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堪能四重重任 - 정법을 거두어들이는 자의  가지 책임

 

又如大地持四重檐(우여대지지사종담) 何等爲四(하등위사)  

 대지가  가지 무거운 짐을 지고 있는 것과 같으니, 어떤 것이   가지인가?

一者大海(일자대해) 二者諸山(이자제산) 三者草木(삼자초목) 四者衆生(사자중생)

첫째는  바다이고둘째는 여러 산이고셋째는 초목이고넷째는 중생들이니

[또한 마치 대지가 큰 바다와 모든 산과 초목 그리고 여러 생명체 등의 네 가지 무거운 짐을 지고 있는 것과 같이,] 

如是攝受正法善男子善女人(여시섭수정법선남자선여인建立大地(건립대지

이와 같이 바른 법=正法을 거두어들이는 선남자, 선여인도 대지를 건립하여 

堪能荷負四種重任(감능하부사종중임) 喩彼大地(유피대지 견딜 

 가지 무거운 책임을 능히 짊어지려고 하니비유하자면  대지와 같습니다.

[대승의 올바른 가르침을 체득한 자질이 훌륭한 선남자․선여인은 부처님의 정법이 널리 행해지는 세계를 만드는 데 다음과 같이 중요한 책임을 감당할 것입니다. 즉 그것은 앞에서 대지가 네 가지 종류의 무거운 짐을 감당하고 있다는 비유와 같습니다.]

何等爲四(하등위사)?謂離善知識(위이선지식) 無聞非法衆生(무문비법중생)

어떤 것이 넷인가 하면선지식을 떠나 (만나지 못하여) 정법이 아닌 =非法 들은 중생들을

[그러면 대승의 올바른 가르침을 체득한 선남자․선여인이 감당해야 할 네 가지 중요한 책임은 어떤 것인가 하면, 이른바 대승의 올바른 진리를 가르치는 훌륭한 스승을 버리고 진리가 아닌 것을 들으려는 중생들에게 대자대비로써 어여삐 여겨

以人天善根而成熟之(이인천선근이성숙지) 求聲聞者授聲聞乘(구성문자수성문승)

인간과 천상의 선근으로써 키워주고, 성문을 구하는 자는 성문의 가르침=聲覺乘 주고

[우선 사람과 천상인의 선근(善根)을 가르쳐 이들의 근기를 성숙시켜 주며, 그리고 성문을 구하는 사람에게는 열반의 가르침을 설해주고,] 

求緣覺者授緣覺乘(구연각자수연각승) 求大乘者授以大乘(구대승자수이대승)

연각을 구하는 자는 연각의 가르침=緣覺乘 주고, 대승을 구하는 자는 대승의 가르침=大乘 주는 것이오니

[연각을 구하는 사람에게는 12인연 가르침을 설해주고, 대승을 구하는 사람에게는 보살도를 가르쳐 각각 그 근기에 따라 알맞은 선교방편으로써 차츰 최고의 깨달음으로 이끌어 줍니다.]

是名攝受正法善男子善女人建立大地(시명섭수정법선남자선여인건립대지)

이를 이름하여 바른 법을 거두어들이는 선남자, 선여인의 

堪能荷負四種重任(감능하부사종중임)

네 가지 무거운 책임을 감당할 터전을 마련함=建立大地이라 합니다.

[이것을 이름하여 대승의 바른 가르침을 체득한 선남자․선여인이 부처님의 정법이 널리 실행되는 세계를 만드는 데 감당해야 할 네 가지의 중대한 책임이라 말합니다.]

世尊(세존)!如是攝受正法善男子善女人建立大地(여시섭수정법선남자선여인)

세존이시여이와 같이 바른 법을 거두어들이는 선남자, 선여인은 터전을 마련하여

[세존이시여, 이와 같이 대승의 올바른 가르침을 체득한 선남자․선여인이 부처님의 바른 가르침이 실천되는 세계를 만들기 위하여] 

堪能荷負四種重任(감능하부사종중임) 普爲衆生作不請之友(보위중생작불청지우)

 가지 무거운 책임을 능히 짊어짐으로써, 널리 중생을 위하여 청하지 않은 =不請友 되어 

[네 가지의 중대한 책임을 감당한다면 널리 중생을 위하여, 청하지 않아도 자진해서 그들을 위해 올바른 진리를 설하는 좋은 벗이 될 것입니다.] 

大悲安慰哀愍衆生(대비안위애민중생) 爲世法母(위세법모)

중생들을 편안하게 위로하며 불쌍히 (어여삐) 여겨서 세상에서 진리의 어머니=法母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대자대비한 마음으로 미혹에 싸여 있는 중생들을 불쌍히 여겨 번뇌를 제거하도록 그들을 위로함으로써 세상에 대승의 올바른 가르침을 펼치는 어머니와 같은 존재가 되는 것입니다.]

 

◎ 四種寶藏  가지  보배 

 

又如大地有四種寶藏(우여대지유사종보장) 何等爲四(하등위사)

 대지에는  가지의  보배창고=寶藏 있으니, 어떤 것이   가지인가?

一者無價(일자무가) 二者上價(이자상가) 三者中價(삼자중가) 四者下價(사자하가)

첫째  값을 매길  없는 보배둘째는 값이 비싼 보배셋째는 값이 적당한 보배넷째는 값싼 보배이니,

是名大地四種寶藏(시명대지사종보장이것을 대지의  가지 보배창고라 합니다.

如是攝受正法善男子善女人建立大地(여시섭수정법선남자선여인건립대지)

이와 같이 정법을 거두어들이는 선남자 선여인은 대지를 건립하여

得衆生四種最上大寶(득중생사종최상대가)

중생의  가지 가장 크고 훌륭한 보배를 얻게 되는 것으로

何等爲四(하등위사) 攝受正法善男子善女人(섭수정법선남자선여인)

  가지 보배는 무엇인가?  정법을 거두어들이는 선남자 선여인이

[그 네 가지 보배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대승의 올바른 가르침을 체득한 선남자·선여인이] 

無聞非法衆生以人天功徳善根而授與之(무간비법중생이인천공덕선근이수여지)

불법= 듣지 못한 비법 중생에게는 천상이나 인간의 선근 공덕으로 가르치고

[참된 진리를 아직 듣지 못한 중생들에게는 10선법(善法)을 으뜸으로 하는 인천의 공덕과 선근으로써 그에 알맞게 가르침을 주고,]

求聲聞者授聲聞乘(구성문자수성문승) 求縁覺者授縁覺乘(구연각자수연각승)

성문을 구하는 이에게는 성문의 가르침을 주고연각을 구하는 이에게는 연각의 가르침을 주고

[성문을 추구하는 사람에게는 성문에게 알맞은 4성제·8정도의 가르침을 펼쳐 주고, 또한 연각을 추구하는 사람에게는 연각에게 알맞은 12인연법의 가르침을 설해 주며,] 

求大乘者授以大乘(구대승자수이대승) 如是得大寶衆生(여시득대보중생)

대승을 구하는 자에게는 대승의 가르침을 주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훌륭한 보배(가르침) 얻는 중생들은

[대승을 추구하는 사람에게는 그에 알맞은 6바라밀인 대승을 설하여 각각 그들의 근기에 알맞은 방편으로써 가르쳐 줍니다. 이와 같이 가장 큰 보배를 얻은 중생들은] 

皆由攝受正法善男子善女人(개유섭수정법선남자선여인)

정법을 받아들인 모든 선남자 선여인들로 말미암아 

得此奇特希有功徳(득차기특희유공덕)

 奇特=신기하고 희유한 공덕을 얻게 되는 것입니다

[모두 대승의 올바른 가르침을 체득한 선남자·선여인으로부터 기이하고 드문 은혜를 받게 됩니다.]

 

◎ 攝受正法 無異波羅蜜 올바른 가르침을 받아들임과 바라밀
世尊(세존)! 大寶藏者(대보장자) 卽是攝受正法(즉시섭수정법)

세존이시여 보배 창고라는 것은   정법을 받아들이는 것이며,

[세존이시여, 가장 큰 보배라는 것은 대승의 올바른 가르침을 체득하는 것입니다]

世尊(세존)! 攝受正法(섭수정법) 攝受正法者(섭수정법자) 無異正法(무이정법)

세존이시여, 정법을 받아들인다 하였지만, 정법을 받아들인다는 것은 정법과 다르지 않으며, 

[세존이시여, 대승의 올바른 가르침을 체득한 것, 즉 깨달은 대상으로서의 마음과 대승의 올바른 가르침을 체득한 깨닫는 주체로서의 사람이란 부처님께서 설한 올바른 가르침 일 뿐입니다. 이것 이외에 다른 정법은 없습니다.] 

無異攝受正法(무이섭수정법) 正法卽是攝受正法(정법즉시섭수정법)

정법을 받아들인다는 것과도 다르지 않으니, 정법이 곧 정법을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또한 그 외에 다른 대승의 가르침을 체득한다는 것도 없습니다. 왜냐하면 여기서 말한 올바른 진리란 대승의 올바른 가르침을 체득하는 것을 말합니다.]

 

◎ 正法無異波羅蜜 정법과 육바라밀

 檀波羅蜜 - 보시바라밀

世尊(세존)! 無異波羅蜜(무이바라밀) 無異攝受正法(무이섭수정법)

세존이시여, 바라밀과 다르지 아니하며, 정법을 받아들인다는 것과도 다르지 아니하니

[세존이시여, 대승의 올바른 가르침은 보살이 실천하는 여섯 가지의 바라밀과 다르지 않으며, 또한 보살이 실천하는 바라밀은 대승의 올바른 가르침을 체득하는 것과도 다르지 않습니다.] 

攝受正法卽是波羅蜜(섭수정법즉시바라밀) 何以故(하이고)?

정법을 받아들이는 것이  바라밀입니다. 왜냐하면?

[그러므로 대승의 올바른 가르침을 체득하는 것이 곧 보살이 실천 수행하는 바라밀인 것입니다.]

攝受正法善男子善女人(섭수정법선남자선여인)

올바른 가르침=정법을 받아들인 선남자와 선여인은 

[대승의 올바른 가르침을 체득한 선남자·선여인은] 

應以施成熟者以施成熟(응이시성숙자이시성숙)

마땅히 보시로써 성숙시킬 중생에 대해서는 보시로써 성숙케 하는 것이니

[반드시 중생을 구제함에 있어 보시(布施)로써 그 자질을 성숙시킬 수 있는 사람에게는 보시를 행하게 함으로써 그 자질을 성숙시켜 줄 것입니다.] 

乃至捨身支節將護彼意而成熟之(내지사신지절장호피의이성숙시)

나아가 몸과 사지를 버려서라도 그들의 뜻을 따라 보리심을 보호하면서 성숙하게 하니,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몸과 팔·다리까지 다 바쳐, 장차 참된 일을 추구하는 마음을 보호하고 성숙시켜 주며] 

彼所成熟衆生建立正法(피소성숙중생건립정법) 是名檀波羅蜜(시명단바라밀)

그렇게 성숙된 중생이 정법에 안주하는 (바른 법을 세우는 ) 단바라밀(보시바라밀)이라 이름하며,

[그렇게 자질이 성숙된 중생은 앞으로 계속 올바른 가르침을 추구하게 될 것이니, 이것이 바로 보시바라밀[檀波羅蜜]입니다.]

 

 尸波羅蜜 - 지계바라밀

應以戒成熟者(응이계성숙자) 以守護六根(이수호육근淨身口意業(정신구의업)

마땅히 계율(지계)로써 성숙시킬 중생에 대해서는 여섯 가지 감각 기관=六根 守護=지켜 보호하며몸과 (), 뜻으로 짓는 업을 깨끗이 하는 것이니

[반드시 계(戒)로써 그 자질을 성숙시킬 수 있는 사람에게는 우선 여섯 가지 감각 기관인 6근을 잘 다스리게 하여, 몸으로 짓는 행위와 입으로 짓는 구업과 생각으로 짓는 의업 등 3업을 깨끗하게 합니다.] 

乃至正四威儀(내지정사위의將護彼意而成熟之(장호피의이성숙지)

나아가  가지 행주좌와=威儀 올바르게 하여 그들의 보리심을 보호하면서 성숙하게 하는 것이니,

[나아가 움직이거나=行, 머물거나=住, 앉거나=坐, 눕는=臥 것이 모두 규칙에 맞고 방정하여 숭배할 생각아 나게 하는 네 가지의 위의[四威儀]를 바르게 하는 것이니, 또한 그들이 마음을 잘 조절하게 함으로써 그 근기를 성숙시킵니다.] 

彼所成熟衆生建立正法(피소성숙중생건립정법) 是名尸波羅蜜(시명시바라밀)

그렇게 성숙된 중생이 정법에 안주하는 (정법을 세우는 ) 시바라밀(지계바라밀)이라 이름하며,

[그렇게 자질이 성숙된 중생은 올바른 대승의 가르침을 확립시킬 수 있을 것이니, 이것이 바로 지계바라밀[尸羅波羅蜜]이라고 합니다.]

 

 羼提波羅蜜 - 인욕바라밀

應以忍成熟者(응이인성숙자) 若彼衆生罵詈(약피중생매리) 욕할 ,  꾸짖을 

마땅히 인욕으로써 성숙시킬 중생에게는, 비록  중생이 욕하고, 꾸짖고 

[반드시 인욕(忍辱)으로써 그 자질을 성숙시킬 수 있는 사람도 있으니, 가령 저 중생을 꾸짖고] 

毀辱誹謗恐怖(훼욕비방공초)  ,  욕될 ,  헐뜯을 ,  헐뜯을  

헐뜯고 욕설하고 비방하고 위협하고 두렵게 하는 경우에도

[헐뜯고 욕하고 비방하며 위협하고 두렵게 하더라도] 

以無恚心饒益心(이무가에심요익심) 第一忍力乃至顏色無變(제일인력내지안색무변)

화내지 않는 마음과 이롭게 하려는 마음과 크게 참는 힘으로써 얼굴빛도 변하지 않고

[화내지 않는 마음을 내게 하며, 오히려 다른 사람을 이롭게 하려는 마음과 어떠한 일이 있어도 화를 내지 않고 가장 잘 참아 내겠다는 결심으로써 얼굴빛을 붉히지[變] 않게 합니다.] 

將護彼意而成熟之(장호피의이성숙지) 彼所成熟衆生建立正法(피소성숙중색건립정법)

저들의 뜻을 따라 보호하면서 성숙시키면,  성숙시킨 중생이 정법을 세우게 되나니,

是名羼提波羅蜜(시명찬제바라밀 뒤섞일 

이것은 찬제바라밀(인욕바라밀)이라 이름하며,

[그렇게 그들의 마음을 보호함으로써 그 자질을 성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을 인욕바라밀[提波羅蜜]이라고 합니다.]

 

 毘梨耶波羅蜜 - 정진바라밀

應以精進成熟者(응이정진성숙자) 於彼衆生不起懈心(어피중생불기해심)

마땅히 정진으로써 성숙시킬 중생에게는  중생들에게 게으르고 나태한 마음이 일어나지 않게 하고

[반드시 정진(精進)으로써 그 자질을 성숙시킬 수 있는 사람에게는 우선 그 중생들이 게으르고 나태한 마음을 일으키지 않게 하며] 

生大欲心第一精進(생대욕심제일정진) 乃至若四威儀(내지약사위의)

하고자 하는  욕망을 내게 하여 가장 훌륭한 정진과 나아가 행주좌와=사위의로써

[나아가 모든 중생을 구제하겠다는 크나큰 원력[大欲心]과 언제나 가장 훌륭한 정진을 하게 하며, 갖가지 위엄있는 태도[威儀]를 보여 주어서 그들의 생각을 잘 보호하게 합니다.] 

將護彼意而成熟之(장호피의이성숙지)  그들의 뜻을 따라 보호하여 성숙시키면

彼所成熟衆生建立正法(피소성숙중색건립정법) 是名毘梨耶波羅蜜(시명비리야바라밀)

이렇게 성숙된 중생들은 정법을 세우게 되나니이것을 비리야바라밀(정진바라밀)이라 이름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그 자질을 성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을 정진 바라밀[毘梨耶波羅蜜]이라고 합니다.]

 

 禪波羅蜜 선정바라밀

應以禪成熟者(응이선성숙자) 於彼衆生以不亂心(어피중생이불란심)

마땅히 선정으로써 성숙시킬 중생에게는저들 중생에게 不亂心=산란하지 않은 마음과

[반드시 선정(禪定)으로 그 자질을 성숙시킬 수 있는 사람의 경우, 우선 그 중생들의 마음이 산란하지 않게 하여] 

不外向心(불외향심) 第一正念乃至久時所作(제일정념내지구시소작)

밖으로 향하지 않는 마음과 가장 올바른 생각과 나아가 오래전에  일과

[그 마음이 외부의 대상 세계로 향하지 않게 하며, 또한 가장 바른 생각과 심지어 오래 전에 행한 바른 일과] 

久時所說終不忘失(구시소설종불망실) 將護彼意而成熟之(장호피의이성숙지)

오래 전에 말한 바를 끝내 잊지 않고저들의 뜻을 따라 보호하여 성숙되게 하면,

[오래 전에 설한 가르침을 끝내 잊지 않게 하나니, 이와 같이 그들의 생각을 잘 보호함으로써 그 자질을 성숙시킬 수 있게 됩니다] 

彼所成熟衆生建立正法(피소성숙중생건립정법) 是名禪波羅蜜(시명선바라밀)

이렇게 성숙된 중생들이 정법을 세우게 되나니 이것을 선바라밀(선정바라밀)이라 이름하며,

[이렇게 그 자질이 성숙된 중생은 올바른 대승의 가르침을 확립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선정바라밀(禪定波羅蜜)이라고 합니다.]

 

般若波羅蜜 - 반야바라밀

應以智慧成熟者(응이지혜성숙자) 彼諸衆生問一切義(피제중생문일체의)

마땅히 지혜로써 성숙시킬 중생에게는저들이 묻는 일체의 이치에 대하여

[반드시 지혜(智慧)로써 그 자질을 성숙시킬 수 있는 사람에게는 그 중생들이 물어 오는 일체의 질문에 대하여] 

以無畏心而爲演說(이무외심이위연설)一切論(일체론) 一切工巧(일체공교)

두려움이 없는 마음으로써 일체의 논의와 일체의 工巧=기술을 연설하되

[그 이치를 두려움 없는 마음으로 설해 주고, 일체의 논의와 일체의 기교, 그리고 궁극적인 이치 내지 갖가지 수단으로써 모든 현상을 설명하나니] 

究竟明處(구경명처)  乃至種種工巧諸事(내지종종공교제사)

궁극적인 지혜를 내게 하는 곳과 나아가 갖가지 방편으로써 

將護彼意而成熟之(장호피의이성숙지) 彼所成熟衆生建立正法(피소성숙중생건립정법)

저들의 뜻을 따라 보호하여 성숙시키면이렇게 성숙된 중생들이 정법을 세우게 되나니

[이와 같이 그들의 생각을 잘 보호함으로써 그 자질을 성숙시킬 수 있게 되며, 이렇게 성숙된 중생들은 대승의 올바른 가르침을 확립할 수 있으니] 

是名般若波羅蜜(시명반야바라밀이것을 반야바라밀(지혜바라밀)이라 이름합니다.

[이것을 지혜바라밀(般若波羅蜜)이라고 합니다.]

 

是故世尊(시고세존)! 無異波羅蜜(무이바라밀) 無異攝受正法(무이섭수정법)세존이시여,
세존이시여이러하므로 바라밀과 다르지 않으며정법을 거두어들이는 것과도 서로 다르지 않으니,

[그러므로 세존이시여, 바라밀을 실천하는 것과 대승의 올바른 가르침을 체득하는 것은 서로 다르지 않으니] 

攝受正法卽是波羅蜜(섭수정법즉시바라밀)

정법을 거두어들이는 것이  바라밀입니다.

[즉 대승의 올바른 가르침을 체득하는 것이 곧 바라밀을 실천하는 것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