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엄경(首楞嚴經) 7권 7(전문 능엄신주)
本名;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또는 '중인도나란타대도량경(中印度那蘭陁大道場經)' 당나라의 반자밀제(般刺密帝) 번역,
송나라 급남(及南) 편찬(編纂), 송나라 계환(戒環) 해석, 개운조사 능엄경 참조.
수능엄경(首楞嚴經) 7권 7
大佛頂 如來放光 悉怛多 鉢怛囉菩薩 萬行品,灌頂部錄出,
一名 中印度 那蘭陁 曼茶羅 灌頂金剛 大道場神呪
'대불정 여래방광 실달다 발달라보살 만행품'은 관정부록(灌頂部錄)에 있는데,
일명 '중인도 나란타 만다라 관정금강 대도장신주'라고 한다.
능엄신주 전문(全文)
나모사다타소가다야 아라하뎨삼먁삼몯다야
나모살바몯다 바디사다볘뱌 나모삽다남삼먁삼몯다구티남
사시라 바 가싱가남 나모로계아라아다남 나모소로다반나남 나모스가리 타 가 미남
나모로계사먁가다남 나모사먁바라 디반나 남 나모뎨바리시남 나모미싣다야비 댜 다라남
나모싣타미댜 다라리시남 사바 나아라하사하아라다남
나모바라 하마 니 나모인 다라 야 나모바가바뎨 로다로 야 오마바디 사혜야야
나모바가바 뎨 나라연나야 반자마하몯다라 나모스가리 다야
나모바가 바뎨마하가라야 디리보라나가 라 비타라바나가라야
아뎨목다가시마사나 바싣니 마다리 가나 나모스그리다야
나모바가바뎨 다타가다 나모바다마 구라야 나모바저라구라 야
나모마니구라야 나모가 자구라야 나모바가바뎨 디리 다슈라혜나 바라 하라나라 자야
다타가다야 나모바가바뎨 아미타 바 야 다타가다야 아라하뎨삼먁삼보다야
나모바가바뎨 아추뱌 다타가다야 아라하뎨삼먁삼몯다야
나모바가바뎨 비사자구로 볘소리리야 바라 바라 자야 다타아다야 아라하뎨삼먁삼몯다야
나모바가바뎨 사보스비다 바라라 자야 다타가다야 아라하뎨삼먁삼몯다 야
나모바가바뎨 사갸 모나예 다타가다야 아라하뎨삼먁삼몯다 야
나모바가바뎨 라다나구소마 계도라 자야 다타가다야
아라하뎨삼먁삼몯다 야뎨뵤 나모스가리 다바예마함바가바다 사다타가도오스니삼 싣다다 바다람
나모아바 라지단 바라등 의 라 사바 보다가라 하가라니 바라미 댜 체 다 니
아가 라 밀 투 바리다라야 나가리 살바반타나목 사나가리 살바도스타 도사바나니바라니
자도라 싣디남 가라하사하사라 남 미타방사 나가리 아스타빙샤디남
낙샤다라남 바라 사 타 나가리 아스타 남 마하가라하남 미타방 사나가리 살바사도로 니바라니
거 라남 도실핍 바나난차나사니 비사샤사다라 아기니 오다가라니
아바 라 시다구라 마하바라젼나 마하뎨다 마하뎨자 마하세미 다 지바 라
마하바라 반다라바 시니 아리야다라 비리 구디제바비자야
바저라 마례디비슈로다 바답마가 바저라쳬 하바자 마라제바 바라시다 바저 라 단디 비사라 마차
션다사비뎨바보시다소마로바
마하 세미 다 아리야다라 마하 바라아바라 바저라 상갈라제바 다타 바저라구마리가
구람 타리 바저라하사다자 미댜 건차나마 리가 구소바아라다라다나
비로차야나구리야 도담 야라오스니사 비저람바마라차 바저라 가야가 바라바기 차나
바저라 돈니차 세미다차가마 락 사 사시바라 바예뎨리뎨 모 다라 니아라 사볘락 삼
구라반 도인누나마마 나사 오훔 모리 스가 나 바라 사 사다 사다타가도 오스니사
호훔 도로훔 첨바나 호훔 도로훔 사탐바나
호훔 도로훔 바라미댜 삼박 사나라
호훔 도로훔 살바보스타남 사담바나가라
호훔 도로훔 살바약사 갈라 샤사아라하남 비타방사나가라
호훔 도로훔 자도라시디남 가라하사라남 비타방사나가라
호훔 도로훔 아스타미 마사뎨남 나카 사다라남 바라마타나가라
호훔 도로훔 라샤라샤 바가범 사다타가도오스니사 바라등의리
마하사하사라보아 사하사라시리 구디사다사하사 라녜다례
아볘댜 지바리다나타가 마하바저로타 라뎨리보바나 만다라 오훔사싣뎨 바바도 인누마마
라자바야 주라바야 아기니바야 오타가바야 볘사바야 사사다라바야 바라자가라바야
도리사바야 아사니바야 아가라마리 투바야 아다라니보미검바 가바다바야
오라라가바다바야 라자단다바야 나 가 바야 미디슈바야 소바걸니바야
약사가라하 라샤사가라하 비리다가라 하 비사 차아라하 보다아라하 구반다아라하
보다나가라하 가타보다나가라하 스건타가라하 아바사마하가라 하 오단마타가라
하 차야가라하 리바디가라하
자디하리니 가라바하리니 로디라하리니 망사하리니 계타하리니 마자하리니 자다하리니
시볘다하리니 바다하리니 바다하리남아슈차하리니 짇다하리니
뎨삼살비삼 살바가라하남 비댜 진타야미 기라야미
바리바라자가라 가리 담미댜 진타야미 기라야미
다기니 가리담미댜 진타야미기라야미
마하바슈바디야 로타라 가리탐미댜 진타라미기라야미
나라야나야텬신 가리탐미댜 진타야미기라야미
다드바가 로다 가리참미댜 진타야미기라야미
마하가라 마다라가나가리 탐미댜 진타야미기라야미
가바리가 가리탐미댜 진타야미기라야미
자야가라 만도가라 살바라타사다니 가리탐미댜 진타야미기라야미
자도리 바기니 가리탐미댜 진타야미
기라야미 빙 의리지 난니 계수바라 가나바디 사혜야 가리탐미댜 진타야미
기라야미 나연나실라 바나 가리탐미댜 진타야미 기라야미
아라하다 가리탐미댜 진타야미 기라야미
미다 라 가 가리탐미댜 진타야미 기라야미
바저 라바니 바저라바 니 구혜야가 디바디 가리타미댜 진타야미 기라야미
라사라사망 바가범 인누나마마나사
바가범 사다타가도오스니사 싣달다
바다라 나무소 도 양 아싣다나 라 라가 바라바비사보타 비가싣달다
바디리 지바라지바라 타라타라 빈타라빈타라 진타진타 함후함후 바바바 바타바타 사바하
혜혜바 아모가야바 아바라디하다바 바라바라 타바 아소라비타아바가바
살바뎨볘볘바 살바나나가볘바 살바약사볘바 살바건달바볘바 살바아소라볘바 살바아로다볘바
살바긴나라볘바 살바마호라가볘바 살바라샤사볘바 살바마로려볘바 살바아마노려볘바
살바보다나볘바 살바가타보다나볘바 살바도란기뎨볘바 살바도스타비리가시뎨볘바
살바지바리볘바 살바아바살마려볘바 살바사라바나볘바 살바디리티계볘바
살보다바뎨볘바 살바미댜 라서차려볘바 자야가라마도가라 살바라타사타계볘바 미댜 차리예볘바
자도라남 바기니볘바 바저라구마리가볘바
바저라구람 타리반바 미댜 라 자볘바 마하바라등자리볘바
바저라상갈라 야바 바라등기라라 자 야바
마하가라야바 마하마다리 가나야바 나모스가리 다 야바
비슬나미예바 바라훔마니예바 아기니 예바 마하가리예바 가라다다예바 예니리예바
차문지예바 노다리예바 가라 다리예바 가바려예바 아디모기다가시마사나바싣니예바
예기자나사다사다바 도스타짇다 노특라짇다
오자하라 가바하라 노디라하라 망사하라 마사하라 사다하라 시미다 하라 바략야하라 건타하라
보스바하라 바라하라 사사하라 바바짇다 도스타 짇다 로타라짇다 다라짇다 약샤가라하
라샤사가라하 볘려다아라하비사차아라하 보다가라하 구반다아라하 스건타아라하
오다라타아라하 차야아라하 아바사마라아라하 타가다기니가라하 리바디가라하 자미가 가라하
사구니가라하 만다라난뎨가아라하 아람바아라하 라노건도바니아라하
지 바라 예가혜가 덕볘디가 뎨리뎨약가 저도리타가 니디야지바라 비사마지바라 바디가 배디가
실례스미가 사니바디가 사바지바라 실로아라디 아라다바뎨 아가사로검 모카로감 가리도로감
가라하슈람 가나슈람 단다슈람 길리타야슈람 마마 슈람 바라시바슈람 배리스타슈람
오타라 슈람 단지슈람 바싣뎨슈람 오 로슈람 상가슈람 아사다슈람 바다슈람 안가바 라등슈람
보다볘다다 다기 니 스바라타도로건추 기디 바로다 볘사라바로하 릉 가
슈사다 라사나가라비사슈가 아기니 오타가 마라볘라건다라
아가라미리 다리보가디리라타비실지가 사라바 나구라 싱 가 뱌 가라 닥 사
다락 사마라 시바뎨삼 살비삼살비삼 싣달다바 다라 마하바저로 스니삼마하바라등기람
야바수타사수사나 편다려나비 디야반타가로미 뎨수반타가 로미 바라미댜 반타가로미
다디타 옴 아나례비사뎨 비라 바저라 아리반타 비타니
바저라바니바 호훔 도로훔 사바하 옴훔 비로뎨 사바하
右此呪句 摠有四百三十九句。
위의 주문은 모두 439 구(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