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智度論 釋大方便品 第六十九 卷八十二        

聖者龍樹菩薩造 용수 보살 지음.
後秦龜茲國三藏法師鳩摩羅什奉 詔譯 후진 구자국 삼장법사 구마라집 소역  

69. 대방편품(大方便品) 풀이함 2

 

須菩提白佛言:“世尊!若隨實義無分別,云何般若波羅蜜於五波羅蜜中,最上、微妙?”

수보리 존자가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진실한 이치인 실의(實義)를 따르면 분별이 없거늘, 어떻게 반야바라밀이 다섯 바라밀보다 최상(最上)이고, 미묘(微妙)한 것인지요?”


佛言:“如是!如是!須菩提!雖實義中無有分別,但以世俗法故說檀波羅蜜、尸羅波羅蜜、羼提波羅蜜、毘梨耶波羅蜜、禪波羅蜜、般若波羅蜜。爲欲度衆生生死,是衆生實不生不死、不起不退。

須菩提!衆生無所有故,當知一切法無所有。以是因緣故,般若波羅蜜於五波羅蜜中最上、最妙。

須菩提!譬如閻浮提衆女人中,玉女寶第一、最上、最妙;般若波羅蜜亦如是,於五波羅蜜中第一、最上、最妙。”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참으로 그러하고 그러하느니라. 수보리야, 비록 진실한 이치의 실의(實義)가운데에서는 분별이 없을라도, 다만 세속법(世俗法) 때문에 단(보시)바라밀과 시라(지계)바라밀과 찬제(인욕)바라밀과 비리야(정진)바라밀과 선바라밀과 반야바라밀을 설하여 중생을 생사(生死)에서 제도하고자 할 뿐이니라. 

 중생은 실로 나지도 않는 불생(不生)이며, 죽지도 않는 불사(不死)이며, 일어나도 않는 불기(不起)이고 물러나지도 않는 불퇴(不退)이나니, 

수보리야, 중생은 있는 바가 없는 무소유(無所有)이기 때문에 일체법도 무소유라고 알아야 하느니라. 

이러한 인연으로 반야바라밀은 다섯 바라밀 가운데에서 최상(最上)이고 가장 묘한 최묘(最妙)이느니라.

수보리야, 비유하자면, 마치 염부제의 여러 여인들 중에 옥녀보(玉女寶, 옥녀보후玉女寶后)가 제일(第一)이요, 최상(最上)이며, 가장 묘한 최묘(最妙)인 것과 같이 반야바라밀 또한 이와 같아서 다섯 바라밀 가운데서는 제일이요, 최상이며, 가장 묘한 최묘(最妙)이니라.”

 

須菩提白佛言:“世尊!佛以何意故說般若波羅蜜最上、最妙?”

수보리 존자가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는 무슨 뜻으로 반야바라밀은 최상(最上)이고 최묘(最妙)라 말씀하시는지요?”


佛告須菩提:“是般若波羅蜜取一切善法到薩婆若中,住不住故。”

부처님께서 수보리 존자에게 말씀하셨다.

“이 반야바라밀은 일체의 착한법만을 취하여 살바야에 이르되 머무르지 않는 불주(不住)에 머무르기 때문이니라.”


須菩提白佛言:“世尊!般若波羅蜜有法可取、可捨不?”

수보리 존자가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반야바라밀에는 취할 수도 있는 가취(可取)이고, 버릴 수도 있는 가사(可捨)의 어떤 법이 있는 것인지요?”


佛言:“不也!須菩提!般若波羅蜜無法可取、無法可捨。何以故?一切法不可取,不可捨故。”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아니니라, 수보리야, 반야바라밀은 취할  있는 법도 없는 무법가취(無法可取)이고, 버릴  있는 법도 없는 무법가사(無法可捨)이니라. 

왜냐 하면, 일체법은 취할 수도 없고 버릴 수도 없기 때문이니라.”


“世尊!般若波羅蜜於何等法不取不捨?”

“세존이시여, 반야바라밀은 어떠한 법에 대하여 취하지도 않는 불취(不取)이고 버리지도 않는 불사(不捨)이지요?”


佛言:“般若波羅蜜於色不取不捨,於受想行識乃至阿耨多羅三藐三菩提不取不捨。”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반야바라밀은 물질(色)에 대하여 취하지 않는 불취(不取)이고, 버리지 않는 불사(不捨)이며, 수상행식(受想行識)에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이르기까지도 불취(不取)이고 불사(不捨)이니라.”


“世尊!云何不取色,乃至不取阿耨多羅三藐三菩提?”

“세존이시여, 어떻게 물질(色)을 취하지 않는 불취(不取)하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이르기까지도 불취(不取)하는 것인지요?”


佛言:“若菩薩不念色,乃至不念阿耨多羅三藐三菩提,是名不取色,乃至不取阿耨多羅三藐三菩提。”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만약 보살이 물질(色)을 생각하지(念)도 않고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이르기까지도 생각하지 않으면, 이를 일컬어 물질(色)을 취하지 않는 불취(不取)하고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이르기까지도 취하지 않는 불취(不取)라고 하느니라.”


須菩提言:“世尊!若不念色,乃至不念阿耨多羅三藐三菩提,云何得增益善根?

善根不增,云何具足諸波羅蜜?若不具足諸波羅蜜,云何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

수보리 존자가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만약 물질(色)을 생각하지 않고 아뇩다라삼보리에 이르기까지도 생각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선근을 더욱 늘리게 되는지요? 

선근이 더욱 자라지 않으면 어떻게 모든 바라밀을 완전히 구족(具足)하여 갖출  있으며, 

만약 모든 바라밀을 완전히 구족(具足)하지 못한다면, 어떻게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는지요?”


佛告須菩提:若菩薩不念色,乃至不念阿耨多羅三藐三菩提,是時善根增益;

善根增益故,具足諸波羅蜜;諸波羅蜜具足故,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

何以故?不念色乃至不念阿耨多羅三藐三菩提時,便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

부처님께서 수보리 존자에게 말씀하셨다.

“만약 보살이 물질(色)을 생각하지 않고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이르기까지도 생각하지 않는 불념(不念)이면, 선근은 더욱더 늘어나느니라. 

선근이 더욱 더 늘어나기 때문에 모든 바라밀을 두루 갖추게 되고, 모든 바라밀이 두루 갖추어진 때문에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느니라. 

왜냐 하면, 물질(色)을 생각하지 않는 불념(不念)하며,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이르기까지도 생각하지 않는 불념(不念)할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기 때문이니라.”


“世尊!何因緣故,色不念時,乃至阿耨多羅三藐三菩提不念時,便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

“세존이시여, 어떠한 인연으로 물질(色)을 생각하지 않는 불념(不念)하고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이르기까지도 생각하지 않는 불념(不念)할 때,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게 되는지요?”


佛言:“以念故著欲界、色界、無色界,不念故無所著。如是,

須菩提!菩薩摩訶薩行般若波羅蜜,不應有所著。”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생각하기 때문에 욕계ㆍ색계ㆍ무색계에 집착하는 소착(所著)이며, 생각하지 않는 불념(不念)이기 때문에 집착하는 것이 없는 무소착(無所著)이니라. 

이와 같아서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행하면서 집착하는 것이 있어서는  되느니라.”


“世尊!菩薩摩訶薩如是行般若波羅蜜,當住何處?”

“세존이시여, 보살마하살은 이와 같이 반야바라밀을 행하면서 어느 곳에 머물러야 하는지요?”

 

佛言:“菩薩摩訶薩如是行,不住色,乃至不住一切種智。”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보살마하살은 이와 같이 행하면서, 물질(色)에 머무르지도 않고 일체종지(一切種智)에 이르기까지도 머무르지 않느니라.”


“世尊!何因緣故,色中不住,乃至一切種智中不住?”

“세존이시여, 무슨 인연으로 물질(色) 가운데에 머무르지 않고 일체종지에 이르기까지도  가운데에 머무르지 않는지요?”


佛言:“不著故不住。何以故?是菩薩不見有法可著、可住。

如是,須菩提!菩薩摩訶薩以不著、不住法,行般若波羅蜜。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집착하지 않는 불착(不著)하는 까닭에 머무르지도 않는 불주(不住)이니라. 

왜냐 하면,  보살은 집착하거나 머무를  있는 어떠한 법도 보지 않기 때문이니라. 

이와 같아서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은 집착하지도 않고 머무르지도 않는 불착불주법(不著不住法)으로써 반야바라밀을 행하느니라.


須菩提!若菩薩摩訶薩作是念:‘若能如是行、如是修,是行般若波羅蜜;我今行般若波羅蜜、修般若波羅蜜。’若如是取相,則遠離般若波羅蜜;

若遠離般若波羅蜜,則遠離檀波羅蜜,乃至遠離一切種智。

何以故?般若波羅蜜無有著處、亦無著者,自性無故,菩薩摩訶薩若復如是取相,則於般若波羅蜜退;若退般若波羅蜜,則是退阿耨多羅三藐三菩提,不得受記。

수보리야, 만약 보살마하살이 생각하기를 ‘이와 같이 행하고 이와 같이 닦을  있다면 이것이 바로 반야바라밀을 행하는 것이다. 나는 지금 반야바라밀을 행하고 있으며, 반야바라밀을 닦고 있다’고 하면서 이처럼 상(相) 취하면,  반야바라밀을 멀리 여의는 것이니라. 

만약 반야바라밀을 멀리 여의면, 단바라밀을 멀리 여의게 되고 일체종지에 이르기까지도 멀리 여의는 것이니라. 

왜냐 하면, 반야바라밀에는 집착할 곳도 없고 또한 집착하는 이도 없으니, 스스로의 자성이 없는 무자성(無自性)이기 때문이니라. 

보살마하살이 만약 다시 이와 같은 상(相)을 취하면,  반야바라밀에서 물러나게 되며, 만일 반야바라밀에서 물러나게 되면, 이것은 바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서 물러나는 것으로, 수기(受記)를 얻지 못하느니라.


菩薩摩訶薩復作是念:‘住是般若波羅蜜,能生檀波羅蜜,乃至能生大悲。’若作是念,則爲失般若波羅蜜;

失般若波羅蜜者,則不能生檀波羅密,乃至不能生大悲。

菩薩若復作是念:‘諸佛知諸法無受相故,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菩薩若作如是演說、開示、教詔,則失般若波羅蜜。

何以故?佛於諸法無所知、無所得,亦無法可說,何況當有所得!無有是處!”

보살마하살이 다시 생각하기를 ‘이 반야바라밀에 머무르면 단바라밀을   있으며, 대비(大悲)에 이르기까지도  수가 있다’고도 하나니, 만약 이러한 생각을 한다면  반야바라밀을 잃는 것이니라. 

반야바라밀을 잃게 되면 단바라밀을 내지 못하고 대비에 이르기까지도 내지 못하느니라.

보살이 다시 생각하기를 ‘모든 부처님께서는법은 받아들이는 없는 무수상(無受相)임을 아시 때문에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는다’고도 하나니, 보살이 이와 같이 연설하고 열어 보이며 가르쳐 주면  반야바라밀을 잃는 것이니라. 

왜냐 하면 부처님은법에 대하여 아는 바도 없는 무소지(無所知)이고, 얻는 바도 없는 무소득(無所得)이며, 또한 설할  있는 어떠한 법도 없는 무법가설(無法可說)이거늘, 하물며 얻을 바가 있는 유소득(有所得)이겠는가? 이러함은 있을  없느니라!”


須菩提白佛言:“世尊!菩薩行般若波羅蜜,云何無是過失?”

수보리 존자가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보살이 반야바라밀을 행하면서 어찌하면 이러한 잘못이 없겠는지요?”


佛言:“若菩薩摩訶薩行般若波羅蜜,作是念:‘諸法無所有、不可取;若法無所有、不可取,則無所得。若如是行,爲行般若波羅蜜。’

若菩薩摩訶薩著無所有法,則遠離般若波羅蜜。何以故?般若波羅蜜中無有著法故。”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만약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행하면서 생각하기를 ‘제법은 있는 바가 없는 무소유(無所有)라서 취할  없는 불가취(不可取)이다. 만약 법이 있는 바가 없는 무소유(無所有)라서 취할 수 없는 불가취(不可取)라 얻을 바도 없는 무소득(無所得)이다’고 하리니, 

이와 같이 행한다면 반야바라밀을 행하는 것이니라. 

만약 보살마하살이 있는  없는 무소유법(無所有法)에 집착한다면, 반야바라밀을 멀리 여의는 것이니라. 

왜냐 하면, 반야바라밀 가운데에는 집착할 법이 없기 때문이니라.”


須菩提白佛言:“世尊!般若波羅蜜遠離般若波羅蜜耶?

檀波羅蜜遠離檀波羅蜜耶?乃至一切種智遠離一切種智耶?

世尊!若般若波羅蜜遠離般若波羅蜜,乃至一切種智遠離一切種智,菩薩云何得般若波羅蜜乃至得一切種智?”

수보리 존자가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반야바라밀이 반야바라밀을 멀리 여의는 것인지요?

단바라밀이 단바라밀을 멀리 여의며, 나아가 일체종지가 일체종지를 멀리 여의는 것인지요?

세존이시여, 만약 반야바라밀이 반야바라밀을 멀리 여의며, 나아가 일체종지가 일체종지를 멀리 여읜다면, 보살이 어떻게 반야바라밀을 얻으며 일체종지에 이르기까지를 얻는지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