에서 어디에서 다시 태어나며, 어떠한 환경(지위)이 될 것인가를 결정한다.

선업은 천상계에 태어날 결과를 낳을 것이며, 악업은 축생계, 또는 지옥의 고통을 받는 원인이 될 것이다.

불자들은 선업을 장려하고 악업을 피할려고 노력한다. 그러나, 불교의 목표는 모두가 윤회에서 돌고 도는 것에서 벗어나는 것이며, 단지 선업을 획득하는 것만이 아니라 좀더 행복한 경지에 태어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환경들은, 인간의 삶을 받는 것을 선호하는 것은, 일시적이다: 신들 마저도 마침내는 죽게 되니까.

 

implication  1. 의미2. 영향3. 연루

more likely to 좀더 ~ 할 것 같다.

interpret 1. …의 뜻을 밝히다2. (…의 뜻으로) …을 해석하다3. (자기의 해석·감각에 입각하여) …의 역을 연기하다4. (외국어를) 통역하다(translate)5. 해설하다

exempt  1. 면제하다2. 면제된3. (의무·책임 등이) 면제된 사람4. 면해주다5. 없는

boulder  1.둥근 돌2.(물이나 비바람에 의해 반들반들해진) 바위

retribution 1. 응보2. 앙갚음3. 보복4. 징벌(punishment)5. 천벌(divine retribution)

previous  1. 이전의2. 앞선3. 먼저의4. 예비의

status  1. 상태2. 지위3. 신분4. 현상5. 사정

torment  1. 고통2. 괴롭히다

aim  1.목표2.목적3.겨냥하다4.노리다5.조준하다

preferable to ~보다 오히려 더 나은

impermanent  1. 영속하지 않는2. 일시적인3. 영구적이 아닌

 

Self-determined 스스로의 결정이다

The word karma means 'action', and this indicates something important about the concept of karma: it is

determined by our own actions, in particular by the motives behind intentional actions.

Skilful actions that lead to good karmic outcomes are based upon motives of generosity; compassion,

kindnessand sympathy, and clear mindfulness or wisdom. The opposite motives of greed,

aversion (hatred) and delusion, when acted upon, lead to bad karmic results.

Karma is not an external force, not a system of punishment or reward dealt out by a god.

The concept is more accurately understood as a natural law similar to gravity.

Buddhists believe we are in control of our ultimate fates. The problem is that most of us are ignorant

of this, which causes suffering. The purpose of Buddhism is to take conscious control of our behaviour.

단어 '카마'는 '행위(작용)'을 뜻하며, 이것은 카마의 개념에 뭔가 중요한 것을 암시한다: 그것은 우리들 자신의 행위, 특히 의도적인 행동 뒤에 감추어진 동기에 의한 것이다.

선업을 유도하는 잘 수련된 행위의 결과물은 관대함; 동정심, 친절함과 연민심, 그리고 명료한 주의 깊음 또는 지혜등의 동기에 바탕한다. 그와 반대로 탐욕, 혐오(증오)와 현혹의 동기에 의하여, 그렇게 행위를 했을 때, 악업을 결과를 유도한다.

카마는 외부적인 영향력이 아니며, 신에 의하여 징벌 또는 보상을 주는 구조적인 것이 아니다.

그 개념은 중력과 비슷하게 자연의 법칙으로 이해하는 것이 더욱 정확하다. 

불자들은 우리는 절대적으로 우리의 운명을 좌우한다고 믿는다.

문제는 대다수의 사람들이 그것이 고통을 받게하는 원인이라는 것에 대하여 무지하다는 것이다.

불교의 목표는 의식적으로 우리의 습관적인 행동을 관리하는 것이다.

 

self-determined 1. 자기 결정에 의한2. 스스로 결정한

indicate  1. 나타내다2. 가리키다3. 표시하다4. 지적하다5. 암시하다

intentional 1. 고의의2. 의식적인

generosity  1. 관대함2. 아낌없는

aversion 1. 혐오2. 혐오감을 주는 사람3. 반감4. 몹시 싫어함

hatred 1.증오2.심한 혐오3.(비격식) 아주 싫어함

delusion 1. 현혹2. 잘못된 신념3. 기만4. 망상5. 현혹된 상태

external 1. 외부의2. (내복약이 아니라) 외용(外用)의3. 외부에서 오는4. 외부5. (externals) 외관

force  1.힘2.(주장 등의) 설득력3.신체적인 힘4.강요하다5.(저항을 무릅쓰고) …을 밀고 나아가다

accurately  1. 정확하게2. 그대로

ultimate 1. 최종 단계2. 궁극(점)3. 결론4. (공간적·시간적으로) 가장 먼5. 더 이상 분석할 수 없는

 

Moral habits 도덕적 습관

The Buddha taught about karmic 'conditioning', which is a process by which a person's nature is shaped

by their moral actions.

Every action we take molds our characters for the future. Both positive and negative traits can become

magnified over time as we fall into habits. All of these cause us to acquire karma.

This shows why Buddhists place such importance on being mindful of every action they take.

부처님께서는, 그 사람의 본성은 그의 도덕적 행위에 의하여 형성된 것에 의하여 진행되는 '조건부 카마'에 관하여 가르치셨다. 우리가 짓는 일체의 행위는 미래의 우리의 성격을 결정 짓는다.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성격의 양면 모두가 시간의 흐름을 따라 우리가 버릇으로 습관화 되는 것과 같이 고정(확대)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것이 우리가 카마를 가지게하는 원인이 된다. 이것이 왜 불자들은 그들이 행하는 모든 행위에 깨어있는 마음(마음챙김)으로 행하는 가에 중점을 두는 가를 보여준다.

 

conditioning 1. 조절2. 조건부3. 컨디션 조절

magnify 1. 확대력이 있다2. …을 (렌즈 등으로) 크게 보이게 하다3. (크기·중요성을) 과장하다4. 찬송하다

 

Getting rid of karmic conditioning 카마 형성 조건을 없애다. 

Acting on karmic habits increases their strength. Buddhists gradually weaken any negative thoughts and

impulses that they experience, through allowing them to arise and depart naturally without acting on them.

In this way karmic habits can be broken.

카마적인 습관(습기)를 따라 행동하는 것은 그것을 강화 시키는 것이다. 불자들은 그들이 경험하는 부정적이고 충동적인 생각들이 일어나는 그대로 둘 뿐, 따라서 행동하지 않으며 자연히 사그라지게 된다.

이렇게 해서 카마적인 습관에서 벗어날 수 있게된다. 

 

get rid of 1.제거하다2.삭제하다3.…에서 벗어나다4.폐지하다5.처리하다

arise  1.일어나다2.(격식) (권리 등을 요구하며) 일어서다3.피어오르다4.(고어·시어) 상승하다5.나타나다

 

Rebirth and disability 환생과 장애

This view of the world can raise a particularly charged question. Do Buddhists believe that disabled people are

suffering for misdeeds in a past life?

The subject is more complicated than it appears, says the Venerable Robina Courtin, a Tibetan Buddhist nun,

in this radio discussion on religious attitudes to disability. - From BBC

이러한 관점으로 세상을 보는 것은 특히 논쟁적인 의문을 일으킨다. 불자들은 장애인들은 전생에서의 잘못된 행위(악행)때문에 고통을 받고 있다고 믿는가?

이러한 주제는 보기 보다 한층 더 복잡하다, 존경스러운 티벳 불교의 여승, 로빈 코~틴께서는 장애인들에 대한 종교적인 관점을 라듸오 토론에서 말했다

 

disability 1. 무력2. 무능3. 신체 장애

charged 1.실효 전하(實效電荷)를 가진2.강렬한3.하전(荷電)한4.감동적인5.격론을 불러일으키는

misdeed 1. 나쁜 짓2. 비행3. 악행

venerable 1. 존경받는2. 유서 깊은3. 덕망있는4. 권위있는5. 존경할 만한

nun 1.수녀2.여승

 

Karma is a term that many people are familiar with but relatively few people understand. They might

tell you that karma is when people get what they deserve. Good things happen to good people, while

bad things happen to bad people. That's a very simplified version of the concept of karma, but it isn't

terribly far from the truth.

Karma, which is not to be confused with its common misspelling "kharma," is a concept related to

Buddhism that has been described by the saint Paramhansha Yogananda as a "law of justice" that

determines who we are.

Yogananda stated that we cannot escape our own basic patterns, but we do have the choice to follow

our basic nature or work against it. Therefore, it is not the outward appearance of our actions that

determine what effects they will have in the future, but the intentions behind them. Buddhists believe

that we must accept the consequences of our actions and learn from them.

카마는 많은 사람들에게 익숙하면서도 비교적 소수의 사람만이 이해하고 있는 개념이다.  카마는 사람들이 때가 되면 당연히 받아야 할 것을 받는 것이라고 말할 것이다. 선한 사람들에게는 좋은 일이 생기는 반면 악한 사람들에게는 나쁜일이 생긴다. 그것은 카마의 개념을 대단히 단순화한 설명이지만, 그것이 진실로 부터 엄청나게 빗겨나간 것은 아니다.

이것은 스펠링에 실수하기 쉬운 '카르마'와 혼돈하지 않아야 되는 것으로, 카마는 그 개념이 불교와 관련된 것으로 우리가 누구인지를 결정하는 '정의의 법'이라고 성인 파라만샤 요가난다는 묘사하고 있다. 요가난다는 우리는 우리의 기본적인 패턴(형태)에서 벗어날 수 없지만, 그러나 우리는 우리의 자연적 본성 또는 그것에 상대하여 싸울 수 있는 결정권을 가지고 있다고 정의한다. 그러므로, 그것은 밖으로 표출된 우리의 행동에 의해 결정적으로 우리의 미래에 영향을 끼치는 것이 아니라, 그에 숨어있는 의도이다. 불자들은 우리는 우리의 행위에 의한 결과를 받아 들이고 그로 부터 배워야만 한다고 믿는다.

 

deserve  1. 자격2. 만하다3. 마땅히4. 가치5. 싸다

simplify 1. …을 단순하게 하다2. 간단하게 하다3. 간소화하다

saint  1.…을 성인의 반열에 올리다2.시성(諡聖)하다(canonize)3.…을 성인으로 받들다4.성인(聖人)5.크리스트교 신자

 

Karmic Results 카마의 결실

According to Buddhist beliefs and teachings, it is karma that determines our cycle of rebirth. Negative actions

such as killing other people will lead to misfortunes either in this life or in the next life, while virtuous actions

will yield positive results. The connection between an action and the karmic result of that action are usually

not obvious or even observable, but they are said to be unavoidable. Furthermore, there are five heinous

actions that will result in an immediate rebirth in hell. These actions are matricide, patricide, shedding

the blood of a Buddha, killing an arhat or creating a schism in the sangha, a monastic community of

Buddhist monks and nuns.

불자들의 믿음과 가르침에 따르면, 우리의 윤회를 결정하는 것은 카마 그것이다. 살해를 저지르는 것과 같은 부정적인 행위는 이 현생의 삶에서나 또는 후생의 삶에서의 불운을 초래할 것이며, 반면에 덕이 있는 행위는 긍정적인 결과를 낳는다. 

행위와 카마로 인한 행위 사이의 연계는 분명하지도 않고 또한 관찰할 수 있는 것도 아니지만, 그것은 피할 수 없는 것이라고 말해지고 있다. 더욱이, 바로 지옥에 태어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는 다섯가지의 극악한 행위가 있다. 그러한 행위한 모친 살해, 부친 살해, 부처님의 몸에 피를 내는 것, 아라한을 살해 하는 것, 승단이나 불교의 비구와 비구니의 승단에 분열을 초해하는 것이다.

 

virtuous 1. 도덕적인2. 덕 있는

obvious 1. 명백한2. 속이 들여다보이는3. 유난히 두드러진4. 분명한 cf. APPARENT5. 빤한

observable 1. 관찰할 수 있는2. 주목할 만한(noteworthy)3. 축하할 만한4. 남의 눈을 끄는5. 지켜야 할

heinous 1.(격식) 증오할2.아주 나쁜

matricide 모친 살해(를 한 사람)

patricide 1. 부친 살해2. 부친 살해범

shedding 1. 흘리기2. 빈 껍질3. 정량에서 넘침

schism 1. 분열2. 분파3. 분리

 

Karma and Nirvana 카마와 열반
In Buddhism, most karma refers to that which leads to worldly happiness, but there is also another kind of

supremely good karma that can end suffering forever. Those who are liberated by this karma achieve

Nirvana and do not generate anymore karma. Nevertheless, Buddhists are taught to practice only

wholesome actions, as they are said to eventually purify the mind and lead to liberation.

- From buddhists.org

불교에 있어서, 대부분의 카마는 세계적인 행복으로 안내하는 것으로 인식하며, 그 뿐만 아니라 고통을 영원히 단절 시킬 수 있는 다른 형태의 비할 수 없는 최상의 선업이 있다. 카마에서 해방되어 열반을 성취한 사람들은 더이상 카마를 일으키지 않는다. 게다가, 불자들은 덕이 있는 행위를 닦아 나가면, 마침내 그 마음을 정화하여 들은 바 대로 해방될 수 있다고 배우고 있다. 

 

nirvana 1. 열반2. 해탈3. 고통·고뇌·세속으로부터의 탈각

supremely 1. 최고로2. 비할 데 없이

wholesome 1.(도덕적·정신적으로) 건전한2.건강(증진)에 좋은3.건강해 보이는4.유익한

 

 

 

 

'영문으로 읽는 불교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승 불교 Mahayana Buddhism  (0) 2022.08.18
보살(菩薩) Bodhisattva  (0) 2022.08.15
영어 사무량심(四無量心)  (0) 2022.08.13

Bodhisattva (bodhisatta in Pali) is one of those words that entered our language from Sanskrit untranslated (like karma) because no equivalent term exists in English. It is a combination of bodhi, “enlightenment”

(or “full knowledge”), and sattva, “a being.”

보디삿흐바(팔리어 보디삿타)는 현재 쓰이고 있는 영어로는 같은 뜻을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산스크리스트어 그대로 영어로 쓰이게된 많은 단어들('카마=업'과 같이) 중의 하나입니다. 

그것은 보디, '깨달음(또는 완벽한 지식)', 그리고 삿따, '존재'의 결합입니다.

 

untranslated 1.번역되지 않은2.다른 장소로 옮겨지지 않은

combination 1.짜맞추기2.(몇 개를 합친) 결합체3.연합체4.팀워크5.다이얼 (맞추기) 자물쇠

enlightenment 1. (격식) 계발2. (the Enlightenment) 계몽 운동3. 계몽된 상태4. 계몽5. (불교 등의) 깨달음

 

In early Indian Buddhism, and to this day in Theravada Buddhism, the word refers to the Buddha-to-be, Siddhartha Gautama, in both his past lives and his final lifetime, during his quest for enlightenment.

초기 인도의 불교에서는, 오늘 날의 소승 불교에서와 같이, 그 단어는 미래의 부처, 싯다르타 과타마, 그의 과거 삶과 그의 마지막 생, 그가 깨달음을 추구하던 동안을 말합니다.

 

to-be 1. 미래의2. 미래3. 머지않아 될…

refer to 1.말한다2.언급하다3.표현한다4.제안하다5.참고하다

quest 1. 탐구2. 추구3. 원정

 

In Mahayana Buddhism, which includes Zen, Chan, and Tibetan Buddhism, the term bodhisattva took on a far wider definition: anyone who vows to become enlightened in order to relieve the suffering of all sentient (conscious) beings. 

 

참선, 염불을 포함하는 대승 불교와 티벳 불교에서 뜻하는 보디삿따바는 훨씬 폭 넓게 정의하여; 누구든지 모든 지각이 있는(의식이 있는) 존재를 고통으로부터 구제하기 하기 위하여 깨달음을 얻고자 서약하는 사람을 말합니다

 

term 1.용어2.임기3.말하다4.계약조건5.기간

term 1.(보통 수동태) …을 (…이라고) 부르다2.칭하다3.명명하다4.용어5.(문장·회화 중의) 말

sentient 1. (격식) 감각이 있는2. 감각이 있는 사람3. 느낄 수 있는

conscious 1.의식2.(주로 서술적) 의식을 가지는3.(서술적) 제정신인4.(한정적) 알고 한

being 1. (명사 뒤에 두어) 존재하는2. 현재의3. 가까운 장래의4. 존재5. 생존

 

There are many kinds of bodhisattvas included in this definition, ranging from ordinary people to what’s

called a celestial bodhisattva, which comprise a pantheon of deity-type figures

in Mahayana traditions.

많은 종류의 보디삿흐바들이 이 정의에 포함되는데, 전통적인 대승에서는 보통의 범부(보통 사람)에서부터 우상적인 신성적 존재들을 포함한 천상의 보디삿흐바에 이르기까지를 말한다.

 

range 1. 범위2. 이르다3. 영역4. 사거리5. 산맥

celestial 1. 하늘의2. 천인3. 천체의

comprise 1. …을 구성하다2. 이루다3. 포함하다4. 차지하다5. …에 해당하다

Pantheon 1. 신들2. 영웅3. 판테온

deity 1. 신2. 여신3. 신성

deity-type figures 신성적 존재 

 

One such celestial bodhisattva is the bodhisattva of compassion (named Avalokiteshvara in Sanskrit,

Chenrezig in Tibetan, and Kwan Yin in Chinese), who is revered in many Mahayana schools and

featured in countless Buddhist statues and images.

그러한 거룩한 보디삿흐바 중의 한 분은 자비의 보디삿흐바(관세음보살), (산스크리스트어로 바파로키테스바라, 티벳어로 첸러지그, 중국어 관인으로 불리움), 헤아릴 수 없는 불자들의 이미지와 입상의 소재가 되며, 많은 대승 불교의 학부에서 공경을 받으시는 분이십니다.  

 

revere  1.…을 외경(畏敬)하다2.우러러 공경하다

featured  1.특색으로 한2.주연의3.특종의

statue 1. 동상2. 조각상3. 상4. 입상

 

The bodhisattva of compassion takes both male and female forms and kindles inspiration and devotion

in many Buddhists around the world.

자비의 관세음보살은 남자와 여성의 형상 모두를 취하시며 전 세계의 불자들을 헌신과 영감에 불을 붙이십니다.

 

kindle 1.불을 붙이다2.불붙이다3.태우다

inspiration  1.영감2.고무3.고무하는 사람4.신령 감응5.숨을 들이쉼

devotion 1. (신앙심으로 하는) 헌납2. 전념3. 바치기4. 신앙5. 봉납

 

The Dalai Lama himself is viewed by his followers as the embodiment of Chenrezig. Any sincere follower

of a Mahayana school can take or recite the “bodhisattva vow (or vows).” In taking the vows,

Buddhists commit to liberating all sentient (conscious) beings; to abandon the “three poisons” of greed,

hatred, and ignorance; and to keep those vows for this and all future lifetimes. When someone recites the

vows, they become, in name, a bodhisattva.

달라이라마께서는 그의 신봉자들로 부터 자비(관세음 보살)의 구현으로 비추어지고 있습니다 

진정한 대승 학부의 신봉자들은 보리도를 위한 서약을 취하거나 염불할 수 있습니다.  

보리도를 위한 서약을 함으로서, 불자들은 모든 지각있는(의식이 있는) 존재(생명)들을 (고통으로부터) 자유롭게 할 것을 맹세하여야 합니다.; 탐욕, 증오, 무명의 삼독을 버리며, 그리고 현생과 내생의 모든 삶 동안 그 서약을 지키는 것입니다.

어떤 사람이 그 서약을 염불함으로써, 그들은 보살이라는 이름으로 불리워집니다.

 

embodiment 1. 구체화2. 형상화3. 구현

recite  1.암송하다2.읊다3.낭독하다4.복창하다

commit 1. 저지르다2. 위임하다3. 남겨두다

liberate 1. 해방하다2. 유리(遊離)시키다3. (속어) 훔치다4. 석방하다5. 발산시키다

ignorance 1. (드물게 ) 무지2. 무식3. 무교육4. 무학5. 생소함

abandon 1.버리다2.포기하다3.유기하다4.폐기하다5.떠나다

 

From wikipedia

In Buddhism, a bodhisattva or bodhisatva is a person who is on the path towards bodhi ('awakening') or Buddhahood.

불교에서, 보디삿따바 또는 보디사흐바는 보리(깨달음, 각오) 또는 부처님의 경지를 향하여 가는 사람을 말합니다.

 

path 1. (밟아서 생긴) 길2. (태풍·달의) 통로3. 소로(footway)4. 진로5. (정원·공원 등의) 보도

Buddhahood 1. 불교의 깨달음의 경지2. 보리

In the Early Buddhist schools as well as modern Theravada Buddhism, a bodhisattva (Pali: bodhisatta)

refers to someone who has made a resolution to become a Buddha and has also received a confirmation

or prediction from a living Buddha that this will be so.
초기의 불교학과 마찬가지로 현재의 소승 불교에서는, 보디삿흐바(팔리어로 보디삿따)는 부처가 되기 위한 결심을 하여 살아 계신 부처님으로 부터 확인이나 예측을 받은 사람을 명시하며, 그렇게 되는 것입니다.

 

refer to 1.말한다2.언급하다3.표현한다4.제안하다5.참고하다

resolution  1. 해상도2. 해결3. 결의4. 결심5. 결정

confirmation 1. 입증2. 확정3. 확증4. (보통 13-15세에 받는) 견신례5. 확인

prediction 1. 예언2. 예보3. 예견4. 예측


In Mahayana Buddhism, a bodhisattva refers to anyone who has generated bodhicitta, a spontaneous wish 

and compassionate mind to attain Buddhahood for the benefit of all sentient beings.

대승 불교에서는, 보살이란 보리심을 발하여, 부처님의 깨달을을 획득하여 모든 지각이 있는 존재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하는 자발적인 소망과 자비로운 마음을 획득하고자하는 누구든지를 말합니다.

 

spontaneous 1. 자연스러운2. 자발적인

bodhicitta 보리심, 깨달음의 마음

attain 1. 달성하다2. 이루다3. 얻다4. 확보5. 이룩

benefit  1. 혜택2. 이익3. 도움이 되다

 

Mahayana bodhisattvas are spiritually heroic persons that work to attain awakening and are driven

by a great compassion (mahakaruṇā).

대승의 보살들은 깨달음을 획득하였으며 또한 지극히 자비로운 마음으로 찬 정신적으로 이타적인(모범이 되는) 사람들을 말합니다. 

a machine driven by electricity 전동식 기계.

spiritually 1. 정신적으로2. 영적으로3. 종교적으로

heroic  1.영웅(들)의2.용사에게 어울리는3.영웅에 관한

 

These beings are exemplified by important spiritual qualities such as the "four divine abodes"

(brahmaviharas) of loving-kindness (metta), compassion (karuṇā), empathetic joy (mudita)

and equanimity (upekkha) as well as the various bodhisattva "perfections" (pāramitās)

which include prajñāpāramitā ("transcendent knowledge" or "perfection of wisdom")

and skillful means (upaya).

이러한 사람들은 다양한 보살들의 반야 바라밀다(초월한 앎 또는 완벽한 지혜)를 포함한  구경의 완성(pāramitās, 6 바라밀) 뿐만 아니라 평등심(upekkha, 평온)과 타인을 위한 진정한 기쁨(mudita, 타인의 행복을 공유함), 연민심(karuṇā, 자비)과 네가지의 바른 머뭄(사섭법)의 애정어린 친절함(metta, 자애)과  능숙한 중용의 마음(upaya, 방편)과 같은 숭고한 특성으로 모범적입니다 


exemplify 1. 보여주다2. 예이다3. 모범이 되다4. 과시하다

abode  1.(문어) 주소2.체재3.주거 

as well as 1.…뿐만 아니라2.그리고3.같은4.물론5.또한

pāramitās 바라밀다(波羅蜜多) 산스크리트어 빠라미따(पारमिता pāramitā)를 음에 따라 번역한 것으로, 완전한 상태 · 구극(究極)의 상태 · 최고의 상태를 뜻한다.

prajñāpāramitā  반야바라밀(산스크리트어: प्रज्ञापारमिता prajñāpāramitā) 또는 지혜바라밀로 설법되고 있으며, 나머지 다섯 바라밀을 성립시키는 근거로 여겨져 중요시되고 있다. 역으로, 선정 바라밀은 반야바라밀이 발현되게 하는 직접적인 수단 또는 원인이다.

equanimity 1. 평정2. 침착3. 냉정

 

In Theravada Buddhism, the bodhisattva is mainly seen as an exceptional and rare individual.

Only a few select individuals are ultimately able to become bodhisattvas (such as Maitreya).

Mahayana Buddhism generally understands the bodhisattva path as being open to everyone and

Mahayanists encourage all individuals to become bodhisattvas.

소승 불교에 있어서는, 보살은 주로 아주 뛰어나고 드문 인격체를 말합니다. 

오직 소수의 선택된 특정인들만 보살(Maitreya, 미륵불과 같이)이 되는 것이 가능합니다.

대승 불교에서는 일반적으로 보살의 도는 누구든지에게 열려있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으며, 대승 불교자들은 모든 인격체들에게 보살이 될 수 있음을 장려하고 있습니다.  

 

exceptional 1. 예외적인2. 아주 뛰어난3. (주로 미) 특수 교육을 필요로 하는4. 보통이 아닌5. 우수한

rare  1.드문2.희박한3.(한정적) 대단한4.(부사적) (주로 구어) 매우5.좀처럼 없는

individual 1. (한정적) 개개의2. (한정적) 특정한 사람의3. (more individual, most individual) 독자적인4. (사회·가족에 대하여) 개인5. (보통 형용사와 함께)(비격식) (특이한) 사람

Maitreya 미륵불

encourage  1. 격려하다2. 장려하다3. 권하다4. 조장하다5. 촉진하다

 

Spiritually advanced bodhisattvas such as Avalokiteshvara, Maitreya and Manjushri are also widely

venerated across the Mahayana Buddhist world and are believed to possess great magical power

which they employ to help all living beings.

문수 보살, 미륵 불, 관세음 보살과 같이 정신적으로 성숙된 보살들은 또한 대승 불자들을 통하여 많은 존경을 받고 있으며, 또한 모든 생명이 있는 존재들을 돕고자 할 때에는 대단한 신통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믿어지고 있습니다.

 

advanced  1.전진한2.상급인3.진보적인4.많이 지난5.고등인

Avalokiteshvara, 관세음보살

Maitreya 미륵불

Manjushri 문수 보살

venerate 1. …을 존경하다2. 숭배하다3. 경모하다

보살, 보리살타, Bodhisattva

대승불교를 실천하는 이상적인 인간상을 보살이라 하는데, 이는 ⓢbodhi-sattva를 소리 나는 대로 적은 보리살타의 준말이다. 보디(bodhi)는 ‘깨달음’, 삿트바(sattva)는 ‘중생’을 뜻하므로 보살은 ‘깨달을 중생’, ‘깨달음을 구하는 중생’, ‘구도자(求道者)’라는 뜻이다. 보살을 높여 불러 보살마하살(菩薩摩訶薩)이라 하는데, 마하살(摩訶薩)은 ⓢmahā-sattva를 소리 나는 대로 적은 것으로, ‘위대한 중생’이라는 뜻이다.
보살의 수행을 ‘위로는 깨달음을 구하고, 아래로는 중생을 교화한다(上求菩提 下化衆生)’는 말로 표현한다. 이 말은 먼저 깨달은 다음에 중생을 교화한다는 뜻이 아니라 깨달음을 구하는 그 자체가 중생 교화이고, 중생 교화가 곧 깨달음을 구하는 것이라는 의미이다. 그래서 보살은 사홍서원(四弘誓願) · 삼취정계(三聚淨戒) · 사섭법(四攝法) · 6바라밀(波羅蜜)을 실천한다.

사홍서원 보살이 세우는 네 가지 넓고 큰 서약이다.

However innumerable sentient beings are, I vow to save them.

중생무변서원(衆生無邊誓願度) 가없는 중생을 다 건지오리다

However inexhaustible the defilements are, I vow to extinguish them.

번뇌무진서원단(煩惱無盡誓願斷) 끝없는 번뇌를 다 끊으오리다

However immeasurable the dharmas are, I vow to master them.

법문무량서원학(法門無量誓願學) 한없는 법문을 다 배우오리다

However incomparable enlightenment is, I vow to attain it.

불도무상서원성(佛道無上誓願成)위없는 불도를 다 이루오리다
대승불교는 남을 위하는 그 자체가 나를 위하는 것이라 한다. 이러한 견해는 더욱 적극적으로 나아가 나를 구제하기에 앞서 남을 구제한다는 서원으로 이어진다. 예를 들어 지장보살(地藏菩薩)은 지옥에서 고통 받고 있는 많은 중생들을 구제하기 전에는 결코 성불하지 않겠다고 서원했고, 법장보살(法藏菩薩)은 자신이 부처가 된다고 해도 모든 중생이 극락정토에 태어나지 못한다면 부처가 되지 않겠다고 서원했다.
삼취정계 보살이 받아 지녀야 할 계율을 세 가지로 분류한 것이다. 이 세 가지는 금지 조항을 지키면서 적극적으로 선을 행할 것을 강조한다.
① 섭율의계(攝律儀戒) : 악을 방지하기 위해 제정한 모든 금지 조항으로, 흔히 ‘하지 마라’고 하는 계율이다.
② 섭선법계(攝善法戒) : 선(善)을 행하는 계율이다.
③ 섭중생계(攝衆生戒) : 선을 행하면서 중생에게 이익을 베푸는 계율이다.
사섭법
중생을 불법(佛法)에 끌어들이기 위한 보살의 네 가지 행을 말한다.
① 남에게 부처의 가르침이나 재물을 베푸는 보시(布施)
② 부드럽고 온화한 말을 하는 애어(愛語)
③ 남을 이롭게 하는 이행(利行)
④ 서로 협력하고 고락을 같이하는 동사(同事)
6바라밀 “아난아, 모든 보살마하살이 바르고 원만한 깨달음을 얻고자 한다면 6바라밀을 닦아야 한다. 왜냐하면 6바라밀은 보살마하살의 어머니로서 모든 보살을 낳기 때문이다.”
<摩訶般若波羅蜜經 제20권, 累敎品>
위로는 깨달음을 구하고 아래로는 중생을 교화하는 보살의 수행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 6바라밀이다. 바라밀은 ⓢpāramitā를 소리나는 대로 적은 것이고, 도피안(到彼岸) · 도(度)라고 번역한다. ‘저 언덕으로 건너감’, ‘완전한 성취’, ‘완성’, ‘수행의 완성’이라는 뜻이다. 따라서 6바라밀은 보살이 이루어야 할 여섯 가지 완전한 성취이다. 보살의 6바라밀은 괴로움의 ‘이 언덕’에서 지혜와 자비로 가득 찬 깨달음의 ‘저 언덕’으로 건너가는 배라고 할 수 있다.
① 보시바라밀(布施波羅蜜) : 보시는 남에게 베푼다는 뜻이다. 남에게 재물을 베풀고(財施), 남에게 부처의 가르침을 베풀고(法施), 남을 온갖 두려움에서 벗어나게 해주는 것(無畏施)이다.
② 지계바라밀(持戒波羅蜜) : 지계는 계율을 지킨다는 뜻이다. 살아 있는 것을 죽이지 않고, 훔치지 않고, 음란한 짓을 하지 않고, 거짓말하지 않고, 남을 괴롭히는 나쁜 말을 하지 않는 것이다.
③ 인욕바라밀(忍辱波羅蜜) : 자기에게 거슬리는 일이 있어도 마음을 가라앉혀 참고 견뎌 노여워하지 않는 것이다.
④ 정진바라밀(精進波羅蜜) : 게으르지 않고 힘써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⑤ 선정바라밀(禪定波羅蜜) : 선정(禪定)은 ⓢdhyāna를 소리 나는 대로 적은 선(禪)과 그 번역인 정(定)의 합성어이다. 산란한 마음을 고요히 가라앉히고 한곳에 집중하는 수행이다.
⑥ 지혜바라밀(智慧波羅蜜) : 지혜는 분별과 집착이 끊긴 상태에서 모든 현상을 있는 그대로 주시하는 마음 작용이다.

'영문으로 읽는 불교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승 불교 Mahayana Buddhism  (0) 2022.08.18
업 Karma  (0) 2022.08.17
영어 사무량심(四無量心)  (0) 2022.08.13

"慈(자), 悲(비), 喜(희), 舍(사), 사무량심"

brahmavihāra, (Sanskrit: “living in the Brahman-heaven”),

In Buddhist philosophy, the four noble practices of mental development through which men can attain subsequent rebirth in the Brahman heaven.

불교의 철학에서는 정신적 발전을 위한 사성제(四聖諦)의 실천으로 사람이 천상에 태어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합니다

philosophy[filάsəfi] 1.       철학2.          이론3.          생각4.          이념

practice  1.   관습  2.         실천하다3.    연습하다4.    실제5.          행위

the four noble practices= 사성제(四聖諦)

Brahman1 [brάːmən] 1.)2.브라만, 바라문(婆羅門)3.(또는 Brahma) 범(梵)

subsequent 1.  다음의2. (한정적) (위치·순서가) 다음의3. (시간적으로) 뒤이어 일어나는4. 뒤이은

Attain 1. 이르다2. 달하다3. 도달하다 4. (노력 끝에) 달성하다

rebirth1. (격식) 재생2. 갱생3. 부활4. 소생5. 회복

 

These four practices are: 이러한 4 가지 실천이란;

(1)  perfect virtue of sympathy, which gives happiness to living beings (Sanskrit: maitrī; Pāli: metta);

이상적인 연민(悲愍)의 덕, 모든 생명들에게 행복을 주는 마음 입니다.

sympathy 1. 동정심에서 행하는2. 동정(심)3. (때로 -thies) 공감4. 일치

virtue 1.미덕2.덕목3.덕행4.군자

자무량심(慈無量心). 한량없는 중생에게 즐거움을 베풀어 주려는 마음.

 

(2) perfect virtue of compassion, which removes pain from living beings (karuna); out of karuna the bodhisattva postpones entrance into nirvana to work for the salvation of others;

이상적인 비민(悲愍)의 덕; 모든 생명들의 고통을 없애 주는 마음으로; 보살은 열반에 드는 것을 미루고 중생을 구제하기 위하여 일합니다.  

Compassion 1. 측은하게 여기는 마음2. 깊은 동정

Bodhisattva 보살

Postpone 1. …을 뒤로 미루다2. (중요성·평가의 점에서) 뒤에 두다3. 연기하다

work for 1. 고용되다2. ~에서 일하다

entrance   1. 들어가기2. 입구3. 입장권

nirvana 1. 고통·고뇌·세속으로부터의 탈각(의 경지)2. 극락3. 열반(涅槃)

salvation 1. (손해·위험·파괴 등으로부터의) 구제2. 구제해 주는 것3. (죄와 벌로부터의) 구원4. 구출5. 구제 수단

비무량심(悲無量心) 한량없는 중생의 괴로움을 덜어 주려는 마음.

고통의 세계로부터 구해내어 깨달음의 해탈락(解脫樂)을 주려는 마음

 

(3) perfect virtue of joy, the enjoyment of the sight of others who have attained happiness (muditā);

이상적인 기뻐함의 덕, 즉 다른 이가 즐거움을 얻은 것으로 보고 참으로 기뻐하는 마음입니다.

enjoyment  1. 즐거움2.        즐김

sight  1.           보기2. 시력3. 광경4. 눈5.    시야

희무량심(喜無量心) 한량없는 중생이 괴로움을 떠나 즐거움을 얻으면 기뻐하려는 마음.

고통을 버리고 낙을 얻어 희열하게 하려는 마음

 

(4) perfect virtue of equanimity, being free from attachment to everything and being indifferent to living beings (Sanskrit: upekṣa; Pāli: upekkhā). These four practices give happiness to infinite living beings.

이상적인 평등함의 덕; 모든 집착에서 자유로우며, 또한 무든 생명에 대하여 열린 마음입니다.

이 4 가지의 실천은 생명이 있는 것들에게 무한한 행복을 준다

Equanimity 1. 평정2. 침착3. 냉정

indifferent  1.  무관심한2.     무심한3.        무관한4.        냉담한

infinite  1.        무한한2.        끝없는3.        무궁한4.        무수한

사무량심(捨無量心) 한량없는 중생을 평등하게 대하려는 마음.

탐욕이 없음을 근본으로 하여 모든 중생을 평등하게 보고 미움과 가까움에 대한 구별을 두지 않는 마음

 

- By Barbara O'Brien 

The Buddha taught his monks to arouse four states of mind, called the "Brahma-vihara" or "four divine states of dwelling." These four states are sometimes called the "Four Immeasurables" or the "Four Perfect Virtues."

부처님은 제자들(Monks= 스님들)에게 4 가지 마음 가짐을 일으킬 것을 가르치셨습니다. 그것은 브라하-비하라또는 ‘4가지의 성스러운 마음 상태에 머무름입니다. 때로는 이러한 4 가지의 마음 가짐을 '4 가지 잴수 없는 마음' 또는 '4 가지 완전한 덕'이라고 이름하기도 합니다.

arouse  1.       불러일으키다2.         일어서다3.     분개하다4.     각성시키다5.            발생하다

dwelling 1.주거2.거주3.주택4.주소

divine 1. (보통 한정적) 신의2. 신성한3. 신 같은

state 1. (항상 단수로 써서) 상태2. (사회상의) 지위3. (높은 신분이나 부자다운) 위엄

virtue  1. 미덕2. 덕목3. 덕행4. 군자

 

The four states are metta (loving kindness), karuna (compassion), mudita (sympathetic joy or empathy), and upekkha (equanimity), and in many Buddhist traditions, these four states are cultivated through meditation. These four states also inter-relate and support each other.

4 가지의 마음가짐이란 애정어린 친절함’ ‘동정심’, ‘진심으로 따라서 기뻐함 또는 공감하는 마음’,

평등한 마음으로, 불교의 전통적인 관습으로 명상(참선)을 통해 이러한 4 가지의 마음 상태를 발전시켜 나갑니다. 이러한 4 가지 미덕은 각각 상호 연결되어서 각각을 서로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Empathy 1. 감정 이입2. 공감

Sympathetic 1. 동정적인2. (서술적) 공감하는3. 공감을 자아내는

Equanimity 1. 평정2. 침착3. 냉정

cultivate  1.     재배하다2.     양성하다3.     발전시키다4. 개발하다

tradition 1. (관습·신앙 등의 구전에 의한) 전승2. 전통

meditation 1. 숙고2. (종종 meditations) 묵상록3. (특히 종교적인) 명상

relate 1.(격식) …을 이야기하다2.…을 관련시키다3.합치하다(fit in)4.말하다5.관계가 있다

support 1.(밑에서) 받치다2.부양하다3.지속시키다4.버팀5.(사람·가족의) 부양

 

It's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these mental states are not emotions.

이러한 마음 가짐은 감정적인 것이 아님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며,

Nor is it possible to simply make up your mind you are going to be loving, compassionate, empathetic and balanced from now on.

단순히 그러한 마음 상태를 지금부터 가지고자 결심하여 사랑하고, 연민적이고, 자비로우며 그리고 평등심으로 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Empathetic 1.(남에게) 공감을 불러일으키는2.감정이입의

Compassionate  1. (고어) 가엾게 여기다2. 동정하다3. 인정 많은4. (영) 특별 배려의

make up 1.차지하다2.화장하다3.메이크업4.보충하다5.만들어지다

 

Truly dwelling in these four states requires changing how you experience and perceive yourself and others.

진심으로 이 4 가지의 마음에 머물기 위해서는 나 자신과 다른 이들을 받아들이고 경험하는(살아 가는) 방법을 바꾸는 것이 필요합니다.

perceive  1.인지하다2.         인식하다3.     …로 생각하다4.        인상을 주다

require  1.       필요하다2.     요구하다3.     규정하다4.     걸리다5.        제시하다

 

Loosening the bonds of self-reference and ego is especially important.

자기 참조(고양)와 이기적인 경향을 완화 시키는 것이 특히 중요합니다

loosen 1. 헐거워지다2. 낱낱이 흩어지다3. 풀리다4. 풀다5. 완화하다

bond 1. 묶는 것2. (보통 bonds) 속박3. (종종 bonds) (사람의 행동을 한쪽으로) 묶는 것

 

Metta, Loving Kindness 메타= 애정어린 친절, 자무량심(慈無量心).

"Here, monks, a disciple dwells pervading one direction with his heart filled with loving-kindness,

likewise the second, the third, and the fourth direction; so above, below and around; he dwells pervading the entire world everywhere and equally with his heart filled with loving-kindness, abundant, grown great, measureless, free from enmity and free from distress." — The Buddha, Digha Nikaya 13

그러므로 제자들아, 배우는 자는 먼저 애정어린 친절함의 가르침으로 충만한 마음이 깊이 배어 있어야 하며, 두번 째 세번 째 그리고 네번 째의 가르침도 그와 마찬가지입니다. 즉 위, 아래 그리고 주변의, 그가 머무는 세상의 모든 곳에서 평등하게 그의 마음은 고통과 적개심에서 벗어난, 풍부하고 성숙된 무한한 애정 어린 친절함으로 가득 찬 마음에 머물러야 합니다

 

Disciple 1.      제자2. 문하생3.        신봉자

Pervade 1.     널리 퍼지다2.            …에 스며들다3.        고루 미치다

likewise 1.    마찬가지로2. 역시3. 똑같이4.      동감이야

entire  1.전체의2.     내내3. 완전한4.        전반적인

abundant 1.  풍부한2.      많은3. 과잉

enmity 1.      적의2. 증오3. 원한

distress  1.    고통2. 곤란3. 고난4. 걱정5. 지친

measureless 1.        헤아릴 수 없는2.     무한의3.      무한한

디가 니까야(Dīgha Nikāya, D, DN) 또는 장부(長部)는 팔리 경장(Sutta Piṭaka) 5부 중 첫 번째 경전 묶음으로, 길이가 긴 경을 모은 것이다. 모두 34개 경이며, 3품(品)으로 나뉘어 있다. 3품은 다음과 같다.

실라칸다박가(Sīlakkhanda-vagga, 계온품(戒蘊品)) 13경

마하박가(Mahā-vagga, 대품(大品)) 10경

빠띠까박가(Pāṭika-vagga, 당학품(當學品)) 11경

한역본은 《장아함경(長阿含經)》(K.0647, T.0001)인데, 구성과 각 경의 성립 시기에 차이가 있다.

 

The importance of metta in Buddhism cannot be overstated. Metta is benevolence toward all beings, without discrimination or selfish attachment. By practicing metta, a Buddhist overcomes anger, ill will, hatred, and aversion.

불교에서 자 무량심의 중요성은 과장하여 말할 수 없습니다. 자무량심은 이기적인 집착이나 편견없이, 모든 존재에 대한 자비로운 마음입니다. 불도들은 훈련을 통하여 혐오심, 증오심, 악의나 화내는 마음을 극복하여야 합니다 

overstate 1. …을 과장하여 말하다2. 과장하다3. 허풍을 떨다

benevolence 1. 자비심2. 선행3. 선의

discrimination  1. 차별2. 편견3. 차이4. 구별5. 분별

aversion 1. 혐오2. 반감3. 아주 싫은 것

 

According to the Metta Sutta, a Buddhist should cultivate for all beings the same love a mother would feel for her child. This love does not discriminate between benevolent people and malicious people.

자비경에 의하면 불도들은 모든 존재들을 마치 어머니의 자식을 향한 마음과 같은 사랑으로 대하는 것을 수련하여야 합니다. 그 사랑은 악의적인 사람등과 자비로운 사람들을 분별하여 차별하는 사랑이 아닙니다.

Metta Sutta 자비경

malicious  1. 악성2. 악의 있는3. 심술궂은

 

It is a love in which "I" and "you" disappear, and where there is no possessor and nothing to possess.

그것은 '사랑', 소유와 소유자의 경계가 없는, '나'와 '너'의 구별이 사라진 사랑입니다.

possessor 1. 임자2. 소유자3. 점유자

possess 1. 보유하다2. 가지다3. 소유하다4. 홀리다5. 소지하다

 

Karuna, Compassion 비무량심(悲無量心)

"Here, monks, a disciple dwells pervading one direction with his heart filled with compassion, likewise the second, the third and the fourth direction; so above, below and around; he dwells pervading the entire world everywhere and equally with his heart filled with compassion, abundant, grown great, measureless, free from enmity and free from distress." — The Buddha, Digha Nikaya 13

그러므로 제자들아, 배우는 자는 먼저 측은히 여기는 마음의 가르침으로 충만한 마음이 깊이 배어 있어야 하며, 두번 째 세번 째 그리고 네번 째의 가르침도 그와 마찬가지입니다. 즉 위, 아래 그리고 주변의, 그가 머무는 세상의 모든 곳에서 평등하게 그의 마음은 고통과 적개심에서 벗어난, 풍부하고 성숙된 무한한 측은히 여김으로 가득 찬 마음에 머물러야 합니다

 

Karuna is active sympathy extended to all sentient beings.

비무량심이란 마음이 모든 생명이 있는 존재들을 위하여 확대되어 미치는 비민의 마음입니다.

 

Ideally, karuna is combined with wisdom, which in Mahayana Buddhism means the realization that all sentient beings exist in each other and take identity from each other. Avalokiteshvara Bodhisattva is the embodiment of compassion.

이상적으로, 비무량심은지혜가 겸비되어야 하며, 대승 불교에서 의미하는 깨달음이란 모든 생명(지각)이 있는 존재는 각각의 독자성을 가지고 서로 함께 존재함을 깨닫는 것이다. 관세음보살은 비민심의 구현입니다.

sentient 지각있는

identity  1. 정체성 2. 자신 3. 신원4. 아이덴터티5. 독자성

Avalokiteshvara Bodhisattva 관세음보살

embodiment  1. 구체화2. 형상화3. 구현

 

Theravada scholar Nyanaponika Thera said, "It is compassion that removes the heavy bar, opens the door to freedom, makes the narrow heart as wide as the world. Compassion takes away from the heart the inert weight, the paralyzing heaviness; it gives wings to those who cling to the lowlands of self."

소승불교 학자(스님) 냐나포니카 테라는 "비민심이란 마음의 무거운 빗장을 제거하여 마음의 문을 자유를 향하여 활짝 열어서, 좁은 마음을 세상의 크기만큼 넓히는 것이다. 비민심은 마음 속에 무겁게 정체되어 있는, 무거움을 제거하여, 열등적(낮은 자아)인 자아에 매달려 있는 사람들에게 날개를 주는 것이다"라고 말씀하였다.

Theravada 소승불교

inert 1.자력으로 행동할 수 없는 cf. INACTIVE2.불활성의3.완만한4.화학 작용을 일으키지 않는5.둔한

paralyze 1.마비시키다2.(비유) 무(기)력하게 하다3.저리게 하다4.무효로 만들다5.멍하게 하다

lowland .(종종 lowlands로 단수 취급) 저지(低地)

 

Mudita, Sympathetic Joy 희무량심(喜無量心) 진심으로 함께 기뻐하는 마음

"Here, monks, a disciple dwells pervading one direction with his heart filled with sympathetic joy, likewise the second, the third and the fourth direction; so above, below and around; he dwells pervading the entire world everywhere and equally with his heart filled with sympathetic joy, abundant, grown great, measureless, free from enmity and free from distress." — The Buddha, Digha Nikaya 13

그러므로 제자들아, 배우는 자는 먼저 함께 진심으로 기뻐하는 마음의 가르침으로 충만한 마음이 깊이 배어 있어야 하며, 두번 째 세번 째 그리고 네번 째의 가르침도 그와 마찬가지입니다. 즉 위, 아래 그리고 주변의, 그가 머무는 세상의 모든 곳에서 평등하게 그의 마음은 고통과 적개심에서 벗어난, 풍부하고 성숙된 무한한 희무량심으로 가득 찬 마음에 머물러야 합니다

 

Mudita is taking sympathetic or altruistic joy in the happiness of others.

희무량심이란 다른 이의 행복을 진정으로 함께 기뻐하는 마음 또는 이타적인 마음에서 우러나는 환희입니다

sympathetic 1. 동정적인2. (서술적) 공감하는3. 공감을 자아내는4. 교감 신경(계)의5. 공진하는

altruistic 1.이타주의적인2.애타적인

 

People also identify mudita with empathy. The cultivation of mudita is an antidote to envy and jealousy.

또한 사람들은 희무량심을 연민으로 동일시 합니다.

희무량심을 개발하여 가는 것은 시기와 질투에 대한 해독입니다

empathy 1. 공감2. 감정3. 이입4. 동정심5. 연민

identify with 1.동일시하다2.동감하다

antidote 1. 해독제2. 방어 수단

envy 1. 부러워하다2. 시기하다3. …을 시샘하다4. 질투5. 선망의 대상

jealousy 1.질투2.경계3.시기4.조심5.시샘

 

Mudita is not discussed in Buddhist literature nearly as much as metta and karuna, but some teachers believe the cultivation of mudita is a prerequisite for developing metta and karuna.

희무량심은 불교적 문헌에서 자 무량심과 비 무량심 만큼 많이 거론되고 있니는 않지만, 그러나 소수의 지도자들은 희 무량심을 개발하는 것은 자 무량심과 비 무량심을 위한 필요한 조건이라고 믿고 있습니다.

literature 1. 문학2. 문헌3. 문예4. 인쇄물5. 조사 보고서

be a prerequisite for ~의 필요조건이다

 

Upekkha, Equanimity 사무량심(捨無量心) 

"Here, monks, a disciple dwells pervading one direction with his heart filled with equanimity, likewise the second, the third and the fourth direction; so above, below and around; he dwells pervading the entire world everywhere and equally with his heart filled with equanimity, abundant, grown great, measureless, free from enmity and free from distress." — The Buddha, Digha Nikaya 13

그러므로 제자들아, 배우는 자는 먼저 평등한 마음(인내하며 기다리는 마음)의 가르침으로 충만한 마음이 깊이 배어 있어야 하며, 두번 째 세번 째 그리고 네번 째의 가르침도 그와 마찬가지입니다. 즉 위, 아래 그리고 주변의, 그가 머무는 세상의 모든 곳에서 평등하게 그의 마음은 고통과 적개심에서 벗어난, 풍부하고 성숙된 무한한 사무량심으로 가득 찬 마음에 머물러야 합니다.

 

Upekkha is a mind in balance, free of discrimination and rooted in insight.

사무량심은 평정하고, 분별에서 벗어 나서 통찰력에 정착한 마음이다 

insight 1. 통찰2. 명찰3. 간파4. 통찰력5. 식견

 

This balance is not indifference, but active mindfulness.

Because it is rooted in the insight of anatman, it is not unbalanced by the passions of attraction and aversion.

평정함이란 무관심한 것이 아니라, 철처히 주의깊게 고려하는 마음입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무아를 통찰한 마음에 연유하여, 혐오감과 열정에 사로잡혀서 균형을 잃은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indifference 1. 무관심2. 냉담

mindfulness 1. 명상2. 주의 깊음

anatman 무아  nir-atman의 번역. 비아[非我]라 번역하기도 한다. 아는 영원히 변하지 않고[常], 독립적으로 자존하며[一], 자체자로서[主] 지배적인 능력을 지닌 주체[宰]로 생각되는 본체적인 실체를 의미한다.

 

* 사무량심은 慈(자), 悲(비), 喜(희), 舍(사)이다.

첫째 는 한자로 사랑 자로 읽는다.  사랑인 愛와 함께 쓰여 자애(慈愛)라고 한다. 이것의 원래 뜻은 영어로 friendship(우정)이다. 즉 나 이외의 대상인 육경을 벗으로 대하라는 의미이다. 적을 벗으로, 원수를 친구로, 경쟁자를 동반자로 대하는 사고방식이다. 남에게 어떤 의도적 심리상태로 대하느냐에 따라 절정의 선업이 구성된다.

둘째, 비(悲)는 슬픔이다. 슬픔에는 자기가 잘못되어 슬퍼지는 것과 남이 잘못됨을 보고 슬퍼하기도 한다. 즉 남의 슬픔이 나의 슬픔인 1인칭으로 체험되는 것이다. 자기의 슬픔을 도마나사, 남의 슬픔을 자기의 슬픔으로 승화시키는 것은 카루나이다. 천수경에 마하 가로니가야할 때 가로니가야가 카루나이다.

셋째, 희(喜)는 자기나 자기 가족이 잘 될 때 기쁠수도 있지만, 이웃의 행운이 자기가 잘 된것같은 기쁨으로 나타난기도 한다. 자기의 가족이나 자신의 기쁨은 소나마나사라고 하여 당연한 기쁨이지만, 이웃의 행운이 자기의 기쁨으로 다가옴은 참 어렵고 힘들다. 남의 자식이 잘 되면 겉으로는 축하해주지만 속으로 내 자식이 그렇게 되었으면 하고 속내 질투하는 것이

일반인의 마음이다. 남의 기쁨을 자기의 기쁨으로 승화하는 것을 무디따라고 한다.

넷째, 사(舍)는 버릴 사, 또는 집 사라고 한다. 그러나 이것은 버린다기 보다는 기다린다는 의미이다. 내가 선의로 행한 것을 오해하거나 알아주지 않더라도 언젠가는 알아주겠지 하고 기다리는 마음이다. 이것을 우팩사라고 한다.

간혹 주변 아이들 중에 싸움하는 것을 물어보면 자기는 선행으로 하였는데 상대방 아이가 오해를 하여 싸운다는 이야기를 듣곤 한다. 오해가 풀릴 때까지 기다리는 마음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 보리사 

 

* 아픔과 고통 뒤에 찾아오는 행복이란, 참으로 감개무량한 일이 아닐 수 없는가 봅니다. 자신이 살아있다고 하는 것에 대한 모든 중생들에게 고맙고 감사할 뿐이라며, 오늘도 한 중생이 산사에서 기도를 올리는 모습은 아름답기만 합니다.
절망의 나락에 떨어져 있는 중생들을 구제하는 불보살의 마음은 어떨까요. 중생들을 구제하실 때 품고 있는 한없는 마음은 네 가지다. 바로 사무량심이다. 다르게는 사등심이니, 사등지라고도 부르고 있다.
구체적으로 들여다보면, 한없는 ‘자(慈)’의 마음, 한없는 ‘비(悲)’의 마음, 한없는 ‘喜(희)’의 마음, 한없는 ‘捨(사)’의 마음, 네 가지다.
〈중아함경〉권21 ‘장수왕품’에서 부처님께서는 “아난아, 나는 본래 너를 위하여 사무량심을 설하였다. 비구는 마음을 ‘자(慈)’와 함께하여 …일체에 널리 두루하게 한다.…이와같이 ‘비’와 ‘희’, ‘사’도 함께 있게 하여 일체 세간에 두루 가득 차게 성취하라. 그리고는 평온함을 얻고 힘을 얻으며, 즐거움을 얻어서 몸과 마음이 번뇌로 더러워지지 않고 종신토록 범행(梵行)을 하리라 ” 고 하셨다.
그렇다면 왜 사무량심은 ‘무량’ 할까.
중생이 한없기 때문이고 사무량심이 불러오는 복이 한없기 때문이다. 또한 그에 따르는 결과가 한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한없이 많은 보살이 한없이 많은 중생을 만나서, 만나는 중생마다 그들이 필요로 하는 모든 것을 할 수 있도록 힘을 주는 것이 한없는 네 가지 마음의 의미를 말하고 있는 것이다.
〈아비달마대비바사론〉에서 “慈에는 여락의 행상(行相)이 있고, 悲에는 발고(拔苦)의 행상이 있다” 고 정의를 내리고 있듯이, ‘자의 마음은 중생에게 즐거움을 주는 것이고, ‘비의 마음은 중생의 괴로움을 없애주는 것이라 설명하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래서 불보살께서는 중생들에게 펼치는 구제의 방편에서 가장 기본적인 것이 자비, 즉 괴로움을 없애고 즐거움을 주는 일이다. 중생들의 모든 것을 다 살필 수 있는 대지혜를 갖추고 있기 때문이 아닌가.
사무량심의 한없는 ‘자’ 의 마음과 한없는 ‘비’ 의 마음은 서로가 서로의 바탕이 되고 있다.
慈의 마음으로 즐거움을 주려고 해도 悲의 마음으로 괴로움을 없애지 않으면, 즐거움을 주는 일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으로 보면 무리가 없을 듯싶다.
悲의 마음으로 괴로움을 없애야 즐거움을 주는 일이 비로소 성취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悲의 마음이 慈의 마음의 바탕이 된다. 悲의 마음으로 괴로움을 없애주려고 해도, 慈의 마음으로 즐거움을 주지 않으면 괴로움은 끝내 사라지지 않는다. 慈의 마음으로 즐거움을 없애주어야 괴로움이 비로소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니라. 고통을 여의고 낙을 얻었다면 어찌 기쁘지 않을 것인가. 이게 바로 ‘喜’의 마음이고, 중생들을 평등하게 모아 아무런 원망도 없게 하는 것이 또한 ‘捨’ 의 마음이다.
사무량심이 중생을 구제한다는 불보살의 마음이라고 하는 것 때문에 보살과 중생을 따로 생각해서는 안 될 일이다. 누구나 성불할 수 있다는 논리를 넘어서 부처님이라는 논리로 보면, 구제하는 보살도 구제받는 중생도 이미 부처이기에 누가 누구랄 것 없이 모두가 사무량심을 갖추고 살아가야 하지 않을까. - 제주불교신문 

 

'영문으로 읽는 불교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승 불교 Mahayana Buddhism  (0) 2022.08.18
업 Karma  (0) 2022.08.17
보살(菩薩) Bodhisattva  (0) 2022.08.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