本名;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또는 '중인도나란타대도량경(中印度那蘭陁大道場經)' 당나라의 반자밀제(般刺密帝) 번역,
송나라 급남(及南) 편찬(編纂), 송나라 계환(戒環) 해석, 개운조사 능엄경 참조.
수능엄경(首楞嚴經) 7권 6
大佛頂 如來放光 悉怛多 鉢怛囉菩薩 萬行品,灌頂部錄出,
一名 中印度 那蘭陁 曼茶羅 灌頂金剛 大道場神呪
'대불정 여래방광 실달다 발달라보살 만행품'은 관정부록(灌頂部錄)에 있는데,
일명 '중인도 나란타 만다라 관정금강 대도장신주'라고 한다. ㅡ 4
曳髻者那薩怛薩怛皤, 예기자나사다사다바, 약유중생(若有衆生)
突瑟咤質多, 도스타짇다, 악심귀(惡心鬼)
澇持囉質多, 노특라짇다,
烏闍訶囉, 오자하라, 식정기귀(食精氣鬼)
揭婆訶囉, 가바하라, 식태장귀(食胎藏鬼)
嘮地囉訶囉, 노디라하라, 식혈귀(食血鬼)
芒娑訶囉, 망사하라, 식육귀(食肉鬼)
摩社訶囉, 마사하라, 식산귀(食產鬼)
社多訶囉, 사다하라
視微多訶囉, 시미다하라, 식수명귀(食壽命鬼)
皤略耶訶囉, 바략야하라, 식제귀(食祭鬼)
健陁訶囉, 건타하라, 식향귀(食香鬼_
布瑟波訶囉, 보스바하라, 식화귀(食花鬼)
破囉訶囉, 바라하라, 식오과자귀(食五果子鬼)
薩寫訶囉, 사사하라, 식오곡종자귀(食五穀種子鬼)
波波質多 突瑟咤 質多, 바바짇다 도스타 짇다, 악심귀(惡心鬼)
嘮陁羅質多, 로타라짇다, 진심귀(嗔心鬼)
陁囉質多藥叉揭囉訶, 다라짇다약샤가라하
囉剎娑揭囉訶, 라샤사가라하,
閉囇多揭囉訶毘舍遮揭囉訶, 볘려다아라하비사차아라하,
部多揭囉訶, 보다가라하, 신중(神衆)
鳩槃茶揭囉訶, 구반다아라하,
塞健陁揭囉訶, 스건타아라하,
烏怛摩陁揭囉訶, 오다라타아라하
車夜揭囉訶, 차야아라하, 영귀(影鬼)
阿波娑摩囉揭囉訶, 아바사마라아라하, 양진귀(羊嗔鬼) 귀여야호(鬼如野狐), 狐 여우 호
侘 迦茶祁尼揭囉訶, 가다기니가라하, 매귀매녀귀(魅鬼魅女鬼)
𠼝婆底揭囉訶, 리바디가라하, 여구뇌소귀(如狗惱小鬼), 狗 개 구
闍弭迦揭囉訶, 자미가 가라하, 여오귀(如烏鬼), 烏 까마귀 오,
舍俱尼揭囉訶, 사구니가라하, 여마(如馬)
漫怛囉難提迦揭囉訶, 만다라난뎨가아라하, 여묘아(如猫兒), 猫 고양이 묘
阿藍皤揭囉訶, 아람바 아라하, 여사(如蛇)
訶奴建度波尼 揭囉訶, 라노건도바니 아라하, 여계(如雞), 雞 닭 계
什(입음入音) 皤囉 (장열학귀壯熱瘧鬼) 翳迦醯迦 (일일일발一日一發) 德吠底迦, 지 바라 예 가혜가 덕볘디가(일일일발 二日一發)
帝哩帝藥迦 (삼일일발三日一發) 折咄㗚他迦(사일일발四日一發), 뎨리뎨약가 저도리타가,
眤底夜什皤囉, 니디야지바라, 상장열귀(常壯熱鬼)
毘沙摩什皤囉, 비사마지바라, 장열(壯熱)
皤底迦, 바디가 (풍열귀 風病鬼),背底迦, 배디가, (황병귀 黃病鬼)
室禮瑟彌迦, 실례스미가, 담식(痰飮), 痰 가래 담
娑你波底迦, 사니바디가, 이병(痢病), 痢 이질 리
薩皤什皤囉, 사바지바라, 일체장열(一切壯熱)
室嚕喝囉底, 실로아라디, 두통(頭痛)
阿羅陁皤帝, 아라다바뎨, 반두통(半頭痛)
阿乞史嚧劍, 아가사로검, 기불식귀(飢不食鬼), 飢 주릴 기
目佉嚧鉗, 모카로감, 구통(口痛)
羯唎突嚧鉗, 가리도로감, 수귀(愁鬼), 愁 시름 수, 근심 수,
羯囉訶輸藍, 가라하슈람, 인후통(咽喉痛)
羯拏輸藍, 가나슈람, 이통(耳痛)
檀多輸藍, 단다슈람, 치통(齒痛)
頡哩馱耶輸藍, 길리타야슈람, 심통(心痛)
末摩輸藍盧, 마마슈람, 겸반(鉗反), 鉗 칼 겸,
跋囉㗌婆輸藍, 바라시바슈람, 근통(肋痛), 肋 갈빗대 륵, 힘줄 근
背哩瑟咤輸藍, 배리스타슈람, 배통(背痛)
烏馱囉輸藍, 오타라 슈람, 노감반복통(盧紺反腹痛)
羶知輸藍, 단지슈람, 요통(腰痛)
跛悉帝輸藍, 바싣뎨슈람, 나골통(裸骨痛)
鄔嚧輸藍, 오 로슈람, 피퇴통(腿䏶痛), 腿 넓적다리 퇴, 䏶 넓적다리 피
常伽輸藍, 상가슈람, 완통(腕痛), 腕 팔 완, 팔뚝 완
喝薩多輸藍, 아사다슈람, 수통(手痛)
波陁輸藍, 바다슈람, 각통(腳痛), 腳 다리 각
頞伽鉢囉登輸藍, 안가바라등슈람, 사지절통(四支節痛)
部多吠怛茶, 보다볘다다, 기시귀(起尸鬼)
茶枳呼, 다기 니, 경반상니매귀(哽反上尼魅鬼), 哽 목멜 경
什皤囉陁突盧建紐, 스바라타도 건츄
吉知蜘蛛婆路多, 기디 바로다, 정창(丁瘡), 瘡 부스럼 창
吠薩囉波嚕訶 (침음창侵淫瘡), 淩里孕伽, 볘사라바로하 릉 가, 적창(赤瘡)
輸沙多囉娑那迦囉毘沙喩迦, 슈사다 라사나가라비사슈가, 상차(上坎)
阿祁尼 火烏陁迦 摩囉吠囉 建多囉, 아기니 오타가 마라볘라건다라
阿迦囉蜜㗚, 아가라미리, 광사(撗死), 撗 채울 광
怛囇部, 迦地哩囉咤毘失脂迦, 다리보가디리라타비실지가, 갈(蝎), 蝎 나무좀 할, 전갈 갈,
薩囉波, 사라바, 사(蛇)
那俱囉, 나구라, 호랑(虎狼)
僧伽, 싱 가, 사자(師子)
吠也揭囉, 뱌 ¬ 가라, 대충(大虫)
怛乞叉, 닥 ¬ 사, 저웅(猪熊), 猪 멧돼지 저, 熊 곰 웅,
怛囉乞叉末囉 (마웅 馬熊) 視皤帝衫, 다락 ¬ 사마라 시바뎨삼, , 차등(此等)
薩毘衫薩毘衫, 살비삼살비삼, 일체차설자(一切此說者)
悉怛多鉢怛囉, 싣달다바 다라, 화개(花蓋)
摩訶跋折嚕, 마하바저로, 대금강장(大金剛藏)
瑟尼衫摩訶鉢囉登祁藍, 스니삼마하바라등기람
夜婆埵陁舍喩社那, 야바수타사수사나, 내지(乃至) 십이유순(十二由旬) 성계지(成界地)
便怛囇拏毘 (입성入聲)地夜畔馱迦嚧彌, 편다려나비 디야반타가로미, 운아재명주(云我大明呪)
십이유순(十二由旬) 결계(結界) 금박막입(禁縛莫入)
帝殊畔陁迦居那反嚧彌, 뎨수반타가 로미, 불정광취(佛頂光聚) 박결부득입계(縛結不得入界)
波囉微地也途迦反畔陁迦嚧彌, 바라미댜 반타가로미, 능박일체악신귀(能縛一切惡神鬼)
怛地他, 다디타, 즉설주왈(卽說呪曰)
唵, 옴 阿那㘑毘舍提鞞囉, 아나례비사뎨 비라
跋折囉, 바저라 阿唎畔陁,아리반타, 毘陁你, 비타니,
跋折囉波尼泮, 바저라바니바
呼吽, 호훔 咄嚕吽, 도로훔, 삼합(三合)
莎皤訶, 사바하, 唵吽, 옴훔 毘嚕提, 비로뎨 莎皤訶, 사바하
右此呪句摠有四百三十九句。
위의 주문은 모두 439구(句)로 되어 있다.
'수능엄경(首楞嚴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능엄경(首楞嚴經) 7권 8(개운조사 음역 능엄신주 전문) (8) | 2025.06.18 |
---|---|
수능엄경(首楞嚴經) 7권 7(전문 능엄신주) (6) | 2025.06.17 |
수능엄경(首楞嚴經) 7권 5(능엄신주 3) (2) | 2025.06.15 |
수능엄경(首楞嚴經) 7권 4(능엄신주 2) (1) | 2025.06.14 |
수능엄경(首楞嚴經) 7권 3(능엄신주 1) (2) | 2025.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