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智度論釋 幻人無作品 第十一卷 第四十四        

龍樹菩薩造 용수 보살 지음.
後秦龜茲國三藏法師鳩摩羅什奉 詔譯 후진 구자국 구마라집 한역송성수 번역/김형준 개역

11. 환인무작품(幻人無作品) 풀이함 4

 

須菩提白佛言:“世尊!何等是方便?菩薩行是方便,不驚、不畏、不怖?”

수보리존자가 부처님께 여쭈었으니,

“세존이시여, 무엇이 방편이기에 보살이 이 방편을 행한다면 놀라거나 두려워하거나 무서워하지 않게 되는 것입니까?”- 대지도론(大智度論) 제44권 3

 

▶論. 問曰:須菩提何以生此疑,問佛言“新發意菩薩聞是將無恐怖”?

▷논. 묻나니, 수보리존자는 무엇 때문에 그러한 의심을 내면서 부처님께 “새로이 뜻을 일으킨 보살이 이 말씀을 들으면 두려워하지는 않겠는지요”라고 물은 것입니까?

 

曰:聞無有菩薩行般若波羅蜜者,但空五衆法亦不能行般若波羅蜜,

以是故生疑:“誰當行般若波羅蜜?”是故問佛。

답하나니, 보살로서 반야바라밀을 행하는 이는 “다만 오중(五衆)의 법만을 공(空)하게 하지는 않으며, 또한 반야바라밀을 행할 수 없다.” 하는 것을 들었기 때문에 의심하면서

“그렇다면 그 누가 반야바라밀을 행해야 하는가”라고 하게 되나니, 이 때문에 부처님께 묻는 것이다.

 

佛言:若菩薩內外因緣不具足,當有恐怖。

內因緣者,無正憶念,無利智慧,於衆生中無深悲心,內無如是等方便。

外因緣者,不生中國土,不得聞般若波羅蜜,不得善知識能斷疑者,無如是等外因緣。

內外因緣不和合故,生驚、怖、畏。

부처님께서 말씀하시기를, “만약 보살이 안팎의 내외인연(內外因緣)을 두루 갖추지 못한다면 두려움이 있게 된다.”고 하셨으니,

안의 인연인 내인연(內因綠)이라 함이란, 바른 생각이 없고, 예리한 지혜가 없으며, 중생들에 대하여 깊은 자비심이 없는 것이니, 안으로는 이러한 등의 방편이 없는 것이며, 

밖의 인연인 외인연(外因緣)이라 함은 중앙의 나라(인도)에 태어나지 못한 채 반야바라밀을 들을 수도 없으며, 의심을 끊어 줄 수 있는 선지식을 만나지 못한 것이니, 이러한 등등의 바깥 인연이 없는 것이니, 

이러한 안팎의 인연이 화합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갖추어지지 못하였기 때문에) 놀람과 두려움이 생겨나는 것이다.

 

今須菩提問是方便,佛答:“一切種智相應心觀諸法,亦不得諸法。”

지금 수보리존자는 이러한 방편을 묻는 것이요

부처님께서 대답하시기를, “일체종지(一切種智)와 상응하는 마음으로 제법을 관찰하나, 역시 제법을 얻지 못한다.”고 하신 것이다.

 

問曰:方便有觀色無常等種種相故不怖畏,今何以但說“薩婆若相應心觀諸法故,不恐不怖”?

묻나니, 방편으로 물질의 무상함 등의 갖가지 상(相)을 관찰하기 때문에 두려워하지 않게 되거늘,

지금 무엇 때문에 단지 “살바야와 상응한 마음으로 제법을 관찰하기 때문에 두려워하지 않고 겁내지도 않는다.”고 말씀하시는 것입니까?

 

答曰:菩薩先來但觀諸法空,心麤故生著;今憶想分別觀,如佛意:

“於衆生中起大悲,不著一切法,於智慧無所碍,但欲度衆生。

以無常、空等種種觀諸法,亦不得是法。”

답하나니, 보살은 앞에서 부터 줄곧 오직 제법의 공(空)을 관찰하였지만 마음이 거칠기 때문에 집착을 일으킨 것이나,

이제는 기억(憶)하고 생각(想)하고 분별(分別)하여 부처님의 뜻과 같이 관(觀)하여서, 중생에 대하여 대 자비를 일으키고,

일체의 법에 집착하지 않으며, 지혜에 있어서도 막힌 바가 없고, 오직 중생을 제도하고자 할 뿐이니,

무상(無常)함과 공(空) 등의 갖가지로 제법을 관찰하되 역시 이 법을 얻지 못하는 것이다.

 

如是觀諸法已,作是念:‘我以是法度衆生,令離顚倒。’以是故心不著,不見定實有一法;

譬如藥師和合諸藥,冷病者與熱藥,於熱病中爲非藥。

二施中法施大故,是名檀波羅蜜。五波羅蜜亦如是隨義分別。

이와 같이 기억(憶)하고 생각(想)하고 분별(分別)하여 부처님의 뜻과 같이 제법을 관찰한 뒤에 생각하기를

‘나는 이 법으로 중생을 제도하며, 전도(顚倒)된 것을 여의게 하리라.’고 하나니,

이 때문에 마음으로 집착하지 않고 결정코 진실한 어떠한 일법(一法)도 있음을 보지 못하나니,

비유하자면, 마치 약사(藥師)가 여러 약을 섞어서 냉병(冷病)이 든 이에게 열약(熱藥)을 지어 주지만,

그것이 열병(熱病)에는 약이 되지 않는 것과 같이, 

두 가지의 보시 가운데에서 법의 보시인 법시(法施)가 크기 때문에 이를 단(檀, 보시)바라밀이라 하며,

그 외의 다섯 바라밀 또한 이와 같이 이치에 따라 분별한 것이며, 

 

復次,菩薩方便者,非十八空故令色空。何以故?不以是空相强令空故,色卽是空;

是色從本已來常自空,色相空故,空卽是色;乃至諸佛法亦如是。

또한 보살의 방편이라 한 것은, 18공(十八空)이기 때문에 물질(色)이 공한 공색(空色)인 것이 아니니,

왜냐하면 이 공한 공상(空相)으로써 억지로 공하게 하지 않기 때문이며,

물질 그것이 곧 공인 색즉시공(色卽是空)이니, 이 물질(色)은 본래부터 항상 스스로 공한 것이며, 

물질의 색상(色相)이 공하기 때문에 공이 곧 물질인 공즉시색(空卽是色)이며,

나아가 모든 부처님의 불법 또한 그와 같은 것이다.

 

善知識者,敎人令以是智慧迴向阿耨多羅三藐三菩提。菩薩先知無常、空等諸觀,今惟說“迴向”爲異。

선지식(善知識, kalyāṇa-mitra)이라 함이란,

사람들로 하여금 이러한 지혜로써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회향하도록 가르치는 사람으로, 

보살은 앞에서 무상(無常), 공(空) 등의 모든 관(觀)을 알았으니,

지금은 오직 회향을 설명한 것이 다를 뿐이다.

 

선지식(善知識)= 가라밀(迦羅蜜) · 가리야낭밀달라(迦里也曩蜜怛羅) 등으로 음역한다. 선지식(善智識) · 선친우(善親友) · 지식(知識) · 선우(善友) · 친우(親友) · 승우(勝友)라고도 한다. 좋은 친구라는 뜻이며, 불도(佛道)에 들어가도록 바르게 이끌어주는 훌륭한 지도자를 일컫는다. 이와 반대로, 그릇된 길[邪道]로 이끄는 사람을 악지식(惡知識)이라고 한다.- 다움

 

▶經. 須菩提白佛言:“世尊!云何菩薩摩訶薩行般若波羅蜜無方便、隨惡知識,聞說是般若波羅蜜驚、怖、畏?”

▷경. 수보리존자가 부처님께 여쭈었으니, 

“세존이시여, 어떻게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행하면서 방편이 없는 무방편(無方便)으로 삿된 벗인 악지식(惡知識)을 따르기에 이 반야바라밀의 설법을 듣고는 놀라거나 두려워하게 되는지요?”

 

佛告須菩提:“菩薩摩訶薩離一切智心,修般若波羅蜜,得是般若波羅蜜,念是般若波羅蜜;

禪波羅蜜、毘梨耶波羅蜜、提波羅蜜、尸羅波羅蜜、檀波羅蜜,皆得、皆念。

부처님께서 수보리 존자에게 말씀하셨으니, 

“보살마하살이 일체지(一切智)의 마음을 여읜 채, 반야바라밀을 닦으며, 이 반야바라밀을 얻으며,

이 반야바라밀ㆍ선바라밀ㆍ비리야(정진)바라밀ㆍ찬제(인욕)바라밀ㆍ시라(지계)바라밀과 단(보시)바라밀을 생각하여서 모두 얻고 모두 생각하는 것이니라.

 

復次,須菩提!菩薩摩訶薩離薩婆若心,觀色內空乃至無法有法空,觀受、想、行、識內空乃至無法有法空;

觀眼內空乃至無法有法空,乃至觀意觸因緣生受內空乃至無法有法空;於諸法空有所念、有所得。

또한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이 살바야(일체지)의 마음을 여읜 채,

물질(色)의 내공(內空)에서 무법유법공(無法有法空)에 이르기까지를 관찰하고 느낌(受)ㆍ생각(想)ㆍ 지어감(行)ㆍ분별(識)의 내공에서 무법유법공에 이르기까지를 관찰하며,

눈(眼)의 내공에서 무법유법공에 이르기까지 부터 뜻(意)의 접촉의 인연으로 생긴 느낌의 의촉인연생수(意觸因緣生受)의 내공에서 무법유법공에 이르기까지를 관찰하나니,

제법이 공한 가운데에서 생각하는 바가 있는 유소념(有所念)이고 얻는 바가 있는 유소득(有所得)이니라.

 

復次,須菩提!菩薩摩訶薩行般若波羅蜜,離薩婆若心,修四念處,亦念、亦得;

乃至修十八不共法,亦念、亦得。

如是,須菩提!菩薩摩訶薩行般若波羅蜜,以無方便故,聞是般若波羅蜜,驚、怖、畏。”

또한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행하면서 살바야(일체지)의 마음을 여읜 채,

사념처(念處)를 닦으면서 또한 생각하는 역념(亦念)이며, 또한 얻는 역득(亦得)이며,

나아가 18불공법 까지를 닦으면서도 또한 생각하는 역념(亦念)이며, 또한 얻는 역득(亦得)이나니,

이와 같이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행하면서 방편이 없는 무방편(無方便)이기 때문에 이 반야바라밀을 들으면 놀라고 두려워하느니라.”

 

須菩提白佛言:“世尊!云何菩薩摩訶薩隨惡知識,聞般若波羅蜜驚、怖、畏。”

수보리 존자가 부처님께 여쭈었으니, 

“세존이시여, 어떻게 보살마하살이 삿된 벗인 악지식(惡知識)을 따르는 것이기에 반야바라밀을 듣고 놀라며 두려워하는지요?”

 

佛告須菩提:“菩薩摩訶薩惡知識 敎離般若波羅蜜,離禪波羅蜜、毘梨耶波羅蜜、提波羅蜜、尸羅波羅蜜、檀波羅蜜。須菩提!是名菩薩摩訶薩惡知識。

부처님께서 수보리 존자에게 말씀하셨으니, 

“보살마하살의 악지식(惡知識)은 반야바라밀을 여의도록 가르치고 선바라밀ㆍ비리야(정진)바라밀ㆍ찬제(인욕)바라밀ㆍ시라(지계)바라밀과 단바라밀을 여의도록 가르치나니,

수보리야, 이러한 사람을 보살마하살의 악지식(惡知識)이라 하느니라.

 

須菩提!菩薩摩訶薩復有惡知識,不說魔事、不說魔罪,不作是言:‘惡魔作佛形像來敎菩薩離六波羅蜜,語菩薩言:善男子!用修般若波羅蜜爲?用修禪波羅蜜、毘梨耶波羅蜜、提波羅蜜、尸羅波羅蜜、檀波羅蜜爲?’當知是菩薩摩訶薩惡知識。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에게 다시 악지식(惡知識)이 있으니,

곧 악마의 일인 마사(魔事)를을 말하지도 않고, 악마의 죄인 마죄(魔罪)를 말하지도 않으며, 이러한 말을 짓지도 않는 자이니라.

‘악마가 부처님의 형상으로 변화하여 보살에게 육바라밀을 여의도록 가르치면서,

보살에게 말하기를, 선남자야, 반야바라밀을 닦아서 무엇에 쓰려 하며, 선바라밀ㆍ비리야바라밀ㆍ찬제바라밀ㆍ시라바라밀과 단바라밀을 닦아서 무엇에 쓰겠는가?’라고 하나니,

이러한 자가 보살마하살의 악지식(惡知識)이라는 것을 알아야 하느니라.

 

復次,須菩提!惡魔復作佛形像到菩薩所,爲說聲聞經:若修妒路乃至優波提舍,敎詔分別演說如是經;終不爲說魔事、魔罪,當知是菩薩摩訶薩惡知識。

또한 수보리야, 악마는 또한 부처님의 형상으로 변화하여 보살에게로 와서,

보살을 위하여 성문경(聲聞經)인 수투로(修妬路, sūtra, 산문 형식의 경설)에서 우바제사(優波提舍, upadeśa, 간략한 경의 말씀을 상세히 해설한 것)에 이르기까지를 말해 주면서,

이러한 경을 가르치고 분별하고 연설하면서 끝내 그에게 악마의 일인 마사(魔事)와 악마의 죄인 마죄(魔罪)를 말해 주지 않나니, 이러한 자가 보살마하살의 악지식(惡知識)이라는 것을 알아야 하느니라.

 

復次,須菩提!惡魔作佛形像到菩薩所,作是語:‘善男子!汝無眞菩薩心,亦非阿毘跋致地,汝亦不能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不爲說如是魔事、魔罪,當知是菩薩惡知識。

또한 수보리야, 악마가 부처님의 형상으로 변화하여 보살에게로 와서 말하기를

‘선남자야, 그대는 진실한 보살의 마음이 없고 아비발치(阿毘跋致, 불토전)의 지위도 아니며,

그대는 또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을 수도 없다.’고 하면서

보살에게 이와 같은 것이 마사(魔事)요, 마죄(魔罪)라는 것을 말해 주지 않나니,

이러한 자가 보살마하살의 악지식(惡知識)이라는 것을 알아야 하느니라.

 

復次,須菩提!惡魔作佛形像到菩薩所,語菩薩言:‘善男子!色空,無我、無我所;受、想、行、識空,無我、無我所;眼空,無我、無我所;乃至意觸因緣生受空,無我、無我所;檀波羅蜜空,乃至般若波羅蜜空;四念處空,乃至十八不共法空;汝用阿耨多羅三藐三菩提爲?’如是魔事、魔罪,不說、不敎,當知是菩薩惡知識。

또한 수보리야, 악마는 부처님의 형상으로 변화하여 보살이 있는 곳으로 와서는 보살에게 말하기를

‘선남자야, 물질은 공한 색공(色空)이고 무아(無我)이고 내 것이 없는 무아소(無我所)이며,

느낌(受)ㆍ생각(想)ㆍ 지어감(行)ㆍ분별(識)도 공(空)하고 무아(無我)이고 내 것이 없는 무아소(無我所)이며,

눈(眼)도 공한 안공(眼空)이고 무아(無我)이고 내 것이 없는 무아소(無我所)이며,

나아가 뜻의 접촉의 인연인 의촉인연(意觸因緣)의 인연으로 생긴 느낌까지도 공한 수공(受空)이며, 무아(無我)이고 내 것이 없는 무아소(無我所)이며,

단바라밀을 공(空)한 것이며, 나아가 반야바라밀까지도 공한 것이며,

사념처도 공한 것이며, 나아가 18불공법 까지도 공한 것이거늘

그대는 무엇하러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닦는가?’라고 하며,

악마의 일인 마사(魔事)요 악마의 죄인 마죄(魔罪)임을 말하여 주지도 않고 가르쳐 주지도 않나니,

이러한 자를 보살의 악지식(惡知識)이라는 것을 알아야 하느니라.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