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연기와 아울러 육상원융(六相圓融) 또한 화엄무진연기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한 측면으로 중시되고 있다.
육상(六相)이란 총상(總相)*별상(別相) 동상(同相)*이상(異相) 성상(成相)*괴상(壞相)의 세 쌍의 대립되는 개념, 모습이
서로 원융무애하는 관계에 놓여있어 하나가 다른 다섯을 포함하면서도 또한 여섯이 그 나름의 모습을 잃지 않음으로써 법계연기가 성립한다는 설이다.
이 육상의 명칭과 연원은 [화엄경] [십지품]의 초, 환희지에서 보살이 일으키는 열 가지 대원 중 네번째 원에 해당하는
수행이리원(修行二利願)을 설하는 가운데 보이고 있다. 보살이 모든 바라밀행을 닦는데 이 육상의 방법으로 보살행을
원만히 수행함으로써 일행일체행(一行一切行)이 됨을 밝히고 있는 것이다.
이는 십지품의 별행경인 십지경에도 보이며 십지경을 주석한 세친의 십지경론(十地經論)에서 육상이 보살수행에서
그치지 않고 일체제법에 다 통하는 것으로 논하고 있다.
모든 존재는 다 총상 내지 괴상의 육상을 갖추고 있으며 이 육상은 서로 다른 상을 방해하지 않고 전체와 부분, 부분과 부분이 일체가 되어 원만하게 융화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육상교의의 이론적 조직은 십지경론설을 받아들인 정영사 혜원에게서 발아하여 지엄 [수현기, 오십요문답]을
거쳐 신라 의상[일승법계도]과 현수법장[화엄오교장, 탐현기 등]에 의해 완전히 이루어지게 된다.
법장은 오교장에서 육상을 집(屋居)에 비유하여 설명하고 있다.
총상이란 일체 제법은 연기된 존재이니 여러 연이 모여 성립된 전체로써, 하나가 많은 이름을 갖추고 있고, 하나에 많은 덕을 포함한 것이니 부분을 총괄한 전체가 총상이다.
별상은 전체를 구성하고 있는 부분과 부분인 각각의 연으로서, 이 별상은 총상에 의지하여 전체를 완전하게 만들고 있는 것이다. 집을 총상으로 하면 집을 구성하고 있는 대들보 서까래 기둥 등이 별상이 된다.
얼굴을 총상이라 한다면 눈 귀 코 입 등은 별상이다. 그러나 눈이 얼굴이고 얼굴속의 눈이다.
총상과 별상 이 둘은 서로 떨어질 수 없으므로 원융이다.
동상이란 별상의 하나하나가 서로 어김이 없이 조화되어 전체인 총상을 이루고 있는 모습이다.
이상이란 별상이 서로 혼동되지 않고 조화되어 있으면서도 제각기의 모습을 잃지 않고 있는 상이다. 대들보 서까래 기둥 등이 서로 화합하여 집을 이루는데 서로 연이되어 어긋나지 않음이 동상이며 대들보 서까래 기둥 등이 각각 제 모습을 갖고 있는 것이 이상이다. 눈 귀 코 입 등이 조화되어 얼굴모습을 이루고 있음이 동상이며, 눈 귀 코 입 등이 각각 다른 모습을 하고 있음이 이상이다.
성상이란 부분이 서로 유기적인 관계성을 가지고 모여서 하나의 전체를 성립시키고 있음을 말하며,
괴상은 부분부분이 각각 자법(自法)에 머물러 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말한다.
대들보 서까래 기둥 등이 집을 이루는 역용이 성상이며, 그러나 대들보는 대들보 역할을 하고 기둥은 기둥역할을 하는 것이 괴상이다. 눈 귀 코 입 등이 서로 연기하여 얼굴 역할을 함이 성상이며 눈 귀 코 입 등이 각각 다른 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이 괴상이다.
이들 육상은 차례로 보편성, 특수성, 유사성, 다양성, 통합성, 차별성을 나타내는 말이라고 달리 표현할 수도 있겠다.
또한 육상의 관계를 체(體) 상(相) 용(用)으로 나누면 총상 별상의 2상은 연기 제법의 체의 측면이고 동상 이상은 상의
측면이며 성상 괴상은 용의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그리고 육상 가운데 총상 동상 성상의 3 상은 또 같은 관점에서 논의 되고 있는 것으로 이를 원융문(圓融門)이라 하고
별상 이상 괴상도 공통된 관점에서 파악된 것으로 이를 항포문(行布門)이라 한다.
이 원융문은 평등문이고 항포문은 차별문이다. 그런데 무차별의 원융문은 차별을 나타내는 항포문을 떠나있는 것이 아니다. 항포자체가 분명하면서도 항포가 곧 원융이 된다. 여기에 전체와 부분, 하나와 무량이 무애한 무진 법계의 연기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다만 이는 지혜의 경계인 것으로 증득을 통해 구현함을 요하는 것이다.
즉, 화엄경의 십바라밀행을 예로 들면 보시바라밀과 지계바라밀 등이 각각 다르나 보시바라밀을 통해서도 불세계를
장엄할 수 있고 지계바라밀을 통해서도 부처님세계를 드러낼 수 있다. 화엄보살의 42계위가 분명하면서도 초발심주에서 처음 발심한 때가 바로 정각을 성취한 때이다. 일성일체성(一成一切成)인 것이다. 이 방편에 의하여 일불승에 회귀하여 불세계를 장엄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십현 육상으로 펼쳐지고 있는 법계연기는 상즉 상입의 도리가 바탕이 되고 있으니, 이의 논리적 근거는
삼성동이(三性同異)와 연기인문육의(緣起因門六義)에서 이해될 수 있다.
내가 본래불임을 철저히 자각함으로써 우리에게 본래 구족해 있는 불성을 여온없이 드러내는 것이 화엄의 보살행이다. 다른 이를 나와 동일시하고 나의 힘을 다른 이에게 미루어 주어, 다른 이와 함께하고 하나되었을 때 절대 독존이 될 수 있다. 그러한 때가 바로 석존께서 탄생게에서 보여주신 "청상천하 유아독존"의 경계이리라.
-해주스님-
무비스님 해설
▶六相圓融; 십지품 제1환희지에 六相圓融, 總相ㆍ別相, 同相ㆍ異相, 成相ㆍ壞相, 총ㆍ별ㆍ동ㆍ이ㆍ성ㆍ괴 여섯 가지의 圓融입니다.
큰 願을 發= 세우는데一切菩薩行이 廣大無量해서 무너지지도 않고 섞이지도 아니하며, 또 모든 바라밀을 전부 포섭해서 온갖 보살의 지위를 잘 다스리며, 거기에 總相ㆍ別相. 同相ㆍ異相. 成相ㆍ壞相의 所有菩薩行을 다 如實하게 설해서 일체사람들을 교화해서 그로 하여금 받아 행하도록 해서 心得增長=마음이 자꾸자꾸 발전해서 廣大如法界=그 넓고 크기가 이 우주의 진리의 세계와 똑 같이해서 究竟에는 虛空과 같고, 未來際가 다 할 때까지, 시간적으로는 미래제가 다 할 때까지 일체 세월, 일체 시간 속에서 無有休息= 쉬는 바가 없이 보살행을 행한다.
①總相; “집”입니다. 창문, 대들보, 마루, 등은 別相입니다. “문수경전연구회 화엄산림”는 總相이 되고, 개개인의 한 사람ㆍ한 사람의 살림살이는 別相입니다.
②同相ㆍ異相. 공동체라고 봤을 때는 同相이 되고, 차별된 개인의 삶은 異相입니다.
③成相ㆍ壞相. 成은 이렇게 많이 모였을 때 하나의 成相이 되는 겁니다. 각자의 삶이 또 따로 있어서 다시 흩어지는 것이 壞 [무너질 壞(괴)]입니다 모든 존재가 이렇게 상반된 원리 속에서 잘 이루어져 가고ㆍ잘 살아 가고ㆍ잘 되어 가고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 육신도 지수화풍 사대로 이루어진 “몸”은 總相, 다른 입장으로서는 同相, 또 다른 입장에서는 成相이 됩니다. 그러나 눈, 머리, 팔, 비위, 간담 등등 분해한 개체적인 것은 別인데 그것이 전부 조화를 이루어서 한 육신을 이루고 있잖아요.
同ㆍ異의 成ㆍ壞도 마찬가지입니다.
이 여섯 가지 입장을 이해하지 못하고 그냥 살아가면 자기 집착과 고집이 생겨요. 우리는 단체인데 왜 혼자 개별적으로 노느냐? 이렇게 되는 겁니다. 또 나는 난데 왜 내가 거기에 예속되어야 되느냐? 이것도 아닙니다. 그러니까 단체일 수도 있고 개별적인 개인일 수도 있는, 개인이면서 단체가 되고 단체이면서 개인이 되는 이것이 조화를 잘 이루고 원융하게 돌아갈 때, 바람직한 삶의 모습이 되는 것이라고 보는 것이 화엄경에서 하나의 이치로 이야기하고자 하는 내용입니다.
'불교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업(業), Karma, 별업(別業) 공업(共業) (0) | 2021.04.06 |
---|---|
사성제(四聖諦) 사제(四諦) (0) | 2021.04.03 |
여래와 보살의 십력(十力) (0) | 2021.03.25 |
십현연기(十玄緣起) (0) | 2021.03.24 |
화엄경의 사법계관(四法界觀) (0) | 2021.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