海中의 大龍王      여래 어업 비유의 제 9상

復次佛子야 譬如海中에 有大龍王하니 名大莊嚴이라 於大海中降雨之時에 或降十種莊嚴雨하며 或百或千하며 

부차불자   비여해중    유대용왕       명대장엄      어대해중 강우지시   혹강십종장엄우       혹백혹천 

或百千種莊嚴雨하나니 佛子야 水無分別호대 但以龍王의 不思議力으로 令其莊嚴하야 乃至百千無量差別인달하야 

혹백천종종 장엄우     불자   수무분별        단이용왕    부사의력      영기장엄       내지백천 무량차별 

如來應正等覺도 亦復如是하야 爲諸衆生說法之時에 或以十種差別音說하며 或百或千하며 或以百千하며 

여래응정등각   역부여시       위제중생 설법지시   혹이십종 차별음설     혹백혹천       혹이백천 

或以八萬四千音聲으로 說八萬四千行하며 乃至或以無量百千億那由他音聲으로 各別說法하사 令其聞者로

혹이팔만 사천음성     설팔만사천행       내지혹이 무량백천억 나유타음성     각별설법       영기문자 

皆生歡喜하나니 如來音聲은 無所分別이로대 但以諸佛이 於甚深法界에 圓滿淸淨하사 能隨衆生根之所宜하사 

개생환희         여래음성   무소분별           단이제불   어심심법계    원만청정       능수중생 근지소의 

出種種言音하야 皆令歡喜니라 佛子 是爲如來音聲第九相이니 諸菩薩摩訶薩 應如是知니라 

출종종언음     개령환희        불자   시위여래음성 제구상       제보살마하살   응여시지

 

復次佛子 譬如海中 有大龍王하니 또 불자여, 마치 바닷속에 큰 용왕이 있어

名大莊嚴이라 이름 '대장엄'이라  於大海中 降雨之時 큰 바닷속에서 비를 내릴 때,

或 降十種 莊嚴雨하며 或百 或千하며 혹 열 가지로 장엄한 비를 내리거나 혹은 백 또는 천

或 百千種莊嚴雨하나니 혹은 백천 가지로 장엄한 비를 내리기도 하지만

佛子 水無分別호대 불자여, 물은 분별이 없으며, 但以龍王 不思議力으로 다만 용왕의 부사의한 힘으로

令其莊嚴하야 그 비를 장엄케 하여 乃至 百千無量 差別인달하야  나아가 백천에 이르기까지 한량없이 차별케 하듯이

如來 應 正等覺 亦復如是하야 여래 응공 정등각도 그와 같으사

爲諸衆生 說法之時 중생들에게 설법하실 때에 或以十種 差別音說하며 혹은 열 가지의 차별한 음성으로 말씀하시거나

或百 或千하며 或以百千하며 혹은 백 혹은 천 혹은 백천  或以八萬四千 音聲으로 혹은 팔만 사천의 음성으로

說八萬四千 行하며 팔만 사천의 행을 말씀하시고 

乃至 或以無量 百千億 那由他 音聲으로혹은 한량없는 백천억 나유타까지의  음성으로

各別說法하사 각각 차별하게 설법하시어  令其聞者 皆生歡喜하나니 듣는 이로 하여금 모두 기쁘게 하시지만

如來音聲 無所分別이로대 여래의 음성은 분별함이 없고,

但以諸佛 於甚深法界 圓滿淸淨하사 다만 부처님들께서 심히 깊은 법계를 원만청정케 하시고

能隨 衆生根之所宜하사 능히 중생 근기에 마땅한 대로

出種種言音하야 皆令歡喜니라 갖가지 음성을 내시어 모두를 기쁘게 하시느니라.

佛子 是爲如來音聲 第九相이니 불자여, 이것이 여래 음성의 제 9의 모양이니

諸菩薩摩訶薩 應如是知니라보살마하살들은 마땅히 이렇게 알아야 하느니라.

부처님의 설법을 흔히 8만 4천 법문이라 한다. 즉 8만 4천의 근기에 맞춘 8만 4천의 법문이라는 뜻이다. 어찌 8만 4천뿐이겠는가, 실로 무량 나유타 음성으로 각각 다르게 설법하여 듣는 이들로 하여금 다 기쁘게 한다. 이것이 부처님의 가지가지 설법이다. 

 

 龍王의 大自在力 여래 어업 비유의 제 10相

龍王의 興雲     용왕이 큰 구름을 일으키는 것에 비유하다

復次佛子야 譬如娑竭羅龍王이 欲現龍王의 大自在力하야 饒益衆生하야 咸令歡喜하야 從四天下로 乃至他化自在天處히 

부차불자    비여사갈라용왕   욕현용왕    대자재력       요익중생      함령환희        종사천하   내지타화자재천처 

興大雲網하야 周帀彌覆하니 其雲色相이 無量差別이라 或閻浮檀金光明色이며 或毘瑠璃光明色이며 或白銀光明色이며 

흥대운망      주잡미부       기운색상   무량차별       혹염부단금 광명색      혹비유리 광명색      혹백은광명색 

或玻瓈光明色이며 或牟薩羅光明色이며 或瑪瑙光明色이며 或勝藏光明色이며 或赤眞珠光明色이며 或無量香光明色이며

혹파려 광명색      혹모살라 광명색     혹마노 광명색      혹승장 광명색      혹적진주 광명색     혹무량향 광명색 

或無垢衣光明色이며 或淸淨水光明色이며 或種種莊嚴具光明色이니 如是雲網이 周帀彌布하고 旣彌布已에 

혹무구의 광명색     혹청정수 광명색      혹종종장엄구 광명색      여시운망   주잡미포       기미포이   

出種種色電光하나니 所謂閻浮檀金色雲은 出琉璃色電光하고 琉璃色雲은 出金色電光하고 銀色雲은 出玻瓈色電光하고

출종종색전광         소위 염부단금색운   출유리색전광       유리색운    출금색전광       은색운   출파려색전광 

玻瓈色雲은 出銀色電光하고 牟薩羅色雲은 出碼?色電光하고 碼?色雲은 出牟薩羅色電光하고 勝藏寶色雲은 

파려색운    출은색전광      모살라색운    출마노색전광       마노색운    출모살라색전광      승장보색운   

出赤眞珠色電光하고 赤眞珠色雲은 出勝藏寶色電光하고 無量香色雲은 出無垢衣色電光하고 無垢衣色雲은 

출적진주색전광       적진주색운   출승장보색전광       무량향색운    출무구의색전광      무구의색운   

出無量香色電光하고 淸淨水色雲은 出種種莊嚴具色電光하고 種種莊嚴具色雲은 出淸淨水色電光하고 乃至種種色雲은 

출무량향색전광      청정수색운    출종종장엄 구색전광      종종장엄구색운    출청정수색전광       내지종종색운   

出一色電光하고 一色雲은 出種種色電光하며 復於彼雲中에 出種種雷聲하야 隨衆生心하야 皆令歡喜하나니 

출일색전광      일색운    출종종색전광       부어피운중    출종종뢰성      수중생심       개령환희 

所謂或如天女歌詠音하며 或如諸天伎樂音하며 或如龍女歌詠音하며 或如乾闥婆女歌詠音하며 或如緊那羅女歌詠音하며 

소위혹여 천녀가영음      혹여제천기악음      혹여용녀가영음      혹여건달바녀 가영음      혹여긴나라녀 가영음 

或如大地震動聲하며 或如海水波潮聲하며 或如獸王哮吼聲하며 或如好鳥鳴囀聲과 及餘無量種種音聲이라 

혹여대지 진동성     혹여해 수파조성      혹여수왕 효후성     혹여호조 명전성    급여무량 종종음성  

旣震雷已에 復起凉風하야 令諸衆生으로 心生悅樂하고 然後乃降種種諸雨하야 利益安樂無量衆生호대 從他化天으로 

기진뢰이   부기량풍        영제중생      심생열락      연후내강 종종제우      이익안락 무량중생      종타화천    

至於地上히 於一切處에 所雨不同하나니 所謂於大海中에 雨淸泠水하니 名無斷絶이요 於他化自在天에 

지어지상   어일체처    소우부동          소위 어대해중   우청랭수       명무단절      어타화자재천 

雨簫笛等種種樂音하니 名爲美妙요 於化樂天에 雨大摩尼寶하니 名放大光明이요 於兜率天에 雨大莊嚴具하니 

우소적등 종종악음     명위미묘    어화락천    우대마니보       명방대광명       어도솔천   우대장엄구 

名爲垂髻요 於夜摩天에 雨大妙華하니 名種種莊嚴具요 於三十三天에 雨衆妙香하니 名爲悅意요 於四天王天에 

명위수계   어야마천    우대묘화       명종종장엄구    어삼십삼천   우중묘향        명위열의    어사천왕천   

雨天寶衣하니 名爲覆蓋요 於龍王宮에 雨赤眞珠하니 名涌出光明이요 於阿修羅宮에 雨諸兵仗하니 名降伏怨敵이요 

우천보의      명위복개    어용왕궁    우적진주       명용출광명       어아수라궁   우제병장       명항복원적 

於北鬱單越에 雨種種華하니 名曰開敷요 餘三天下도 悉亦如是라 然이나 各隨其處하야 所雨不同하니 

어차울단월   우종종화      명왈개부     여삼천하   실역여시     연       각수기처      소우부동 

雖彼龍王이 其心平等하야 無有彼此나 但以衆生의 善根異故로 雨有差別인달하야

수피용왕   기심평등       무유피차    단이중생   선근이고     우유차별 

 

復次 佛子 譬如 娑竭羅龍王또 불자여, 비유컨대 저 사갈라용왕이

欲現龍王 大自在力하야 용왕의 큰 자재력을 나타내고자

饒益衆生하야 咸令歡喜하야 중생을 유익하게 하여 모두를 기쁘게 하고자

從四天下 乃至 他化自在天 處 사천하로부터 타화자재천에 이르기까지

興大雲網하야 彌覆하니 큰 구름망을 일으켜 두루 덮었으니,

其雲色相 無量差別이라 그 구름의 색상이한량없이 차별하여 

或 閻浮檀金 光明色이며 或 毘瑠璃 光明色이며 혹 염부단금의 광명한 색이거나, 혹은 비유리의 광명한 색,

或 白銀 光明色이며 或 玻光明色이며 혹은 백은의 광명한 색, 혹은 파리의 광명한 색, 

或 牟薩羅 光明色이며 或 瑪瑙 光明色이며 혹은 모살라의 광명한 색, 혹은 마노의 광명한 색,

牟薩羅(모살라)=광명빛, 보옥(寶玉)에서 나는 빛. 마노(瑪瑙), 자거(車渠) 등 보석의 광명.

或 勝藏 光明色이며 或 赤眞珠 光明色이며 혹은 승장의 광명한 색, 혹은 적진주의 광명한 색,

或 無量香 光明色이며 或 無垢衣 光明色이며 혹은 한량없는 향의 광명한 색, 혹은 때 없는 옷의 광명한 색,

或 淸淨水 光明色이며 혹은 깨끗한 물의 광명한 색,

或 種種莊嚴具 光明色이니 혹은 갖가지 장엄구의 광명한 색이니

如是雲網 彌布하고 이러한 구름망으로 두루 덮느니라. 彌 두루 미칠 미, 布 베 포, 펼 포, 

칠보(七寶)= 七珍(칠진). (1) 金(금), (2) 銀(은), (3) 瑠璃(유리), 琉璃(유리)·毘瑠璃(비유리)·吠瑠璃(폐유리)의 靑色(청색)의 玉類(옥류), (4) 頗黎(파려) (頗胝迦(파지가) 또는 水精(수정)이라 번역하며 赤·白 등의 水晶), (5) 車渠(자거)(硨磲(자거) 또는 碼瑙(마노)와 혼용하기도 하며 大蛤(대합)·白珊瑚(대산호)라고 함), (6) 赤珠(적주), 赤眞珠(적진주)로도 쓴다, (7) 碼瑙(마노) 深緣色(심녹색)의 玉(옥)으로 소위 後世에 碼瑙(마노)라고 일컬어진 것과는 다르다. 이 밖에 珊瑚 · 琥珀 · 眞珠 · 明月珠 등을 적당히 加減한 七寶의 이름이 나열된다. ② 전륜성왕(인도 신화에 나오는 이상적 君主)이 소유하는 七寶. 곧 輪寶 · 象寶 · 馬寶 · 珠寶 · 女寶 · 居士寶(主藏寶라고도 하며 財務長官에 해당) · 主兵臣寶(將軍)이다.

旣彌布已 出種種色 電光하나니 이미 덮은 후에는 갖가지 색의 번개를 일으키나니,電光전광= 번개가 일어날 때의 빛

所謂 閻浮檀金色 雲 出 琉璃色 電光하고 소위 염부단금색 구름은 유리색 번개를 일으키고,

琉璃色雲 出 金色 電光하고 유리색 구름은 금색 번개를 일으키고,

銀色雲 出 玻色 電光하고 은색 구름은 파리색 번개를 일으키고,

色雲 出 銀色 電光하고 파리색 구름은 은색 번개를 일으키고,

牟薩羅色雲 出碼?色 電光하고 모살라색 구름은 마노색 번개를 일으키고,

碼?色雲 出 牟薩羅色 電光하고 마노색 구름은 모살라색 번개를 일으키고,

勝藏寶色雲 出 赤眞珠色 電光하고 승장보배색 구름은 적진주색 번개를 일으키고,

赤眞珠色 雲 出 勝藏寶色 電光하고 적진주색 구름은 승장보배색 번개를 일으키고,

無量香色 雲 出 無垢衣色 電光하고 한량없는 향색 구름은 때 없는 옷색의 번개를 일으키고,

無垢衣色 雲 出 無量香色 電光하고 때없는 옷색 구름은 한량없는 향색 번개를 일으키고,

淸淨水色 雲 出 種種莊嚴具色 電光하고 깨끗한 물색 구름은 갖가지 장엄구색 번개를 일으키고,

種種莊嚴具色 雲 出 淸淨水色 電光하고 갖가지 장엄구색 구름은 깨끗한 물색 번개를 내며,

乃至 種種色 雲 出 一色 電光하고 나아가 갖가지 색 구름은 한 색의 번개를 일으키고 

一色 雲 出 種種色 電光하며 한 색의 구름은 갖가지 색의 번개를 일으키느니라.

復 於彼雲 中 出 種種雷 聲하야 또 그 구름 속에서 갖가지 우뢰소리를 내어

隨衆生心하야 皆令歡喜하나니 중생의 마음에 따라 기쁘게 하니,

所謂 或 如天女 歌詠音하며 或 如諸天 伎樂音하며  소위 혹은 천녀의 노래 같은 소리, 혹은 하늘의 풍류 같은 소리,

歌詠(가영)=범패에서 불려지는 음악으로, 부처나 여러 신들을 불러놓고 그 신들의 공덕을 찬양하는 소리로서 신에 따라 「가영」의 사설이 모두 달라진다. 따라서, 수십가지의 「가영」이 있다. 

伎樂(기악)=부처를 공양하기 위한 가무.  612년(무왕 13)에 백제인 미마지가 남중국 오(吳)나라에서 배워 일본에 전했다고 한다. 기가쿠[技樂]·부가쿠[舞樂]·노가쿠[能樂]와 같이 일본 고전악무의 하나로 불리는 기악 등은 현재 우리나라나 중국에서는 기록도 찾아볼 수 없고, 1233년 고마[拍近眞]가 쓴 〈교쿤쇼 敎訓抄〉에 간단한 설명이 있을 뿐이다.

或 如龍女 歌詠音하며 或 如乾闥婆女 歌詠音하며 혹 용녀의 노래 같은 소리, 혹 건달바녀의 노래 같은 소리,

或 如緊那羅女 歌詠音하며 或 如大地震動 聲하며 혹 긴나라녀의 노래 같은 소리, 혹 대지가 진동하는 것 같은 소리,

或 如海水波潮 聲하며 或 如獸王哮吼 聲하며 혹 바다의 파도 같은 소리, 혹 맹수의 왕이 울부짖는 것 같은 소리,

哮 으르렁거릴 효, 성낼 효, 吼 울 후, 울부짖을 후,潮 조수 조, 밀물 조, 獸 짐승 수,  波 물결 파, 

或 如好鳥鳴囀 聲 及餘無量 種種音聲이라 혹 아름다운 새 울음 같은 소리, 그 밖의 한량없는 갖가지 소리이니라.

囀 지저귈 전.  鳴 울 명, 부를 명, 

여래께서 정각을 이루어 그 깨달음의 가르침을 세상을 향해 설하려는, 거대하고 광대하고 위대한 불사를 마음에 그려본다면 이와 같은 비유로도 부족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비유를 통해서 진리의 설법을 조금이라도 느끼게 할 수 있다면 비유를 들어 보이는 것도 훌륭한 방법이리라.

旣震雷 已 復起 凉風하야 그러하게 우뢰를 진동시킨 뒤에는 다시 청량한 바람을 일으키어

令諸衆生으로 心生悅樂하고 중생의 마음을 기쁘게 하고,

然後 乃降 種種諸雨하야 그런 다음에야 마침내 갖가지 비를 내려

비가 내릴 때면 먼저 우레가 울고 서늘한 바람이 분 뒤에 비로소 내려서 천지만물과 일체생명과 일체중생들을 이익케 한다.

利益安樂 無量衆生호대 한량없는 중생을 이익하고 안락케 하되 

從 他化天으로 至 於地上 타화자재천에서 지상에 이르기까지

於一切處 所雨不同하나니 곳에 따라 내리는 비가 같지 아니하니,

所謂 於大海中 雨淸泠水하니 名無斷絶이요 말하자면 큰 바다에서는 맑고 찬 물을 내리니 이름이 무단절이요,

於他化自在天 雨簫笛等種種樂音하니 名爲美妙 타화자재천에는 퉁소나 피리 같은 풍악을 내리니 이름이 미묘요,

簫 퉁소 소, 笛 피리 적, 垂 드리울 수, 髻 상투 계, 悅 기쁠 열, 覆 뒤집힐 복, 덮을 부, 다시 복, 涌 샘솟을 용, 물 솟을 용

於化樂天 雨 大摩尼寶하니 名 放大光明이요 화락천에는 큰 마니보를 내리니 이름이 방대광명이요,

於兜率天 雨 大莊嚴具하니 名 爲垂髻 도솔천에는 큰 장엄구를 내리니 이름이 수계요,

於夜摩天 雨 大妙華하니 名 種種莊嚴具 야마천에는 크고 묘한 꽃을 내리니 이름이 종종장엄구요,

於三十三天 雨 衆妙香하니 名 爲悅意 삼십삼천에는 여러 묘한 향을 내리니 이름이 열의요,

於四天王天 雨 天寶衣하니 名 爲覆蓋 사천왕천에는 하늘 보배옷을 내리니 이름이 복개요,

於龍王宮 雨 赤眞珠하니 名 涌出光明이요 용왕궁에는 적진주를 내리니 이름이 용출광명이요,

於阿修羅宮 雨 諸兵仗하니 名降伏怨敵이요 아수라궁에는 병장기들을 내리니 이름이 항복원적이요,

降伏항복, 兵仗병장, 怨敵원적, 曰 가로 왈, 敷 펼 부, 彼此피차= 이쪽과 저쪽의 양쪽, 이것과 저것

於北鬱單越 雨 種種華하니 名曰 開敷 북울단월에 갖가지 꽃을 내리니 이름이 개부요,

餘三天下 悉亦如是 다른 세 천하에서도 다 이와 같으니라.  이나  그러나

各隨其處하야 所雨不同하니 각각의 장소에 따라 내리는 비가 같지 않으니 

雖彼龍王 其心平等하야 無有彼此 저 용왕의 마음은 평등하여 피차가 없으나 

但以衆生 善根異故 雨有差別인달하야 중생들의 선근이 다르기 때문에 내리는 비가 차별한 것이니라.

 

法合   비유를 법에 합하여 밝히다

佛子야 如來應正等覺無上法王도 亦復如是하야 欲以正法으로 敎化衆生하사 先布身雲하야 彌復法界호대 隨其樂欲하야
불자   여래응정등각 무상법왕   역부여시       욕이정법       교화중생      선포신운      미부법계        수기락욕    
爲現不同이니 所謂或爲衆生하야 現生身雲하며 或爲衆生하야 現化身雲하며 或爲衆生하야 現力持身雲하며
위현부동      소위혹위중생      현생신운        혹위중생      현화신운       혹위중생    현력지신운 
或爲衆生하야 現色身雲하며 或爲衆生하야 現相好身雲하며 或爲衆生하야 現福德身雲하며 或爲衆生하야現智慧身雲하며  혹위중생    현색신운         혹위중생      현상호신운        혹위중생      현복덕신운       혹위중생     현지혜신운 
或爲衆生하야 現諸力不可壞身雲하며 或爲衆生하야 現無畏身雲하며 或爲衆生하야 現法界身雲이니라 
혹위중생      현제력불 가괴신운      혹위중생       현무외신운      혹위중생        현법계신운 
佛子야 如來가 以如是等無量身雲으로 普覆十方一切世界하고 隨諸衆生의 所樂各別하사 示現種種光明電光하나니 
불자   여래    이여시등 무량신운      보부시방 일체세계      수제중생    소락각별      시현종종 광명전광 
所謂或爲衆生하야 現光明電光하니 名無所不至요 或爲衆生하야 現光明電光하니 名無邊光明이요 或爲衆生하야 
소위혹위중생      현광명전광       명무소부지    혹위중생       현광명전광       명무변광명      혹위중생    
現光明電光하니 名入佛秘密法이요 或爲衆生하야 現光明電光하니 名影現光明이요 或爲衆生하야 現光明電光하니 
현광명전광       명입불비밀법      혹위중생      현광명전광        명영현광명      혹위중생       현광명전광 
名光明照耀요 或爲衆生하야 現光明電光하니 名入無盡陀羅尼門이요 或爲衆生하야 現光明電光하니 名正念不亂이요 
명광명조요   혹위중생       현광명전광       명입무진다라니문       혹위중생      현광명전광       명정념불란 
或爲衆生하야 現光明電光하니 名究竟不壞요 或爲衆生하야 現光明電光하니 名順入諸趣요 或爲衆生하야 現光明電光하니
혹위중생      현광명전광       명구경불괴    혹위중생      현광명전광       명순입제취    혹위중생       현광명전광 
名滿一切願하야 皆令歡喜니라 佛子야 如來應正等覺이 現如是等無量光明電光已에 復隨衆生心之所樂하사 
명만일체원      개령환희       불자    여래응정등각    현여시등 무량광명전광이   부수중생 심지소락 
出生無量三昧雷聲하나니 所謂善覺智三昧雷聲과 熾然離垢海三昧雷聲과 一切法自在三昧雷聲과 金剛輪三昧雷聲과 
출생무량 삼매뇌성         소위선각지 삼매뇌성  명성이구해 삼매뇌성   일체법자재 삼매뇌성   금강륜 삼매뇌성 
須彌山幢三昧雷聲과 海印三昧雷聲과 日燈三昧雷聲과 普令衆生歡喜三昧雷聲과 無盡藏三昧雷聲과 
수미산당 삼매뇌성   해인삼매뇌성   일등삼매뇌성    보령중생환희 삼매뇌성   무진장삼매뇌성 
不壞解脫力三昧雷聲이니라 佛子야 如來身雲中에 出如是等無量差別三昧雷聲已하시고 將降法雨에 先現瑞相하사 
불괴해탈력 삼매뇌성         불자   여래신운중    출여시등 무량차별 삼매뇌성이       장강법우    선현서상 
開悟衆生하나니 所謂從無障礙大慈悲心하야 現於如來大智風輪하시니 名能令一切衆生으로 生不思議歡喜適悅이니라 
개오중생         소위 종무장애 대자비심     현어여래 대지풍륜        명능령일체중생       생부사의 환희적열 
此相現已에 一切菩薩과 及諸衆生의 身之與心이 皆得淸凉이어든 然後에 從如來大法身雲과 大慈悲雲과 大不思議雲하야
차상현이   일체보살    급제중생    신지여심    개득청량         연후    종여래 대법신운    대자비운   대부사의운    
雨不思議廣大法雨하사 令一切衆生으로 身心淸淨하나니 所謂爲坐菩提場菩薩하사 雨大法雨하니 名法界無差別이요 
우부사의 광대법우     영일체중생      신심청정          소위 위좌보리장보살      우대법우       명법계무차별 
爲最後身菩薩하사 雨大法雨하니 名菩薩遊戲如來秘密敎요 爲一生所繫菩薩하사 雨大法雨하니 名淸淨普光明이요 
위최후신보살      우대법우       명보살유희 여래비밀교   위일생소계보살      우대법우        명청정보광명 
爲灌頂菩薩하사 雨大法雨하니 名如來莊嚴具所莊嚴이요 爲得忍菩薩하사 雨大法雨하니 名功德寶智慧華開敷하야 
위관정보살      우대법우       명여래장엄구 소장엄      위득인보살      우대법우       명공덕보지 혜화개부 
不斷菩薩大悲行이요 爲住向行菩薩하사 雨大法雨하니 名入現前變化甚深門하야 而行菩薩行호대 無休息無疲厭이요 
부단보살대비행      위주향행보살       우대법우      명입현전 변화심심문      이행보살행       무휴식무피염 
爲初發心菩薩하사 雨大法雨하니 名出生如來大慈悲行하야 救護衆生이요 爲求獨覺乘衆生하사 雨大法雨하니 
위초발심보살      우대법우       명출생여래 대자비행 구호중생           위구독각승중생       우대법우 
名深知緣起法하야 遠離二邊하야 得不壞解脫果요 爲求聲聞乘衆生하사 雨大法雨하니 名以大智慧劒으로 
명심지연기법      원리이변       득불괴해탈과    위구성문승중생      우대법우        명이대지혜검 
斷一切煩惱怨이요 爲積集善根決定不決定衆生하사 雨大法雨하니 名能令成就種種法門하야 生大歡喜니라 
단일체번뇌원      위적집선근 결정불결정중생      우대법우       명능령성취 종종법문     생대환희 
佛子야 諸佛如來가 隨衆生心하야 雨如是等廣大法雨하사 充滿一切無邊世界하나니 
불자   제불여래    수중생심       우여시등 광대법우      충만일체 무변세계 
佛子야 如來應正等覺이 其心平等하야 於法無悋이로대 但以衆生의 根欲不同으로 所雨法雨가 示有差別이니라 
불자   여래응정등각   기심평등       어법무린          단이중생    근욕부동       소우법우   시유차별 
是爲如來音聲第十相이니 諸菩薩摩訶薩이 應如是知니라 
시위여래음성 제십상      제보살마하살   응여시지

佛子 如來應正等覺無上法王 亦復如是하야 불자여, 여래 응공 정등각의 위없는 법왕도 그와 같으사

欲以正法으로 敎化衆生하사 정법으로 중생을 교화하시고자

先布身雲하야 彌復法界호대 먼저 몸의 구름을 펼치시어, 법계를 두루 덮으시되 

隨其樂欲하야 爲現不同이니 그들이 즐기는 바 욕구에 따라 나타내심이 같지 아니하시니,

우리가 사는 이 사바세계는 먼저 모습을 보고 그 모습에 따라 마음을 내는 상견중생(相見衆生)들이 사는 곳이므로 중생들을 교화하는 데도 먼저 몸의 모습을 나타내어 교화한다. 그러므로 여래의 몸의 모습들이 한량없이 많아서 몸 구름을 일으켜 법계를 두루 덮는다고 하였다. 여래 어업(語業) 비유의 제10상(相)을 밝히는데 용왕이 큰 구름을 일으키는 데 비유하고 다시 법에 합하여 밝히는 내용이 이어진다.

所謂 或爲衆生하야 現生身雲하며 소위 혹은 중생을 위해 살아있는 몸구름을 나타내시거나,

或爲衆生하야 現化身雲하며 혹은 중생을 위해 화신의 구름을 나타내시고,

或爲衆生하야 現力持身雲하며 혹은 중생을 위해 힘으로 유지하는 몸 구름=역지신 구름을 나타내시고,

或爲衆生하야 現色身雲하며 혹은 중생을 위해 형상의 몸 구름=색신구름을 나타내시고,

或爲衆生하야 現相好身雲하며 혹은 중생을 위해 상호신구름을 나타내시고,

或爲衆生하야 現福德身雲하며 혹은 중생을 위해 복덕신구름을 나타내시고,

或爲衆生하야 現智慧身雲하며 혹은 중생을 위해 지혜신구름을 나타내시고,

或爲衆生하야 現諸力不可壞身雲하며 혹은 중생을 위해 모든 힘이 깨뜨릴 수 없는 몸 구름을 나타내시고,

或爲衆生하야 現無畏身雲하며 혹은 중생을 위해 두려움 없는 몸=무외신 구름을 나타내시고,

或爲衆生하야 現法界身雲이니라 혹은 중생을 위해 법계신구름을 나타내시느니라.

경문의 열 가지 몸과 약간씩 다른 십신(十身)을 살펴본다. 즉 불보살의 몸을 그 공덕에 의하여 10종으로 나눈 것으로서 보리신(菩提身)ㆍ원신(願身)ㆍ화신(化身)ㆍ역지신(力持身)ㆍ상호장엄신(相好莊嚴身)ㆍ위세신(威勢身)ㆍ의생신(意生身)ㆍ복덕신(福德身)ㆍ법신(法身)ㆍ지신(智身)이 있다.
또는 정각불(正覺佛)ㆍ원불(願佛)ㆍ업보불(業報佛)ㆍ주지불(住持佛)ㆍ화불(化佛)ㆍ법계불(法界佛)ㆍ심불(心佛)ㆍ삼매불(三昧佛)ㆍ성불(性佛)ㆍ여의불(如意佛)이 있는데 화엄종에서 이것을 행경(行境)의 10불이라 한다.
또 중생신(衆生身)ㆍ국토신(國土身)ㆍ업보신(業報身)ㆍ성문신(聲聞身)ㆍ벽지불신(辟支佛身)ㆍ보살신(菩薩身)ㆍ여래신(如來身)ㆍ지신(持身)ㆍ법신(法身)ㆍ허공신(虛空身)이 있는데 이것은 화엄종에서 해경(解境)의 10불이라 한다. 

이 모두를 여래는 몸을 삼는다.

佛子 如來 以如是等 無量身雲으로 불자여, 여래는 이렇게 한량없는 몸구름으로

普覆十方一切世界하고 시방의 일체 세계를 두루 덮으시고

隨諸衆生 所樂各別하사 중생들이 즐기는 바가 저마다 다름에 따라

示現 種種光明 電光하나니 갖가지로 광명한 번개를 나타내 보이시나니,

所謂 或爲衆生하야 現光明電光하니 소위 어느 때에 중생을 위해 나타내시는 광명한 번개는

名 無所不至 이름이 '이르지 못함이 없음'이요,

或爲衆生하야 現光明電光하니 名無邊光明이요 혹 중생을 위해 나타내시는 광명한 번개는 이름이 '무변광명'이며,

或爲衆生하야 現光明電光하니 혹 중생을 위해 나타내시는 광명한 번개는

名 入佛秘密法이요 이름이 '부처님 비밀한 법에 들어감'이요

或爲衆生하야 現光明電光하니 혹 중생을 위해 나타내시는 광명한 번개는

名影現光明이요 이름이 '그림자를 나타내는 광명'이요

或爲衆生하야 現光明電光하니 名光明照耀 혹 중생을 위해 나타내시는 광명한 번개는 이름이 '광명조요'요

或爲衆生하야 現光明電光하니 혹 중생을 위해 나타내시는 광명한 번개는

名 入無盡陀羅尼門이요 이름이 '무진한 다라니문에 들어감'이요

或爲衆生하야 現光明電光하니 名正念不亂이요 혹 중생을 위해 나타내시는 광명한 번개는 이름이 '정념에서 불란함'이요

或爲衆生하야 現光明電光하니 名究竟不壞 혹 중생을 위해 나타내시는 광명번개는 이름이 '구경에 무너지지 않음'이요

或爲衆生하야 現光明電光하니 혹 중생을 위해 나타내시는 광명번개는

名 順入諸趣 이름이 '여러 갈래에 수순해 들어감'이요

或爲衆生하야 現光明電光하니 혹 중생을 위해 나타내시는 광명한 번개는

名 滿一切願하야 皆令歡喜니라 이름이 '일체소원을 만족함'이라, 모든 중생을 기쁘게 하는 것이니라.

佛子 如來應正等覺 불자여, 여래 응공 정등각은

現 如是等無量 光明電光 已에 이와 같은 한량없이 광명한 번개를 나타내신 후

復隨 衆生心之所樂하사 다시 중생들이 마음에 즐기는 바에 따라

出生無量 三昧雷聲하나니 한량없는 삼매의 우뢰소리를 내나니,

所謂 善覺智三昧雷聲 熾然離垢海三昧雷聲  이른바 잘 깨달은 지혜 삼매 뇌성, 치성하게 때를 여읜 바다 삼매 뇌성 

一切法自在三昧雷聲 金剛輪三昧雷聲 일체 법에 자재한 삼매 뇌성, 금강바퀴 삼매 뇌성과

須彌山幢 三昧雷聲 海印三昧雷聲 수미산 당기 삼매 뇌성과, 해인삼매 뇌성과

日燈三昧雷聲 普令衆生歡喜三昧雷聲 해 등잔 삼매 뇌성과 널리 중생들로 하여금 환희케 하는 삼매 뇌성과

無盡藏三昧雷聲 不壞解脫力 三昧雷聲이니라 무진장 삼매 뇌성과 무너지지 않는 해탈의 힘 삼매 뇌성이니라.

佛子 如來身雲中 出如是等 불자여, 여래는 몸구름 속에서 이렇게

無量差別 三昧雷聲已하시고 한량없이 차별한 삼매의 뇌성을 일으키시고

將降法雨 先現瑞相하사 開悟衆生하나니 장자 법비를 내리실 때 먼저 상서로운 모습을 보이시어 중생을 깨우치시나니,

所謂 從無障礙 大慈悲心하야 소위 장애 없는 큰 자비심에서

現 於如來大智 風輪하시니 여래의 큰 지혜의 풍륜을 나타내시니

名 能令一切衆生으로 生不思議歡喜適悅이니라 이름이 '일체중생으로 하여금 부사의한 환희와 희열이 생기게 함'이니라.

此相現已 一切菩薩 及諸衆生 身之與心 이러한 현상을 보이시면 모든 보살과 중생들의 몸과 마음이

皆得淸凉이어든 다 청량해지나니,  然後 그런 뒤에 從 如來大法身雲  여래의 크신 법신 구름과

법의 비가 내리려고 먼저 상서를 나타내어 중생들을 깨우치는데 그 상서란 걸림이 없는 큰 자비심으로 여래의 큰 지혜바람둘레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 상서를 나타내고는 광대한 법의 비를 내려 일체중생의 몸과 마음을 모두 청정케 한다.

大慈悲雲 大不思議雲하야 대자비 구름과 크게 부사의한 구름으로부터 

雨 不思議 廣大法雨하사 令一切衆生으로 부사의하고 광대한 법비를 내리시어 일체중생으로 하여금

身心淸淨하나니 몸과 마음을 청정히 하게 하시나니,

所謂 爲坐菩提場 菩薩하사 雨大法雨하니 소위 보리장에 앉은 보살을 위해 큰 법비를 내리시니

名 法界無差別이요 이름이 '법계무차별'이요,

무수한 근기의 무수한 성인들과 범부들의 수준에 따른 광대한 법문들 중에 대표가 되는 열 가지를 들었다. 먼저 가장 높은 수행의 경지에 올라 막 정각을 이루려고 보리도량에 앉은 보살들을 위한 큰 법의 비를 내리었다.  

爲最後身菩薩하사 雨大法雨하니 최후신의 보살을 위해 큰 법비를 내리시니

名 菩薩遊戲如來秘密敎 이름이 '보살이 즐기는 여래의 비밀한 교법'이며,

最後身(최후신)=최후유(最後有). 생사의 세계에 있어서 최후의 생존. 아라한(阿羅漢)을 말함. 이미 아라한위(阿羅漢位)에 도달하여 이 세상에 다시 돌아올 수 없기에 이렇게 말함. 생사윤회를 반복하지 않는 사람. 즉 성자. 

爲一生所繫 菩薩하사 雨大法雨하니 한 생에만 얽매인 보살을 위해 큰 법비를 내리시니

名 淸淨普光明이요 이름이 '청정하고 넓은 광명'이며,

일생소계보살이란 다른 말로는 일생보처(一生補處)보살이며 미륵보살이 곧 그 지위에 속한다. 

爲灌頂菩薩하사 雨大法雨하니 관정받은 보살을 위해 큰 법비를 내리시니

名 如來莊嚴具所莊嚴이요 이름이 '여래의 장엄구로 장엄한 것'이며,

爲得忍菩薩하사 雨大法雨하니 법인을 얻은 보살을 위해 큰 법비를 내리시니

법인(法忍)=忍은 忍許의 뜻. 믿기 어렵던 이치를 잘 받아들이고, 의혹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 4諦의 이치를 관하여 忍可하는 것을 법인이라 한다. 이 인허에 의하여 점점 미혹을 여의었을 때에 일어나는 4체의 진리를 비춰보는 지혜를 法智라 하니, 법인은 법지를 얻기 전에 일어나는 忍可決定(인가결정)하는 마음.

名 功德寶智慧華開敷하야 不斷菩薩大悲行이요 이름이 '공덕보배 지혜의 꽃을 피워 보살의 대비행을 끊지 않음'이며,

爲 住 向 行 菩薩하사 雨大法雨하니 십주, 십회향, 십행의 보살을 위해 큰 법비를 내리시니

名 入現前變化甚深門하야 이름이 '눈앞에서 변화하는 깊은 문에 들어가 

52보살계위의 순서는 십신 십주 십행 십회향 십지 등각 묘각이다. 경문은 십주 십행 십회향의 보살만을 위한 법문이다. 

而行菩薩行호대 無休息 無疲厭이요 보살행 닦기를 쉬거나 마다하지 않음'이며,

爲初發心菩薩하사 雨大法雨하니 초발심 보살을 위해 큰 법비를 내리시니

名出生如來大慈悲行하야 救護衆生이요이름이 '여래가 대자비행으로 중생을 구호하심'이며,

일곱 번째는 처음 마음 낸 초발심(初發心)보살을 위하여 큰 법의 비를 내리었다. 여기까지가 보살을 위한 설법이다. 보살을 위한 설법이 일곱 가지나 되어 많은 부분을 차지한 것은 화엄경은 대승보살불교의 가르침이기 때문이다.

爲求獨覺乘衆生하사 雨大法雨하니 독각승을 추구하는 중생을 위해 큰 법비를 내리시니

名 深知緣起法하야 遠離二邊하야 이름이 '연기법을 깊이 알고 양 변을 멀리 여의어

得不壞解脫果 무너지지 않는 해탈의 과를 얻음'이며,

독각승은 또 연기의 이치를 깨달았다고 하여 연각승(緣覺乘)이라고도 한다. 일체 존재의 연기의 이치를 알면 이것과 저것이라는 상대적인 치우친 견해를 멀리 떠난다. 그래서 무너지지 않는 해탈의 결과를 얻은 것이다. 

爲求聲聞乘衆生하사 雨大法雨하니 성문승을 추구하는 중생을 위해 큰 법비를 내리시니

名以大智慧劒으로 斷一切煩惱怨이요 이름이 '큰 지혜의 검으로 모든 번뇌의 원수를 끊음'이며, 劒 칼 검

큰 지혜검으로 모든 번뇌의 원수를 끊는다는 것은 열반을 증득하여 적정에 머물러 있다는 뜻이다. 독각이나 성문들은 자기 자신의 안녕만을 위하여 고통을 받는 중생들을 위한 보살행은 생각하지 않으므로 소승이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근기의 중생들도 제도해야 하므로 이들을 위해서 법을 널리 설하는 것이다.

爲積集善根 決定不決定衆生하사 雨大法雨하니 선근을 쌓되 결정하고 결정치 못한 중생을 위해 큰 법비를 내리시니

名 能令成就種種法門하야 生大歡喜니라 이름이 '갖가지 법문을 성취하여 크게 기뻐함'이니라.

열 번째는 불교에는 들어가지 않으나 선근을 닦아서 천상이나 인간에 다시 태어날 수 있는 인연을 짓게 하는 가르침이다. 선근을 닦되 반드시 천상이나 인간에 태어날지 선악의 경중에 따라서 그렇지 못할지가 결정되지 않는 중생들을 위하여 가지가지 법문을 능히 성취하게 하여 환희케 하는 가르침이다.

佛子 諸佛如來 隨衆生心하야 불자여, 부처님 여래가 중생의 마음에 따라

雨如是等 廣大法雨하사 이와 같이 광대한 법비를 내리시어

充滿一切 無邊世界하나니 일체의 그지없는 세계를 가득히 하시나니  

이와 같은 내용은 8만장경의 설법이 간단하나마 매우 명료하게 정리된 경문이다.  

佛子 如來應正等覺 其心平等하야 불자여, 여래 응공 정등각께서는 그 마음이 평등하시어

於法無悋이로대 但以衆生 根欲不同으로 법에 인색하지 않으시되 다만 중생의 근기와 욕구가 다름에 따라 悋 아낄 린

所雨法雨 示有差別이니라 내리시는 법비에 차별함을 보이시느니라.

是爲如來音聲 第十相이니 이것이 여래 음성의 제 10의 모양이니

諸菩薩摩訶薩 應如是知니라 보살마하살들은 마땅히 이렇게 알아야 하느니라.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