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智度論 釋校量舍利品 第三十七 卷五十九   第五十八                                    

聖者龍樹菩薩造 용수 보살 지음.
後秦龜茲國三藏法師鳩摩羅什奉
 詔譯 후진 구자국 구마라집 한역송성수 번역/김형준 개역

37. 교량사리품(校量舍利品) 풀이함 7

 

釋提桓因白佛言:“世尊!般若波羅蜜,大功德成就!世尊!般若波羅蜜,一切功德成就!世尊!般若波羅蜜,無量功德成就!無邊功德成就!無等功德成就!

석제환인이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반야바라밀은 대공덕(大功德)의 성취이며, 

세존이시여, 반야바라밀은 일체공덕(一切功德)의 성취이며,

세존이시여, 반야바라밀은 무량한 공덕의 성취이고, 무변한 공덕의 성취이며, 더할 나위 없는 무등(無等) 공덕의 성취입니다.

 

世尊!若有善男子、善女人書是般若波羅蜜經卷,恭敬、供養、尊重、讚歎,華香乃至幡蓋,如般若波羅蜜所說正憶念;復有善男子、善女人書般若波羅蜜經卷與他人,其福何所爲多?”

세존이시여, 만약 어떤 선남자ㆍ선여인는 이 반야바라밀의 경전을 서사해 공경하고 존중하고 찬탄하면서 꽃과 향 내지 번기와 일산으로 공양하고, 반야바라밀에서 설하는 바대로 바르게 정억념(正憶念)하며,

다시 어떤 선남자나 선연인은 반야바라밀의 경전을 서사해서 다른 사람에게 준다면,

어느 편의 복이 더 많겠는지요?”


佛告釋提桓因:“憍尸迦!我還問汝,隨汝意報我。若有善男子、善女人供養諸佛舍利,恭敬、尊重、讚歎,華香乃至幡蓋;若復有人分舍利如芥子許與他人,令供養、恭敬、尊重、讚歎,華香乃至幡蓋,其福何所爲多?”

부처님께서 석제환인에게 말씀하셨다.

“교시가야, 내가 다시 그대에게 묻겠으니, 생각나는 대로 나에게 대답하거라.

만약 어떤 선남자ㆍ선여인은 모든 부처님의 사리를 공경하고 존중하고 찬탄하면서 꽃과 향 내지 번기와 일산으로 공양하고,

다시 다른 어떤 사람은 사리를 겨자씨만큼 작게 나누어서 다른 사람들에게 주어서 공경하고 존중하고 찬탄하면서 꽃과 향 내지 번기와 일산으로 공양하게 한다면

어느 편의 복이 더 많겠는가?”


釋提桓因白佛言:“世尊!如我從佛聞法中義,若有善男子、善女人自供養舍利,乃至幡蓋;若復有人分舍利如芥子許與他人令供養,其福甚多!

석제환인이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제가 부처님으로부터 들은 바대로의 법의(法義)로는,

어떤 선남자ㆍ선여인은 스스로 사리에 공양하고 나아가 번기와 일산으로 공양하며,

다시 다른 사람은 사리를 겨자씨만큼 나누어서 다른 이들에게 나누어 주어 공양하게 한다면, 이 사람의 복이 더욱 더 많습니다.


世尊!佛見是福,利衆生故,入金鋼三昧中,碎金鋼身作末舍利。何以故?有人佛滅度後,供養佛舍利,乃至如芥子許,其福報無邊,乃至苦盡故。”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는 이 복이란 중생들을 이롭게 하는 것이라고 보셨기 때문에 금강삼매(金剛三昧)에 들어가셔서 금강으로 된 몸을 부수어 가루 사리를 만드셨습니다.

왜냐하면 어떤 사람이 부처님께서 멸도(滅度)하신 뒤에 부처님의 사리를 겨자씨만큼이라도 공양한다면 그 복의 과보는 끝이 없고 괴로움까지도 다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佛告釋提桓因:“如是!如是!憍尸迦!若善男子、善女人書般若波羅蜜經卷,供養、恭敬,華香乃至幡蓋;若復有人書般若波羅蜜經卷,與他人令學,是善男子、善女人其福甚多!

부처님께서 석제환인에게 말씀하셨다. “참으로 그러하고 그러하느니라.

교시가야, 만약 어떤 선남자ㆍ선여인은 반야바라밀의 경전을 서사해 공경하면서 꽃과 향과 또한 번기와 일산으로 공양하고,

다시 다른 어떤 사람이 반야바라밀의 경전을 서사해 다른 사람에게 주어서 배우게 한다면, 이 선남자ㆍ선여인의 복이 더욱더 많느니라.


復次,憍尸迦!善男子、善女人如般若波羅蜜中義爲他人說,開示、分別,令易解,是善男子、善女人勝於前善男子、善女人功德。所從聞般若波羅蜜,當視其人如佛,亦如高勝梵行人。

다시 교시가야, 선남자ㆍ선여인이 반야바라밀의 이치를 다른 사람을 위하여 해설하여 열어 보이고, 알기 쉽게 분별한다면, 이 선남자ㆍ선여인은 앞의 선남자ㆍ선여인의 공덕보다 더 뛰어나나니,

반야바라밀을 듣고는, 그 사람을 마치 부처님과 같이 보아야 하고, 또한 높고 뛰어난 범행의 고승범행인(高勝梵行人)과 같이 보아야 하느니라.


何以故?當知般若波羅蜜卽是佛;般若波羅蜜不異佛,佛不異般若波羅蜜。過去、未來、現在諸佛皆從般若波羅蜜中學,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及高勝梵行人。高勝梵行人者,所謂阿鞞跋致菩薩摩訶薩,亦學是般若波羅蜜,當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

왜냐하면 반야바라밀이 곧 부처님이니, 반야바라밀은 부처님과 다르지 않으며, 부처님은 반야바라밀과 다르지 않다고 알아야 하기 때문이니,

과거ㆍ미래ㆍ현재의 모든 부처님은 모두가 반야바라밀에서 배워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증득하셨고, 그리고 높고 뛰어난 범행의 의 고승범행인(高勝梵行人)이 되셨느니라.

높고 뛰어난 범행의 의 고승범행인(高勝梵行人)이란 이른바 아비발치(阿毘跋致)이며,

보살마하살은 또한 이 반야바라밀을 배워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어야 하느니라.


聲聞人亦學是般若波羅蜜,得阿羅漢道;求辟支佛道人亦學是般若波羅蜜,得辟支佛道;菩薩亦學是般若波羅蜜,得入菩薩位。

성문인 또한 이 반야바라밀을 배워서 아라한의 도(道)를 얻고, 벽지불의 도를 구하는 사람 또한 이 반야바라밀을 배워서 벽지불의 도(道)를 얻으며, 보살 또한 이 반야바라밀을 배워서 보살의 지위인 보살위(菩薩位)에 들어가게 되느니라.


以是故,憍尸迦!善男子、善女人欲供養現在諸佛,恭敬、尊重、讚歎,華香乃至幡蓋,當供養般若波羅蜜!

그러므로 교시가야, 선남자ㆍ선여인이 현재의 모든 부처님을 공경하고 존중하고 찬탄하면서 꽃과 향 내지 번기와 일산으로 공양하고자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공양해야 하느니라.


我見是利益,初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時,作如是念:‘誰有可供養、恭敬、尊重、讚歎、依止住者?’

나는 이러한 이익을 보았기에, 처음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을 때에 생각하기를,

‘그 누구에게 공양하고 공경하고 존중하고 찬탄하면서 의지하고 머물러야 하는 것인가’라고 하였었느니라.


憍尸迦!我,一切世閒中,若天、若魔、若梵、若沙門、婆羅門中,不見與我等者,何況有勝者!我自思念:‘我所得法,自致作佛;我供養是法,恭敬、尊重、讚歎,當依止住,依是法。何等是法?所謂般若波羅蜜。’

교시가야, 나는 일체 세간에서 하늘과 악마와 범천과 사문과 바라문 가운데에서 나와 같은 등자(等者)를 보지 못하였거늘, 하물며 보다 뛰어난 승자(勝者)가 있겠는가?

나는 스스로 생각하기를 ‘내가 얻게 된 법은 저절로 부처님이 되기에 이르는 것이라. 나는 이 법을 공양하면서 공경하고 존중하고 찬탄하며 이 법에 마땅히 의지해야 하고 머물러야 하리라.’고 하였나니,

무엇이 이 법인가? 이른바 반야바라밀이니라!


憍尸迦!我自供養是般若波羅蜜,恭敬、尊重、讚歎已,依止住;何況善男子、善女人欲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而不供養般若波羅蜜,恭敬、尊重、讚歎,華香、瓔珞乃至幡蓋?何以故?般若波羅蜜中生諸菩薩摩訶薩,諸菩薩摩訶薩中生諸佛。

교시가야, 나 자신이 이 반야바라밀을 공양하고 공경하고 존중하고 찬탄하였으며, 의지하고 머물렀거늘,

하물며 선남자ㆍ선여인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고자 하면서 반야바라밀을 공양하고 존중하고 찬탄하며 꽃과 향과 영락 내지 번기와 일산으로써 공양하지 않겠는가?

왜냐하면 반야바라밀에서 모든 보살마하살이 나오며, 모든 보살마하살 중에서 모든 부처님이 나오기 때문이니라.


以是故,憍尸迦!善男子、善女人若求佛道、若求辟支佛道、若求聲聞道,皆應供養般若波羅蜜,恭敬、尊重、讚歎,華香乃至幡蓋。”

그러므로 교시가야, 선남자ㆍ선여인으로서 부처님 불도(佛道)를 구하거나, 벽지불의 도(道)를 구하거나 성문의 도(道)를 구하는 이라면, 모두 반야바라밀을 공양하고 공경하고 존중하고 찬탄하며 꽃과 향 내지 번기와 일산으로써 공양해야 하느니라.”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