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하는 덕(德)이 광대함을 밝히다

何以故오 善男子야 彼菩薩摩訶薩이 通達一切菩薩行하며 

하이고      선남자      피보살마하살     통달일체보살행        

왜냐하면 선남자여, 그 보살 마하살은 일체의 보살행에 통달하였으며, 

了知一切衆生心하야 常現其前하야 敎化調伏하며

요지일체중생심         상현기전        교화조복

일체중생의 마음을 요지하여 항상 그들 앞에 나타나서 교화하고 조복하시키며,

彼菩薩이 已滿一切波羅蜜하며 已住一切菩薩地하며 已證一切菩薩忍하며 

피보살      이만일체바라밀          이주일체보살지         이증일체보살인        

그 보살은 이미 모든 바라밀을 만족히 하였으며, 이미 모든 보살지위에 머물렀으며, 

이미 일체의 보살의 지혜=菩薩忍을 증득하였으며, 이미 모든 보살지위에 들어갔으며, 

已入一切菩薩位하며 已夢授與具足記하며

이입일체보살위         이몽수여구족기 

이미 구족한 수기=具足記 주심을 받았으, 

已遊一切菩薩境하며 已得一切佛神力하며 已蒙一切如來가 

이유일체보살경           이득일체불신력        이몽일체여래     

以一切智甘露法水로 而灌其頂일새

이일체지 감로법수      이관기정

이미 모든 보살경지(경계)에 노닐며, 이미 모든 부처님의 신력을 얻었으며, 

이미 일체여래로부터 일체 지혜의 감로의 법수=甘露法水로 관정을 받았느니라.

善男子야 彼善知識이 能潤澤汝諸善根하며 能增長汝菩提心하며 能堅汝志하며

선남자       피선지식     능윤택여제선근        능증장여보리심           능견여지       

能益汝善하며 能長汝菩薩根하며

능익여선        능장여보살근

선남자여, 저 선지식은 그대의 모든 선근을 능히 윤택하게 하고, 그대의 보리심을 증장케 하고, 

그대의 의지를 견고하게 하고, 그대의 선을 더하게 하고, 그대의 보살 뿌리를 자라게 하고, 

能示汝無礙法하며 能令汝入普賢地하며 能爲汝說菩薩願하며 能爲汝說普賢行하며

능시여무애법          능령여입보현지           능위여설보살원          능위여설보현행

能爲汝說一切菩薩行願所成功德일새니라

능위여설 일체보살행원 소성공덕

그대에게 걸림없는 법을 능히 보여주고, 그대를 보현의 지위에 능히 들어가게 하고, 

그대에게 보살의 원을 능히 설명하고, 그대에게 보현의 행을 능히 설명하고, 

그대에게 일체보살의 행과 원으로 이룩한 공덕을 능히 설명할 수 있느니라.   

 

㉲ 보살의 열 가지 행을 권하다

善男子야 汝不應修一善하며 照一法하며 行一行하며 發一願하며 得一記하며 

선남자      여불응수일선         조일법         행일행         발일원       득일기         

住一忍하며 生究竟想하며

주일인          생구경상

선남자여, 그대는 응당 한 가지 선을 닦고, 한 가지 법을 비추어 알고, 한 가지 행을 행하고,

한 가지 원을 세우고, 한 가지 수기를 얻고, 한 가지 인(지혜)에 머무름으로써

구경에 이르렀다는 생각을 해서는 안될 것이요, 

不應以限量心으로 行於六度하며 住於十地하며 淨佛國土하며 事善知識이니라

불응이한량심          행어육도         주어십지         정불국토         사선지식

한정된 마음으로 육바라밀을 행하고, 십지에 머물고, 불국토를 청정히 하고, 

선지식을 섬기는 것도 응당 해서는 안될 것이니라.   

응당 한량이 있는 마음으로는 6바라밀을 행하거나 10지에 머물거나 불국토를 청정케 하거나 선지식을 섬기지 말라 것은 6바라밀과 10지가 모두 출세간의 1() 청정한 견해가 없지 않음을 밝힌 것이니, 장애 때문에 보현행을 갖추지 못해서 비로자나여래의 보신인과(報身因果) 경계와 같지 않고 다만 출세간의 화불(化佛)이나 화신(化身) 같음을 얻는 것이다. 그리하여 비로자나의 보상과해(報相果海) 공덕신은 화관(華冠) 영락(瓔珞) 환천(環釧) 온갖 () 갖춘 복해(福海) 장엄신이니, 이는 속박을 벗어나 모든 식호(飾好) 버리면서 생사를 싫어하는 몸이 아닌 것이다.

그러므로 무명의 본원(本元) 요달한 법계 대지혜의 경계가 스스로 가없는 공덕의 보신(報身) 갖추고 있으며, 또한 보현행원해(普賢行願海) 차별지로 이루어진 무한한 공덕을 가함으로써 서로 장엄공덕의 보신이 되는 것이다. 때문에 11지가 원만하자 덕생동자가 선재동자를 법계문에 들어가서 근본의 과체(果體) 회통하고 세속을 인도하는 교화의 경계를 따라서 정견(淨見) 한량 있는 행문에 머물지 않게 가르친 것이다. 나머지는 경문에서 갖추어서 밝히고 있으니, 가령 화불(化佛) 경계는 출세간의 문이기 때문에 타방(他方) 따로 정토를 나눔이 있다고 말하지만, 보불(報佛) 시방을 총체적으로 하나의 정토로 삼기 때문에 청정과 더러움을 나누지 않는다.

何以故요 善男子야 菩薩摩訶薩이 應種無量諸善根하며 應集無量菩提具하며 

하이고     선남자      보살마하살     응종무량제선근        응수무량보리구         

應修無量菩提因하며 應學無量巧廻向하라

응집무량보리인         응학무량교회향 

왜냐하면 선남자여, 보살마하살은 응당 한량없는 선근을 심어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보리의 도구=菩提具를 모아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보리의 인=菩提因을 닦아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교묘한 회향을 배워야 하느니라.

보살의 열 가지 행을 권하는 가운데 첫째 보살마하살은 응당 한정된 마음으로 선지식을 섬겨서는 안 되는 까닭을 밝혔다.

應化無量衆生界하며 應知無量衆生心하며 應知無量衆生根하며 應識無量衆生解하며 

응화무량 중생계         응지무량 중생심           응지무량 중생근      응식무량 중생해       

應觀無量衆生行하며 應調伏無量衆生하라

응관무량 중생행        응조복무량중생 

응당 한량없는 중생계를 교화해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중생의 마음=衆生心을 알아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중생의 근성=衆生根을 알아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중생의 이해=衆生解를 인식해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중생의 행=衆生行을 관찰하고, 응당 한량없는 중생을 조복해야 하며,

둘째로는 중생을 제도하는 행을 밝혔다. 

應斷無量煩惱하며 應淨無量業習하며 應滅無量邪見하며 應除無量雜染心하며 

응단무량번뇌         응정무량업습          응멸무량사견         응제무량잡염심         

應發無量淸淨心하며 應拔無量苦毒箭하며

응발무량청정심        응발무량고독전 

응당 한량없는 번뇌를 끊어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업의 버릇(습기)=業習를 깨끗이 해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삿된 소견=邪見을 없애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물든 마음=雜染心을 없애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청정심을 내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고통의 독화살을 뽑아내야 하며,

應凅無量愛欲海하며 應破無量無明暗하며 應摧無量我慢山하며 應斷無量生死縛하며 

응학무량애욕해         응파무량무명암         응최무량아만산         응단무량생사박           

應度無量諸有流하며 應竭無量受生海하라

응도무량제유류          응갈무량수생해

응당 한량없는 애욕의 바다를 말려버려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무명의 어둠을 깨뜨려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교만=我慢의 산을 꺾어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생사의 결박(굴레)를 끊어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모든 존재의 폭류=諸有流를 건너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수생의 바다를 말려야 하느니라.

셋째는 미혹의 장애를 끊는 행을 밝혔다. 

應令無量衆生으로 出五欲淤泥하며 應使無量衆生으로 離三界牢獄하며 

응령무량중생          출오욕어니          응사무량중생        이삼계뢰옥       

應置無量衆生於聖道中하라

응치무량중생 어성도중

응당 한량없는 중생들을 오욕의 진흙 구덩이에서 나오게 하여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중생들을 삼계의 감옥에서 벗어나게 하여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중생들을 성인의 길=聖道안에 있게 하여야 하느니라.

넷째는 중생들에게 번뇌와 생사로부터 벗어나는 행을 권하는 내용이다.

應消滅無量貪欲行하며 應淨治無量瞋恚行하며 應摧破無量愚癡行하며 

응소멸 무량탐욕행         응정치 무량진에행        응최파 무량우치행       

應超無量魔網하며 應離無量魔業하며

응초 무량마망        응이 무량마업 

응당 한량없는 탐욕의 행을 소멸시켜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성내는 행=瞋恚行을 깨끗이 해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어리석은 행=愚癡行을 부셔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마구니 그물을 넘어야 하고,

한량없는 마의 업을 여의어야 하며, 

應淨治菩薩無量欲樂하며 應增長菩薩無量方便하며 應出生菩薩無量增上根하며 

응정치 보살무량욕락         응증장 보살무량방편        응출생 보살무량증상근       

應明潔菩薩無量決定解하며

응명결 보살무량결정해

응당 보살의 한량없는 욕락을 청정히 해야 하고, 응당 보살의 한량없는 방편을 증장시켜야 하고,

응당 보살의 한량없는 보다 나은 근성=增上根을 출생시켜야 하고, 

응당 보살의 한량없는 결정한 지혜=決定解 맑게 밝혀야 하며, 

應趣入菩薩無量平等하며 應淸淨菩薩無量功德하며 應修治菩薩無量諸行하며 

응취입 보살무량평등         응청정 보살무량공덕        응수치 보살무량제행       

應示現菩薩無量隨順世間行하라

응시현 보살무량수순세간행 

응당 보살의 한량없는 평등으로 들어가야 하고, 응당 보살의 한량없는 공덕을 청정히 해야 하고,

응당 보살의 한량없는 제행을 닦아야 하고,

응당 보살의 한량없는 세간을 따르는 행을 시현해야 하느니라. 

다섯째는 스스로 근성과 욕망의 행을 텅 비워서 청정하게 하는 행을 밝혔다.

應生無量淨信力하며 應住無量精進力하며 應淨無量正念力하며 應滿無量三昧力하며 

응생 무량정신력         응주 무량정진력        응정 무량정념력       응만 무량삼매력       

應起無量淨慧力하며

응기 무량정혜력 

응당 한량없는 청정한 믿음의 힘을 내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정진하는 힘=精進力에 머물러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바르게 생각하는 힘을 깨끗이 해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삼매력을 만족히 해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청정한 지혜의 힘을 일으켜야 하며,

應堅無量勝解力하며 應集無量福德力하며 應長無量智慧力하며 應發起無量菩薩力하며 

응견 무량승해력        응집 무량복덕력        응장 무량지혜력      응발기 무량보살력         

應圓滿無量如來力하라

응원만 무량여래력 

응당 한량없는 수승한 이해력을 굳게 해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복덕력을 모아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지혜력을 길러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보살의 힘을 일으켜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여래의 힘을 원만히 해야 하느니라.

여섯째는 힘의 작용을 자유자재하게 행하여야 함을 밝혔다. 

應分別無量法門하며 應了知無量法門하며 應淸淨無量法門하며 應生無量法光明하며 

응분별 무량법문         응요지 무량법문        응청정 무량법문      응생 무량법광명         

應作無量法照耀하며

응작 무량법조요 

응당 한량없는 법문을 분별해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법문을 분명히 알아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법문을 청정히 해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법의 광명을 내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법으로 비춤=法照耀을 지어야 하며,

應照無量品類根하며 應知無量煩惱病하며 應集無量妙法藥하며 應療無量衆生疾하라

응조 무량품류근        응지 무량번뇌병         응집 무량묘법약       응요 무량중생질 

응당 한량없는 품류의 근성을 비춰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번뇌의 병을 알아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묘법의 약을 모아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중생의 질환을 치료해야 하느니라.

일곱째는 법을 거두어 미혹을 다스리는 행을 밝혔다. 

應嚴辦無量甘露供하며 應往詣無量佛國土하며 應供養無量諸如來하며 應入無量菩薩會하며 

응엄변 무량감로공        응왕예 무량불국토        응공양 무량제여래         응입 무량보살회       

應受無量諸佛敎하며

응수 무량제불교

응당 한량없는 감로의 공양을 엄정히 마련해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불국토에 나아가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모든 여래께 공양해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보살의 모임에 들어가야 하며,

應忍無量衆生罪하며 應滅無量惡道難하며 應令無量衆生으로 生善道하며 

응인 무량중생죄        응멸 무량악도난         응령 무량중생        생선도       

應以四攝으로 攝無量衆生하라

응이사섭         섭무량중생

응당 한량없는 부처님의 교화를 받아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중생의 죄를 참아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악도의 고난을 멸해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중생들을 선한 길에 나게 해야 하고,

응당 4(四攝)으로 한량없는 중생을 거두어야 하느니라. 

여덟째는 부처님께 공양하고 중생들을 섭수하는 행을 밝혔다. 

應修無量總持門하며 應生無量大願門하며 應修無量大慈大願力하며 應勤求無量法하며 

응수 무량총지문        응생 무량대원문         응수 무량대자대원력        응근구 무량법         

常無休息하며 

상무휴식

응당 한량없는 다라니 문=總持門을 닦아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대원의 문을 세워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대자 대원의 힘을 닦아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법을 부지런히 구하여 항상 쉬지 말아야 하고,  

應起無量思惟力하며 應起無量神通事하며 應淨無量智光明하며 應往無量衆生趣하며 

응기 무량사유력        응기 무량신통사        응정 무량지광명        응왕 무량중생취        

應受無量諸有生하며 應現無量差別身하며 應知無量言辭法하라

응수 무량제유생        응현 무량차별신        응지 무량언사법 

응당 한량없는 사유의 능력을 일으켜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신통한 일을 일으켜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지혜 광명을 깨끗이 해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중생의 갈래=衆生趣에 나아가고, 

응당 한량없는 모든 존재=諸有에 태어나, 응당 한량없이 차별한 몸을 나타내야 하고, 

응당 한량없는 언어법(언어)을 알아야 하며, 

應入無量差別心하며 應知菩薩大境界하며 應住菩薩大宮殿하며 應觀菩薩甚深妙法하며 

응입 무량차별심        응지 보살대경계        응주 보살대궁전        응관 보살심심묘법         

應知菩薩難知境界하며

응지 보살난지경계 

응당 한량없는 차별한 마음에 들어가야 하고, 응당 보살의 큰 경계를 알아야 하고, 

응당 보살의 큰 궁전에 머물러야 하고, 응당 보살의 심오한 묘법을 살펴야 하고, 

응당 보살의 알기 어려운 경계를 알아야 하며, 

應行菩薩難行諸行하며 應具菩薩尊重威德하며 應踐菩薩難入正位하며 

응행 보살난행제행        응구 보살존중위덕        응천 보살난입정위        

응당 보살의 행하기 어려운 여러 가지 행을 행해야 하고, 응당 보살의 존중한 위의와 덕을 갖춰야 하고, 

응당 보살의 들어가기 어려운 바른 지위를 밟아 들어가야 하느니라.

아홉째는 자비와 서원이 깊고 넓은 행을 밝혔다. 

應知菩薩種種諸行하며 應現菩薩普徧神力하며 應受菩薩平等法雲하며 應廣菩薩無邊行網하며 

응지 보살종종제행        응현 보살보편신력         응수 보살평등법운         응광 보살무변행망       

應滿菩薩無邊諸度하며 

응만 보살무변제도        

응당 보살의 갖가지 제행을 알아야 하고, 응당 보살의 두루하는 신통력을 나타내어야 하고, 

응당 보살의 평등한 법 구름을 받아야 하고, 응당 보살의 끝없는 행의 그물을 넓혀야 하고, 

응당 보살의 끝없는 바라밀을 만족히 해야 하며, 

應受菩薩無量記하며 應入菩薩無量忍門하며 應治菩薩無量諸地하며 應淨菩薩無量法門하며 

응수 보살무량기별        응입 보살무량인문         응치 보살무량제지         응정 보살무량법문          

응당 보살의 한량없는 수기를 받아야 하고, 응당 보살의 한없는 지혜의 문=忍門에 들어가야 하고, 

응당 보살의 한량없는 지위를 다스려야 하고, 응당 보살의 한량없는 법문을 깨끗이 해야 하며, 

應同諸菩薩의 安住無邊劫하야 供養無量佛하며 嚴淨不可說佛國土하며 出生不可說菩薩願이니라

응동 제보살     안주무변겁        공양무량불           엄정 불가설불국토          출생 불가설보살원

응당 모든 보살들이 끝없는 겁에 안주하여 한량없는 부처님께 공양하고, 

불가설한 불국토를 엄정히 하며, 

불가설한 보살의 원을 출생시키는 것을 같이해야 하느니라. 

열째는 원만한데 증득해 들어가는 행을 밝혔다.

善男子야 擧要言之컨댄 應普修一切菩薩行하며 應普化一切衆生界하며 應普入一切劫하며 

선남자      거요언지        응보수 일체보살행         응보화 일체중생계        응보입 일체겁       

應普生一切處하며

응보생 일체처

선남자여, 요점을 들어 말하자면, 당연히 일체의 모든 보살행을 두루 닦아야 하고, 

당연히 일체의 중생계를 널리 교화해야 하고, 당연히 일체의 겁에 두루 들어가야 하고, 

당연히 일체처에 두루 태어나야 하며, 

應普知一切世하며 應普行一切法하며 應普淨一切刹하며 應普滿一切願하며 應普供一切佛하며 

응보지 일체세        응보행 일체법        응보정 일체찰        응보만 일체원        응보공 일체불       

應普同一切菩薩願하며 應普事一切善知識이니라

응보동 일체보살원        응보사 일체선지식

당연히 모든 세상을 두루 알아야 하고, 당연히 일체의 세상을 두루 알아야 하고, 

당연히 일체법을 두루 행해야 하고, 당연히 일체세계를 두루 청정히 해야 하고, 

당연히 일체의 소원을 두루 만족히 해야 하고, 당연히 일체의 부처님을 두루 공양해야 하고, 

당연히 일체보살의 원과 두루 같아야 하고, 당연히 일체의 선지식을 두루 섬겨야 하느니라.  

마지막으로 간략한 뜻을 맺어서 넓은 뜻을 나타내었다. 

 

The past is not lost, but still exists in some form accessible to human perception.

~중략~ Bohm's notion that the flow of time is the product of a constant series of unfoldings

and enfoldings suggests that as the present enfolds and becomes part of the past,

it does not cease to exist, but simply returns to the cosmic storehouse of the implicate.

Or Bohm puts it, "The past is active in the present as a kind of implicate order."

과거는 사라져 버린 것이 아니라 여전히 인간의 인식에 접근할 수 있는 어떤 형태로 존재합니다. ~중략~ 시간의 흐름은 일정한 일련의 펼침과 닫음(접음)의 산물이라는 봄의 개념은 현재의 펼침은 과거의 일부가 되므로, 단순히 함축된 우주의 저장 창고에 돌아가 있을 뿐, 과거는 존재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제시합니다. 또는 과거는 일종의 암시적 질서로서 현재에 활동하고 있다고 봄은 나타내기도 합니다. 

Michael Talbot의 'Holographic Univer',  페이지 20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