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설대안반수의경(佛說大安般守意經) 하권
후한(後漢) 안식(安息) 안세고(安世高) 한역 / 後漢安息三藏安世高譯
佛說大安般守意經 卷下 1
出息入息自覺,出息入息自知;當時爲覺,以後爲知;覺者謂覺息長短,知者謂知息生滅、麤細、遲疾也。
“날숨과 들숨을 스스로 깨닫고 날숨과 들숨을 스스로 아는 것이니, 바로 그 때가 각(覺)이 되고 그 다음이 지(知)가 되는 것이니,
각(覺)은 숨의 길고 짧음을 깨닫는 것이요, 지(知)는 숨이 생기고 소멸함과, 거칠고 미세함과, 더디고 빠름을 아는 것이다.
出息入息覺盡止者,謂覺出入息欲報時爲盡,亦計萬物身生復滅止者,謂意止也。
날숨과 들숨에서 진(盡)과 지(止)를 깨닫는다는 것은,
이른바 날숨과 들숨을 깨달아 때를 맞추고자 하는 것은 진(盡)이 되고,
또한 만물과 몸이 생겨났다가 다시 멸함을 헤아리는 것은 지(止)가 된다.
見觀空者,行道得觀,不復見身。便墮空無所有者,謂意無所著;意有所著因,爲有斷六入,便得賢明。賢謂身,明謂道也。
공(空)을 보고 관하는 견관공(見觀空)이란, 도를 행하여 관(觀)을 얻어서 다시 몸을 보지 않아서 공(空)과 무소유(無所有)에 떨어지는 것이니,
이른바 뜻에 집착하는 바가 없는 것이니, 뜻에 집착한 바가 있으면 이로 인하여 소유(所有)가 있게 되나,
6입(入)을 끊으면 문득 현명(賢明)을 얻을 것이니, 현(賢)은 몸을 말하고, 명(明)은 도를 말하는 것이다.
知出何所、滅何所者,譬如念石出、石入,木石便滅。五陰亦爾,出色入痛痒,出痛痒入思想;出思想入生死,出生死入識,已分別是,乃墮三十七品經也。
어느 곳에서 나오고 어느 곳에서 멸하는지를 안다는 것은,
비유하자면, 돌을 생각하다가 돌에서 나와 나무에 들어가면, 돌이 곧 소멸하는 것과 같이,
5음(陰) 또한 그러한 것으로, 색에서 나와 통양(痛痒)에 들어가고, 통양에서 나와 사상(思想)에 들어가며,
사상에서 나와서 생사에 들어가고, 생사에서 나와서 식(識)에 들어가니,
이러한 것을 분별한다면 이에 '37품경(37 조도품)'을 따르는 것이다.
問:何等爲思惟無爲道?
報:思爲挍計,惟爲聽,無謂不念萬物,爲者如說行,道爲得,故言思惟無爲道也。
묻겠습니다; 무엇이 무위도(無爲道)를 사유(思惟)하는 것인가?
답하나니; 사(思)는 헤아리는 것이고, 유(惟)는 듣는 것이며, 무(無)는 만물을 생각하지 않는 것이고,
위(爲)는 설한 대로 행하는 것이며, 도(道)는 얻음이 되기 때문에, 무위도(無爲道)를 사유한다고 말하는 것이며,
思爲念,惟爲分別白黑。黑爲生死,白爲道。道無所有,已分別無所有,便無所爲,故言思惟無爲道。
若計有所爲、所著,爲非思惟。思亦爲物,惟爲解意;解意便知十二因緣事。亦謂思爲念,惟爲計也。
사(思)는 염(念)이 되고, 유(惟)는 흑백(黑白)을 분별함이 되나니,
흑(黑)은 생사가 되고, 백(白)은 도가 되며, 도는 소유가 없는 무소유(無所有)이니,
무소유(無所有)라는 것을 이미 분별한다면 곧 무소유(無所有)인 까닭에 무위도를 사유한다고 말할 수 있지만,
만약 소위(所爲)와 집착하는 바가 있다고 계교(計校)한다면, 사유가 아닌 것이며,
사(思)는 또한 물(物)이 되고 유(惟)는 뜻을 이해함이 되나니, 뜻을 이해한다면 문득 12인연을 알게 되며,
또한 사(思)는 염(念)이 되고, 유(惟)는 헤아림이 되는 것이다.
斷生死得神足,謂意有所念爲生,無所念爲死。得神足者,能飛行故,言生死當斷也。
생사를 끊고 신족(神足)을 얻는다는 것은, 이른바 뜻에 생각하는 바가 있으면 생(生)이 되고, 생각하는 바가 없으면 사(死)가 되나니, 신족(神足)을 얻은 이는 능히 날아다닐 수 있기 때문에 마땅히 생사를 끊어야 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得神足有五意:一者、喜;二者、信;三者、精進;四者、定;五者、通也。四神足念不盡力得五通,盡力自在向六通,爲道人四神足,得五通盡意可得六通
盡意,謂萬物意不欲也。一、信;二、精進;三、意;四、定;五、黠,是五事,爲四神足。念爲力者,凡六事也。黠 약을 힐
신족을 얻음에 다섯 가지의 뜻이 있으니, 첫째는 희(喜), 둘째는 신(信), 셋째는 정진, 넷째는 정(定), 다섯째는 통(通)이다.
4신족에서 염력(念力)이 다하지 않으면 5통(通)을 얻고, 염력이 다하여 자재(自在)로우면 6통으로 향하나니,
도인(道人)으로서 4신족을 한다면 5통을 얻고, 뜻을 없앤다면 가히 6통을 얻을 것이다.
뜻이 다한 진의(盡意)란, 이른바 만물을 뜻으로 원하지 않는 것이니,
첫째는 신(信), 둘째는 정진(精進), 셋째는 의(意), 넷째는 정(定), 다섯째는 지혜(黠힐)이니,
이 다섯 가지가 4신족이 되고, 생각이 힘이 되는 것은 무릇 여섯 가지의 육사(六事)이다.
從信爲屬四神足念,從喜、從念精進、從定、從黠,是爲屬五根也。從喜定,謂信道;從力定,謂精進;從意定,謂意念定;從施定,謂行道也。爲種故有根,有爲之事皆爲惡,便生想。
신(信)을 따르는 것은 4신족념(神足念)에 속하며,
희(喜)를 따르고 정진을 따르고 정을 따르고 지혜를 따르는 것은 5근(根)에 속하며,
희정(喜定)에 따름을 도를 믿는 신도(信道)라 하고, 역정(力定)을 따름을 정진이라고 하며,
의정(意定)을 따름을 의념정(意念定)이라 하고, 시정(施定)을 따름을 도를 행하는 행도(行道)라 하나니,
종자가 되기 때문에 뿌리가 있으며, 함이 있는 유위(有爲)는 모두 악이 되므로 문득 상(想)이 생기게 하는 것이다.
不能得勝。謂得禪是因爲力,亦謂惡不能勝善意。滅復起,故爲力。力定者,惡意欲來,不能壞;善意故,爲力定也。
능히 이기지 못한다는 불능득승(不能得勝)이란, 이른바 선(禪)을 얻음은 바로 인(因)이 힘이 되며, 또한 악이 능히 선한 뜻을 이기지 못함을 말하는 것으로,
소멸했다가 다시 일어나기 때문에 힘이 되는 것이니, 역정(力定)이란 악한 뜻이 오려고 하여도 능히 선한 뜻을 파괴할 수 없기 때문에 역정(力定)이 되는 것이다.
道人行道未得觀,當挍計得觀。在所觀意不復轉,爲得觀。止惡一法,爲坐禪;觀二法,有時觀身,有時觀意,有時觀喘息,有時觀有,有時觀無,在所因緣當分別觀也。止惡一法,觀二法,惡已盡。
도인이 도를 행하여 아직 관(觀)을 얻지 못하였다면, 마땅히 관 얻기를 계교(計校)해야 할 것이니, 있는 곳에서 뜻을 관하되 다시 굴리지 않는 것이 관을 얻음이 되는 것이다.
악한 한 가지의 일법(一法)을 멈추고 좌선(坐禪)하여서 두 가지의 이법(二法)을 관하는 것이니, 때로는 몸을 관하기도 하고, 때로는 뜻을 관하기도 하며, 때로는 헐떡거리는 얕은 숨을 관하기도 하고, 때로는 유(有)를 관하기도 하며, 때로는 무(無)를 관하기도 하니, 인연이 있는 곳에서 마땅히 분별하여서 관해야 하나니,
악한 일법(一法)을 멈추고 두 가지의 이법(二法)을 관하면, 악은 이미 없어진 것이다.
止觀者爲觀道。惡未盡不見道,惡已盡,乃得觀道也。止惡一法爲知惡,一切能制不著意爲止,亦爲得息想隨止。得息想隨止,是爲止惡一法。惡已止,便得觀故。爲觀二法,爲得四諦,爲行淨。
멈추어 관한다는 지관(止觀)은, 도를 관하는 것이니, 악이 아직 다하지 않았으면 도를 보지 못하며, 악이 없어진 뒤에야 마침내 도를 관함을 얻게 되는 것이며,
악한 한 가지의 일법(一法)을 멈춤이 악을 앎이 되나니, 일체를 능히 제어하여서 뜻에 집착하지 않음이 멈춤이 되며, 또한 숨을 세어서 서로 따라 상수하여서 멈춤이 되는 것이다.
숨을 세어서 서로 따라 상수하여 멈춤이 바로 악한 한 가지의 일법을 멈추는 것이니, 악이 이미 멈추었으면 문득 관(觀)을 얻기 때문에 두 가지 법을 관함이 되며, 또한 4제(諦)를 얻음이 되며, 정(淨)을 행함이 되는 것이다.
當復作淨者,識苦棄習,知盡行道。如日出時淨,轉出十二門故,經言:從道得脫也。去冥見明,如日出時,譬如日出多所見,爲棄諸冥。
마땅히 다시 정(淨)을 지어야한다는 것은, 고(苦)를 알아서 습(習)을 버리고, 다함의 진(盡)을 알아서 도를 행하는 것이니,
마치 해가 돋을 때에 청정함이 12문(門)에서 굴러 나옴과 같기 때문에 경(經)에서 도(道)를 좇아 해탈을 얻는다고 말하였다.
어둠을 버리고 밝음을 보는 것이 마치 해가 돋을 때와 같으니, 비유하자면, 해가 돋으면 보이는 것이 많아서 모든 어둠을 쓸어버리는 것과 같다.
冥爲苦,何以知爲苦?多所罣礙,故知爲苦。何等爲棄習?謂不作事。
어둠의 명(冥)이 고(苦)가 되나니, 어떻게 고가 됨을 아는 것인가?
걸리는 괘애(罣礙)하는 바가 많기 때문에 고(苦)가 됨을 아는 것이다.
무엇이 습(習)을 버림이 되는가? 이른바 일을 짓지 않는 것이다.
何等爲盡證?謂無所有。道者,明識苦、斷習、盡證、念道。識從苦生,不得苦,亦無有識,是爲苦也。
무엇이 증득함을 다하는 진증(盡證)이 되는 것인가? 이른바 소유가 없는 것이니, 도(道)는 고(苦)를 분명하게 인식하여 습(習)을 끊고 증득함을 다하여 도를 생각하는 것이다.
盡證者,謂知人盡。當老病死證者,知萬物皆當滅,是爲盡證也。譬如日出作四事:一、壞冥,謂慧能壞癡;二、見明,謂癡除獨慧在;三、見色萬物,爲見身諸所有惡露;四、成熟萬物,設無日月,萬物不熟;人無有慧,癡意亦不熟也。
증득함을 다하는 진증(盡證)이란, 이른바 사람은 마땅히 늙고 병들고 죽는다는 것을 알아서 증득하는 것이며,
만물도 모두 마땅히 멸하여 없어지는 것임을 아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증득함을 다함의 진증(盡證)이 되나니,
비유하자면, 해가 돋아서 네 가지의 일을 지음과 같으니,
첫째는 어둠을 파괴함이니, 지혜(慧)가 능히 어리석음의 치(癡)를 파괴함을 말하고,
둘째는 소견이 밝음이니, 어리석음을 없애면 홀로 지혜만 있음을 말하며,
셋째는 만물의 색을 보는 것이니, 몸에 소유한 모든 악로(惡露)를 보는 것이요,
넷째는 만물이 성숙(成熟)함이니, 만약 해와 달이 없으면 만물이 성숙하지 못하는 것과 같이 사람도 지혜와 어리석음이 없으면 뜻이 성숙하지 못하는 것이다.
上頭行俱行者,所行事已行,不分別說,謂行五直聲,身心幷得行也。
위의 행을 다 행한 이는 행할 바의 모두가 이미 행하여진 것이므로 분별하여 설하지 않으니, 이른바 5직성(直聲)을 행하여 몸과 마음이 아울러 행을 얻는 것이다.
從諦念法,意著法中;從諦念法,意著所念是便生是,求生死得生死,求道得道。內外隨所起意,是爲念法。意著法中者。
진리의 제(諦)를 좇아서 법을 생각하여, 뜻이 법 가운데에 있고, 제를 좇아서 법을 생각하여, 뜻이 생각하는 바에 있으면, 이것이 문득 생겨나 생사를 구하고, 생사를 얻어서 도를 구하며, 도를 얻어서 안과 밖으로 행을 따라 뜻을 일으키니, 이것이 바로 법을 생각하여 뜻이 법 가운데에 있는 의착법중(意著法中)인 것이다.
從四諦自知意生,是當得,是不生,是不得,是便卻,意畏不敢犯。所行所念常在道,是爲意著法中也。是名爲法,正從諦本起,本著意。
4제(諦, 사성제)를 좇아서 저절로 뜻이 생겨남을 안다면, 이것은 마땅히 태어나지 않고 얻을 수 없음을 얻은 것이니, 이것이 바로 뜻을 제거하여서 감히 범하지 못하는 것이고,
행하는 바와 생각하는 바가 항상 도에 있으면, 이것이 바로 뜻이 법 가운데에 있음이 되나니,
이를 법정(法正)이라고 하는 것으로, 진리의 제(諦)의 근본을 좇아 근본을 일으켜 뜻에 두는 착의(著意)인 것이다.
法正者,謂道法。從諦,謂四諦。本起著意者,謂所向生死萬事,皆本從意起。
법정(法正)이란 도법(道法)을 말하고, 진리의 제(諦)를 따른다는 것은 4제의 근본에서 일어남을 말하며,
뜻을 둔다는 착의(著意)란, 향하는 바의 생사와 일체의 일이 모두 본래의 뜻을 좇아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便著意,便有五陰所起。意當斷,斷本五陰便斷。有時自斷不念,意自起爲罪,復不定在道爲罪,未盡故也。
뜻을 둔다는 착의(著意)한다면 곧바로 5음(陰)이 생기므로 일으킨 바의 뜻을 마땅히 끊어야 하는 것이니, 근본을 끊으면 5음도 끊어지며, 때로는 저절로 끊어져서 생각하지 않게 되나니,
뜻이 저절로 일어나면 죄가 되고, 다시 도에 있지 않으면 죄가 되는 것으로, 아직 다하지 않은 미진(未盡)이기 때문이다.
意著法中者,諦意念萬物,爲墮外法中,意不念萬物,爲墮道法中。
뜻이 법 가운데 있다는 의착법(意著法)이란 것은, 진리의 제(諦)의 뜻으로 만물을 생각하면 외법(外法) 가운데에 떨어지게 되고, 뜻으로 만물을 생각하지 않으면 도법 가운데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五陰爲生死法,三十七品經爲道法。意著法中者,謂制五陰不犯,亦謂常念道不離,是爲意著法中也。
5음(陰)은 생사법이 되고, '37품경(37 조도품)'은 도법(道法)이 되나니,
뜻이 법 가운데에 있다는 의착법(意著法)이란, 이른바 5음을 제어하여 범하지 않는 것이고, 또한 항상 도를 생각하여 여의지 않음을 말하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뜻이 법 가운데에 있는 의착법(意著法)인 것이다.
所本正者,所在外爲物本,爲福所;在內摠爲三十七品經,行道非一時端故。
본래 바른 곳이라는 소본정(所本正)이라는 것은, 밖에 있으면 물(物)의 근본이 되고 복(福)이 되며, 안에 있으면 모두 '37품경'이 되나니, 도를 행함은 한 때의 끝인 일시단(一時端)이 아니기 때문이다.
言所本者,謂行三十七品經法,如次第隨行,意不入邪爲正故 名爲所本正 所本正,各自異行,以無爲對本,以不求爲對正;以無爲爲對無爲,以不常爲對道,以無有爲對亦無有所、亦無有本、亦無有正,爲無所有也。定覺受身,如是法。
근본으로 하는 바의 소본(所本)이라 말하는 것은, 이른바 '37품경'의 법을 행함에 있어서 만약 차례대로 행을 따른다면, 뜻이 사(邪)에 들어가지 않는 바름이 되기 때문에 본래의 바른 곳의 본정(本正)이라 하는 것이니,
본래 바른 본정(本正)은 각각의 행이 다른 것이니, 무위(無爲)로써 근본을 대(對)하고, 구하지 않음으로써 정(正)을 대하며, 무위(無爲)를 일삼음으로써 무위를 대하고, 영원하지 않음으로써 도(道)를 대하며, 무유위(無有爲)로써 대하며, 또한 소유도 없는 무소유(無所有)이고, 근본도 없는 무본(無本)이며, 바름도 없는 무정(無正)이 무소유(無所有)가 되는 것이니,
정각(定覺)으로써 몸에 이와 같은 법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道說謂法定。道說者,謂說所從因緣得道。
도설(道說)은 이른바 법정(法定)이니, 도설이라는 것은 좇아 온 바의 인연을 설하여 도를 얻음을 말하며,
見陰受者,爲受五陰。有入者,爲入五陰中。因有生死陰者,爲受正;正者,道自正,但當爲自正心耳。
음(陰)을 보고 받아들인다는 것은 5음을 받아들이는 것이며,
들어감이 있다는 유입(有入)이란 것은 5음 가운데 들어가는 것이며,
인하여 생사음(生死陰)이 있다는 것은 정(正)을 받아들이는 것이며,
정(正)은 도가 스스로 바른 것이니 다만 스스로의 마음을 바르게 할 뿐인 것이다.
人行安般守意,得數,得相隨,得止,便歡喜,是四種。譬如鑽火見煙,不能熟物,得何等喜?用未得出要故也。
사람들은 안반수의(安般守意)를 행하여 숨을 세는 수식을 얻고, 서로 따름의 상수를 얻고, 멈춤의 지(止)를 얻어서 환희하지만,
이 네 가지를 비유하자면, 나무를 비비면 연기는 날지라도 아직 물(物, 음식)을 익힐 수 없는 것과 같은 것이니, 무엇을 얻었다고 기뻐할 것인가? 아직 뛰어난 요체(要體)를 얻지 못한 까닭이다.
'안반수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설대안반수의경(佛說大安般守意經) 하권 3 (0) | 2024.12.26 |
---|---|
불설대안반수의경(佛說大安般守意經) 하권 2 (0) | 2024.12.25 |
불설대안반수의경(佛說大安般守意經) 상권 8 (0) | 2024.12.24 |
불설대안반수의경(佛說大安般守意經) 상권 7 (1) | 2024.12.24 |
불설대안반수의경(佛說大安般守意經) 상권 6 (0) | 2024.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