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智度論 釋大方便品 第六十九之餘卷八十三
聖者龍樹菩薩造 용수 보살 지음.
後秦龜茲國三藏法師鳩摩羅什奉 詔譯 후진 구자국 삼장법사 구마라집 소역
69. 대방편품을 풀이함 ② 1
▶經. “世尊!是門,利根菩薩摩訶薩所入。”
佛言:“鈍根菩薩亦可入是門,中根菩薩、散心菩薩亦可入是門;是門無㝵,若菩薩摩訶薩一心學者皆入是門。
懈怠、少精進、妄憶念、亂心者所不能入,精進、不懈怠、正憶念、攝心者能入。欲住阿鞞跋致地、欲逮一切種智者能入。
▷경. “세존이시여, 이 문(門)에는 근기가 영리한 이근(利根)보살마하살이 들어갈 것입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근기가 둔한 둔근(鈍根)보살도 이 문으로 들어갈 수 있으며, 중간 근기의 보살과 산란한 마음의 보살도 이 문에 들어갈 수 있나니, 이 문은 막힘이 없느니, 만약 보살마하살로서 일심으로 배우는 이라면 모두 이 문에 들어가게 되느니라.
하지만 게으름을 피우거나 정진이 모자라거나 허망한 기억을 하거나 마음이 산란한 이는 들어갈 수 없으니, 정진을 게을리 하지 않고 바르게 기억하며 마음을 가다듬은 이는 들어갈 수 있으며,
아비발치(阿鞞跋致)의 지위에 머무르고자 하고 일체종지를 체득하고자 하는 이도 들어갈 수 있느니라.
是菩薩摩訶薩如般若波羅蜜所說當學,乃至如檀波羅蜜所說當學,是菩薩摩訶薩當得一切智。
是菩薩摩訶薩行般若波羅蜜,所有魔事欲起卽滅。以是故,菩薩摩訶薩欲得方便力,當行般若波羅蜜。
若菩薩摩訶薩如是行、如是習、如是修般若波羅蜜,是時,無量阿僧祇國土中現在諸佛念是行般若波羅蜜菩薩。
何以故?是般若波羅蜜中生過去、未來、現在諸佛故。
以是故,菩薩摩訶薩應如是思惟:‘過去、未來、現在諸佛所得法,我亦當得。’
이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에서 말한 바 대로 마땅히 배워야 하며, 단바라밀까지도 설명한 바 대로 배워야 하나니, 이 보살마하살은 장차 일체지를 얻을 것이니라.
이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행하면 모든 악마의 마사(魔事)가 일어나려 하다가도 곧 사라져 버리나니, 그러므로 보살마하살이 방편력(方便力)을 얻고자 한다면, 마땅히 반야바라밀을 행하여야 하느니라.
만약 보살마하살이 이와 같이 행하고 이와 같이 익히며 이와 같이 반야바라밀을 닦으면, 이 때에 무량한 아승기 국토에 계시는 현재의 모든 부처님께서 이 반야바라밀을 행하는 보살들을 호념(護念)하시느니라.
왜냐하면, 이 반야바라밀 가운데서 과거ㆍ현재ㆍ미래의 모든 부처님을 내셨기 때문이니라.
그러므로 보살마하살은 마땅히 사유하기를 ‘과거ㆍ미래ㆍ현재의 모든 부처님께서 얻으신 법을 나 역시 마땅히 얻어야 한다’고 해야 하느니라.
如是,須菩提!菩薩摩訶薩應習般若波羅蜜!若如是習般若波羅蜜,疾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
以是故,菩薩摩訶薩常應不遠離薩婆若念。
이와 같이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은 마땅히 반야바라밀을 익혀야 하느니라.
만약 이와 같이 반야바라밀을 익히면 신속히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나니,
그러므로 보살마하살은 항상 살바야(薩婆若)의 생각을 멀리 여의지 않아야 하느니라.
若菩薩摩訶薩如是行般若波羅蜜,乃至彈指頃,是菩薩福德甚多。若有人教三千大千世界中衆生自恣布施,教令持戒、禪定、智慧,教令得解脫、解脫知見,教令得須陁洹果乃至阿羅漢果、辟支佛道,不如是菩薩修般若波羅蜜乃至彈指頃。
何以故?是般若波羅蜜中生布施、持戒、禪定、智慧、須陁洹果乃至辟支佛道;十方現在諸佛亦從般若波羅蜜中生,過去、未來諸佛亦從般若波羅蜜中生故。
만약 보살마하살이 이와 같은 반야바라밀을 손가락을 튕기는 탄지경(彈指頃) 만큼 짧은 시간이라도 행한다면, 이 보살의 복덕은 매우 많으니라.
어떤 사람이 3천대천세계의 중생들을 교화하여 마음대로 보시하게 하고 그들로 하여금 지계(持戒)ㆍ선정(禪定)ㆍ지혜(智慧)를 닦게 하며, 그들로 하여금 해탈(解脫)과 해탈지견(解脫知見)을 얻게 하고 그들로 하여금 수다원과 내지는 아라한과와 벽지불의 도를 얻게 한다 할지라도, 이 보살이 손가락을 튕기는 탄지경(彈指頃) 만큼 짧은 시간이라도 반야바라밀을 닦는 것만 못하느니라.
왜냐하면 이 반야바라밀 가운데서 보시ㆍ지계ㆍ선정ㆍ지혜와 수다원과 내지는 벽지불의 도가 생겨나고, 지금 시방에 계신 모든 부처님도 반야바라밀 가운데서 나오셨으며, 과거ㆍ미래의 모든 부처님도 이 반야바라밀 가운데로부터 나오시기 때문이니라.
復次,須菩提!菩薩摩訶薩應薩婆若念行般若波羅蜜,若須臾時、若半日、若一日、若一月、若百日、若一歲、若百歲、若一劫、若百劫,乃至無量無邊阿僧祇劫,是菩薩修是般若波羅蜜福德甚多;勝於教十方恒河沙等世界中衆生布施、持戒、禪定、智慧、解脫、解脫知見,教令得須陁洹果乃至辟支佛道。
何以故?諸佛從般若波羅蜜中生,說是布施、持戒、禪定、智慧、解脫、懈脫知見,須陁洹果乃至辟支佛道。
또한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이 살바야의 생각에 상응하여 반야바라밀을 행하며, 아주 잠깐의 수유(須臾) 동안이나, 한나절 동안이나, 하루 동안이나, 한 달 동안이나, 백 일 동안이나, 1년 동안이나, 백 년 동안이나, 1겁 동안이나, 백 겁 내지는 무량하고 무수한 아승기겁 동안 이 보살이 반야바라밀을 닦으면, 그 복덕이 매우 많아서 시방 항하 강의 모래 수와 같이 많은 세계의 중생들에게 보시ㆍ지계ㆍ선정ㆍ지혜ㆍ해탈ㆍ해탈지견을 가르쳐 주고, 수다원과 내지는 벽지불의 도를 얻게 하는 것보다 뛰어나느니라.
왜냐 하면, 모든 부처님은 반야바라밀 가운데에서 나오시어 이 보시ㆍ지계ㆍ선정ㆍ지혜ㆍ해탈ㆍ해탈지견과 수다원과 내지는 벽지불의 도를 설하게 되기 때문이니라.
若有菩薩摩訶薩如般若波羅蜜所說住,當知是菩薩摩訶薩是阿鞞跋致,爲諸佛所念,如是方便力成就;
當知是菩薩親近、供養無量千萬億諸佛,種善根,與善知識相隨,久行六波羅蜜,久修十八空、四念處乃至八聖道分、佛十力乃至一切種智;
當知是菩薩住法王子地,滿足諸願,常不離諸佛,不離諸善根,從一佛國至一佛國;當知是菩薩辯才無盡,具足得陁羅尼,身色具足、受記具足故,爲衆生受身。
만약 어떤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에서 말한 바 대로 머무른다면, 그 보살마하살은 바로 아비발치이니, 모든 부처님의 호념을 받으니, 이와 같은 방편력(方便力)으로 성취하였다는 것을 알아야 하느니라.
이 보살은무량한 천만억의 모든 부처님을 친근하고 공양하여 선근을 심었으며, 선지식을 따라 오래전부터 6바라밀을 행하였고, 오래도록 18공(空)과 사념처 내지는 8성도분(聖道分)과 부처님의 10력 내지는 일체종지(一切種智)를 닦았음을 알아야 하느니라.
이 보살은 법왕(法王)인 부처님의 아들인 법왕자지(法王子地)에 머물러 있으면서 모든 소원을 만족시키고 항상 모든 부처님 곁을 떠나지 않으며, 모든 선근을 여의지 않았으며, 한 부처님의 일불국(一佛國)으로부터 또 다른 일불국(一佛國)에 다녔다는 것을 알아야 하느니라.
이 보살은 말재주의 변재(辯才)가 다함이 없고, 다라니(陀羅尼)를 완전히 갖추고 증득하였으며, 몸의 신색(身色)을 완전히 갖추었고, 수기(受記)를 두루 갖추었으므로 중생들을 위하여 몸을 받았다는 것을 알아야 하느니라.
當知是菩薩善知字門、善知非字門,善於言、善於不言,善於一言、善於二言、善於多言,善知女語、善知男語,善知色乃至識,善知世閒性、善知涅槃性,善知法相,
善知有爲相、善知無爲相,善知有法、善知無法,善知自性、善知他性,善知合法、善知散法,善知相應法、善知不相應法、善知相應不相應法,善知如、善知不如。
그러므로 마땅히 알아야 하느니라. 이 보살은 자문(字門)을 잘 알고 자문이 아닌 비자문(非字門)을 잘 알며,
말(言)을 잘 하고 말하지 않는 불언(不言)에도 능하며, 한 마디의 일언(一言)에도 능하고 두 마디의 의 이언(二言)에도 능하고, 여러 말의 다언(多言)에도 능하며, 여인의 말을 잘 알고 남자의 말을 잘 알며, 색(色)ㆍ 느낌(受)ㆍ생각(想)ㆍ 지어감(行)ㆍ분별(識)을 잘 알고 세간의 성품인 세간성(世間性)도 잘 알며, 열반의 성품인 열반성(涅槃性)도 잘 알며, 법상(法相)을 잘 아느니라.
유위상(有爲相)을 잘 알고 무위상(無爲相)을 잘 알며, 존재하는 유법(有法)을 잘 알고, 없는 무법(無法)을 잘 알며, 자성(自性)을 잘 알고, 다른 이의 타성(他性)을 잘 알며, 합법(合法)을 잘 알고, 맑고 깨끗한 산법(散法)을 잘 알며, 상응법(相應法)을 잘 알고, 상응하지 않는 불상응법(不相應法)을 잘 알며, 한결같이 여여한 여(如)를 잘 알고, 여하지 않은 불여(不如)를 잘 아느니라.
善知法性、善知法位,善知緣、善知無緣,善知陰、善知界,善知入,善知諦、善知十二因緣,善知禪、善知無量心、善知無色定,善知六波羅蜜、善知四念處乃至善知一切種智,
善知有爲性、善知無爲性,善知有性、善知無性,善知色觀、善知受想行識觀乃至善知一切種智觀,善知色色相空、善知受想行識識相空乃至善知菩提菩提相空。
법성(法性)을 잘 알고 법위(法位)를 잘 알며, 연(緣)을 잘 알고, 연이 없는 무연(無緣)을 잘 알며, 음(陰)을 잘 알고 계(界)를 잘 알고 입(入)을 잘 알며, 사제(四諦)를 잘 알고, 12인연(因緣)을 잘 알며, 선(禪)을 잘 알고 무량심(無量心)을 잘 알며, 무색정(無色定)을 잘 알고 6바라밀(波羅密)을 잘 알며, 4념처를 잘 알고 일체종지(一切種智)까지도 잘 아느니라.
유위성(有爲性)을 잘 알고 무위성(無爲性)을 잘 알며, 존재하는 성품의 유성(有性)을 잘 알고, 무성(無性)을 알며, 물질의 관찰하는 색관(色觀)을 잘 알고 수상행식관(受想行識觀)을 잘 알며, 일체종지관(一切種智觀)까지도 잘 알며, 물질에 대해서는 색공(色空)이라는 것을 잘 알고 수상행식(受想行識)에 대해서는 수상행식공(受想行識空)이라는 것을 잘 알며, 나아가 보리(菩提)에 대해서는 보리상공(菩提相空)이라는 것을 잘 아느니라.
善知捨道、善知不捨道,善知生、善知滅、善知住異,善知欲、善知瞋、善知癡,善知不欲、善知不瞋、善知不癡,善知見、善知不見,善知邪見、善知正見、善知一切見,善知名、善知色、善知名色,善知因緣、善知次第緣、善知緣緣、善知增上緣。
도를 버리는 사도(捨道)를 잘 알고, 도를 버리지 않는 불사도(不捨道)도 잘 알며, 생하는 생(生)을 잘 알고 소멸하는 멸(滅)도 잘 알고, 머무르거나 달라지는 주이(住異)를 잘 알며, 욕(欲, 탐욕)도 잘 알고, 성냄인 진(瞋)도 잘 알고, 어리석음의 치(癡)도 잘 알며, 탐욕하지 않는 불욕(不欲)도 잘 알고, 성내지 않는 불진(不瞋)도 잘 알며, 어리석지 않은 불치(不癡)도 잘 아느니라.
보는 견(見)을 잘 알고, 보지 않는 불견(不見)을 잘 알며, 삿된 견해의 사견(邪見)도 잘 알고, 바른 견해의 정견(正見)도 잘 알고, 일체견(一切見)도 잘 알며, 이름의 명(名)을 잘 알고 색(色)을 잘 알고 명색(名色)도 잘 알며, 인연(因緣)을 잘 알고 차제연(次第緣)을 잘 알며, 연연(緣緣)을 잘 알고 증상연(增上緣)도 잘 아느니라.
善知行相,善知苦、善知集、善知滅,善知道,善知地獄、善知餓鬼、善知畜生、善知人、善知天,
善知地獄趣、善知餓鬼趣、善知畜生趣、善知人趣、善知天趣,
善知須陁洹、善知須陁洹果、善知須陁洹道,善知斯陁含、善知斯陁含果、善知斯陁含道,善知阿那含、善知阿那含果、善知阿那含道,善知阿羅漢、善知阿羅漢果、善知阿羅漢道,善知辟支佛、善知辟支佛果、善知辟支佛道。
드러나는 모양이나 성질의 행상(行相)을 잘 알며, 괴로움의 고(苦)를 잘 알고, 쌓임의 집(集)을 잘 알고, 사라짐의 멸(滅)을 잘 알고, 도(道)를 잘 알며, 지옥(地獄)을 잘 알고 아귀(餓鬼)를 잘 알며, 축생(畜生)을 잘 알고 사람(人)을 잘 알며, 하늘(天)을 잘 아느니라.
지옥의 세계의 지옥취(地獄趣)를 잘 알며, 아귀 세계인 아귀취(餓鬼趣)도 잘 알고, 축생취(畜生趣)를 잘 알며, 사람의 인취(人趣)도 잘 알고, 하늘 세계인 천취(天趣)도 잘 아느니라.
수다원(須陀洹)을 잘 알고 수다원의 과(果)를 잘 알고 수다원의 도(道)를 잘 알며, 사다함(斯陀含)을 잘 알고 사다함의 과(果)를 잘 알고 사다함의 도(道)를 잘 알며, 아나함(阿那含)을 잘 알고 아나함의 과(果)를 잘 알고 아나함의 도(道)를 잘 알며, 아라한(阿羅漢)을 잘 알고 아라한의 과(果)를 잘 알고 아라한의 도를 잘 알며, 벽지불(辟支佛)을 잘 알고 벽지불의 과(果)를 잘 알고 벽지불의 도를 잘 아느니라.
善知佛、善知一切智、善知一切智道,善知諸根、善知諸根具足,善知慧、善知疾慧、善知有力慧、善知利慧、善知出慧、善知達慧、善知廣慧、善知深慧、善知大慧、善知無等慧、善知寶慧,
善知過去世、善知未來世、善知現在世,善知方便、善知待衆生,善知心、善知深心,善知義、善知語,善知分別三乘。
“須菩提!菩薩摩訶薩行般若波羅蜜、生般若波羅蜜、修般若波羅蜜,得如是等利益。”
부처님을 잘 알고, 일체지(一切智)를 잘 알고, 일체지도(一切智道)를 잘 알며, 선근(善根)을 잘 알고, 모든 근(根)이 구족함을 잘 알며, 혜(慧, 지혜)를 잘 알고 빠른 지혜의 질혜(疾慧)를 잘 알며, 힘 있는 유력혜(有力慧)를 잘 알고, 예리한 지혜의 이혜(利慧)를 잘 알며, 벗어나는 지혜의 출혜(出慧)를 잘 알고, 통달한 지혜의 달혜(達慧)를 잘 알며, 넓은 지혜의 광혜(廣慧)를 잘 알고, 깊은 지혜의 심혜(深慧)를 잘 알고, 큰 지혜의 대혜(大慧)를 잘 알며, 견줄 데 없는 지혜의 무등혜(無等慧)를 잘 알고 보배의 지혜의 보혜(寶慧)를 잘 아느니라.
과거세(過去世)를 잘 알고 미래세(未來世)를 잘 알고 현재세(現在世)를 잘 알며, 방편(方便)을 잘 알고, 중생을 기다리는 대중생(待衆生)을 잘 알며, 마음을 잘 알고, 깊은 마음의 심심(深心)을 잘 알며, 뜻(義)을 잘 알고 말(語)을 잘 알며, 3승(乘)을 분별할 줄도 잘 아느니라.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행할 때, 반야바라밀에 들어가 반야바라밀을 닦으면, 이와 같은 이익을 얻느니라.”
'대지도론(大智度論)'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지도론(大智度論) 제83권 3 (0) | 2024.11.01 |
---|---|
대지도론(大智度論) 제83권 2 (2) | 2024.10.31 |
대지도론(大智度論) 제82권 7 (2) | 2024.10.31 |
대지도론(大智度論) 제82권 6 (1) | 2024.10.30 |
대지도론(大智度論) 제82권 5 (0) | 2024.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