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엄경(首楞嚴經) 5권 5
本名;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또는 '중인도나란타대도량경(中印度那蘭陁大道場經)'당나라의 반자밀제(般刺密帝) 번역,
송나라 급남(及南) 편찬(編纂), 송나라 계환(戒環) 해석, 개운조사 능엄경 참조.
수능엄경(首楞嚴經) 5권 5
佛語阿難及諸大衆:“汝今云何自語矯亂。”
大衆阿難俱時問佛:“我今云何名爲矯亂?”
부처님께서 아난 존자와 대중들에게 말씀하셨다.
“너희들은 지금 어찌하여 스스로 하는 말이 이랬다 저랬다 하는가? ”
대중과 아난 존자가 함께 부처님께 여쭈었다.
“저희들이 지금 무엇을 이랬다 저랬다 한다고 하시는 것입니까?”
佛言:“我問汝聞,汝則言聞;又問汝聲,汝則言聲。惟聞與聲報答無定,如是云何不名矯亂?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내가 너희들에게 들리느냐고 물으면 너희들은 들린다 하였고,
또 내가 너희들에게 소리가 나느냐고 물으면 너희들은 소리가 난다고 하면서 ‘예, 들립니다. 소리가 납니다’라는 대답이 일정하지 않았으니, 이러한 것이 이랬다 저랬다한 것이 아니겠는가?
阿難!聲銷無響,汝說無聞,若實無聞,聞性已滅同于枯木,鍾聲更擊汝云何知?
知有知無,自是聲塵或無或有,豈彼聞性爲汝有無?聞實云無,誰知無者?
아난아, 소리가 사라지고 메아리마저 없어진 것을 너는 들리지 않는다고 하였으나, 만약 참으로 듣지 못한다면, 듣는 성품인 문성(聞性)마저 이미 사라져서 고목(枯木)과 같아야 할텐데, 다시 종을 친들 네가 어떻게 들을 수 있겠는가?
있음을 알고 없음을 아는 것은 스스로 그 들리는 대상인 소리가 혹 있었다 없었다 하는 것일지라도, 어찌 저 문성(聞性)이 너에게서 있었다 없었다 하는 것이 겠는가?
듣는 주체가 참으로 없다면 무엇이 없다는 것을 알겠는가?
ㅡ소리가 없어도 사라진 것이 아니고, 소리가 있어도 또한 생긴 것이 아니니, 이것이 곧 불생불멸(不生不滅)의 항상한 성품인 것이다.
是故,阿難!聲於聞中自有生滅,非爲汝聞聲生聲滅,令汝聞性爲有爲無。
그러므로 아난아, 듣는 가운데 소리가 스스로 생겼다 없어졌다 하는 것일 뿐이니,
네가 들음에 있어서 소리가 생기고, 소리가 없어지는 것이 너의 문성(聞性)으로 하여금 있었다 없었다 하게 하는 것이 아니니라.
汝尚顚倒惑聲爲聞,何怪昏迷以常爲斷。終不應言,離諸動靜、開閉 通塞、說聞無性。
너는 아직도 전도(顚倒)되어서 소리를 듣는 것으로 착각하나니, 어찌 혼미하여 항상(常)한 것을 오히려 끊겼다고(斷) 여기는 것이 이상한 일이 겠는가?
끝내는 모든 움직임(動)과 고요함(靜), 열리고(開) 닫힘(閉), 통(通)함과 막힘(塞)을 여의고서는 듣는 것이 무성(無性)이라고 말하지 못할 것이니라.
如重睡人眠熟牀枕,其家有人 於彼睡時 擣練舂米,其人夢中 聞舂擣聲,
於時忽寤 自告家人:‘我正夢時,惑此舂音將爲鼓響。’
마치 잠이 무거운 사람이 상침(床枕, 침대)에서 깊이 잠들어 있을 때, 그 집안 사람이 다듬이질이나 방아를 찧는다면, 그 사람이 잠결에 절구질과 다듬이질 소리를 듣고, 갑자기 깨어나서 가족에게 말하기를, '조금 전 잠결에서 이 소리를 들었다'고 할 것이다.
阿難!是人夢中 豈憶靜搖、開閉、通塞,其形雖寐 聞性不昏,縱汝形銷 命光遷謝,此性 云何爲汝銷滅?
아난아 그 사람이 어떻게 잠결에서 움직이고(動) 고요하고(靜), 열리고(開) 닫히고(閉), 통(通)하고 막히는(塞) 것을 다 기억할 수 있겠는가마는, 비록 몸은 잠을 자고 있었으나, 문성(聞性)은 혼미하지 않았으니, 가령 너의 몸뚱이가 없어져서 명광(命光, 목숨)이 옮겨서 사라진다고 할지라도 그 성(性)이 어찌 너에게서 없어지겠는가?
ㅡ중생들이 비록 전도되어 허망한 생사 속에 있으나, 항상한 성품(性)은 혼미하지도 않고 없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말하였다
중생들은 변하지 않는 진심(眞心)을 모르고 혹업고(惑業苦)에 얽매여서 윤회를 하는 것이다. 진심을 모르고서는 아무리 수행을 하여도 도를 이룰 수 없고 윤회에서 벗어날 수가 없으나, 변하지 않는 진심을 분명하게 알고 수행하면 깨달음을 얻는다.
以諸衆生從無始來,偱諸色聲逐念流轉,曾不開悟性淨妙常,不偱所常逐諸生滅,由是生生雜染流轉;若棄生滅守於眞常,常光現前,塵根識心應時銷落,想相爲塵、識情爲垢二俱遠離,則汝法眼應時淸明,云何不成無上知覺?”
모든 중생이 시작이 없는 무시로부터 온갖 색(色, 물질)과 소리(聲)를 따라 생각을 좇아서 흘러 유전(流轉)하는 것은, 일찍이 청정하고 묘하고 항상한 성품은 깨닫지 못하여 영원한 진리를 따르지 않고, 모든 생멸하는 것만을 좇아 다닌 때문이다.
이로 인하여 세세생생 잡념(雜念)으로 유전하게 되나니, 만약 생멸을 버리고 항상한 진리를 지킨다면, 항상한 빛이 앞에 나타나서, 감각기관(根)과 대상 물질인 진(塵)과 인식하는 마음인 식심(識心)이 때를 따라 사라질 것이니라.
생각하는 상상(想相)은 망령된 대상 물질인 망진(妄塵)이 되고, 인식하는 식정(識情)은 더러운 염구(染垢)가 되나니,
이러한 두 가지 모두를 멀리 여읜다면, 너의 법안(法眼)이 때를 따라 맑고 밝아질 것이니,
어찌 더없이 높은 깨달음을 이루지 못하겠는가?
阿難 見性 未能證入 譬遇華屋 不得其門 須請修行方便前 示眞基則華屋之址 此示眞要 則華屋之門也
아난아 견성(見性)은 하였으나 증득(證得)하여 들어가지 못한 것을 비유하자면, 마치 우연히 화려한 집을 만났으나 그 문을 찾지 못하는 것과 같으니, 수행하는 방편을 청하였으므로 참됨을 보여준 것은 화려한 집을 지을 터를 가르쳐 준 것이고,
여기에서 진요(眞要)를 보여준 것은 화려한 집에 들어가는 문을 보여 준 것이다.
阿難白佛言:“世尊!如來雖說第二義門,今觀世閒解結之人,若不知其所結之元,我信是人終不能解。
世尊!我及會中有學聲聞亦復如是,從無始際與諸無明俱滅俱生,雖得如是多聞善根名爲出家,猶隔日瘧。
아난 존자가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 비록 두 번째 뜻의 제이의문(第二義門)을 말씀해 주셨으나, 지금 살펴보건대, 세상에서 맺힌 것을 풀고자 하는 사람이 만약 그 맺히게 된 근원을 알지 못한다면, 이 사람은 끝내 풀 수 없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세존이시여, 저와 이 법회의 유학성문(有學聲聞)들도 이와 같아서, 시작이 없는 과거로부터 모든 무명과 더불어 함께 생기고 함께 멸해왔으니, 이렇게 많이 듣고 아는 다문선근(多聞善根)을 지녀서 명분만 출가했다고 할 뿐, 마치 학질에 걸린 것과 같습니다.
ㅡ앞의 제이의문(第二義門)에서 업의 근본을 살피게 할 때에 '맺힌 이유를 알지 못한다면 어떻게 풀겠는가?'를 다시 청하는 것이다.
'모든 무명'은 근본무명(根本無明)과 지말무명(枝末無明)을 말하며, 잠시 잠복할 뿐, 끊어진 것이 아닌 것이기 때문에 '학질에 걸린 것과 같다'고 한 것으로, 이는 맺힘을 푸는 참되고 중요한 진리의 요체(要諦)를 할지 못한 까닭이다.
학질에 걸리면 하루는 아프다가 그 다음날에는 멀쩡하고 또 그 다음날에는 다시 아프다고 하며, 아플 때에는 오한이 나서 몸이 사시나무 떨듯이 저절로 떨리면서 아프다가 또 가라앉기를 반복하는 것을 공부에 비유하여서, 어떨 때는 아는 것 같고 어떨 때는 아무 것도 모르는 것 같은 그런 상태를 말하는 것이다. 공부할 때에는 아는 것 같지만 공부를 놓고 일상으로 돌아오면 다시 번뇌에 흔들리게 되어 고통속으로 들어간다. 즉, 불법(佛法)에 대하여 내가 뭘 아는 것도 같기도 하고, 모르는 것 같기도 한 상태를 말한다.
유학성문(有學聲聞)은 아직 도를 얻지 못한 자로서 수다원 사다함 아나함을 말하는 것으로, 아라한이 되어야 무학(無學)이 된다.
唯願大慈哀愍淪溺,今日身心云何是結?從何名解?亦令未來苦難衆生,得免輪迴,不落三有。”作是語已,普及大衆五體投地雨淚翹誠,佇佛如來無上開示。
부디 바라오니, 대자(大慈)로 생사에 빠져서 헤어나지 못하는 것을 불쌍히 여기시어, 오늘날의 몸과 마음이 어찌하여 이렇게 얽혀진 것이며, 어떻게 하는 것이 푸는 것인지를 가리켜주시옵고, 또한 미래에 고난을 받을 중생들로 하여금 윤회를 벗어나서 삼유(三有, 삼계)에 떨어지지 않을 수 있게 하여 주옵소서.”
이렇게 말하고는 대중과 함께 오체(五體, 온몸)를 땅에 던져 절하면서 눈물을 흘리면서 정성을 다하여 부처님의 더없이 높은 가르침을 기다렸다.
ㅡ몸과 마음에 맺힌 의혹은 미래에 받을 고난(苦難)의 근본이고, 맺힌 원인을 푸는 것을 윤회에서 해탈하는 요점이다.
爾時,世尊憐愍阿難及諸會中諸有學者,亦爲未來一切衆生爲出世因、作將來眼,以閻浮檀紫光金手摩阿難頂,
이 때에 세존께서 아난과 법회의 유학성문들을 가엾게 여기시는 한편, 미래의 중생들을 위하여 세간을 벗어나는 원인(因)을 말씀해 주시어서 장래의 법안(法眼)을 삼으시고자, 염부단(閻浮檀)의 자금색(紫金色) 광명이 빛나는 손으로 아난의 이마를 만지셨다.
ㅡ정수리를 만지는 것은 최상의 법문을 하실 뜻을 나타내는 것이다.
卽時十方普佛世界六種振動,微塵如來住世界者各有寶光從其頂出,
其光同時於彼世界來祇陁林灌如來頂,是諸大衆得未曾有。
이때 시방의 한 없이 많은 부처님의 세계가 여섯 가지로 진동하면서, 그 세계에 계시는 티끌과 같이 많은 여래께서 각각 보배광명을 그 정수리로부터 놓으시자, 그 광명이 동시에 그 세계에서 기타림(祇陀林)으로 와서 여래의 정수리에 맞닿으니, 법회의 대중들이 이전에 본적이 없는 미증유(未曾有)를 보게 되었다.
ㅡ육종진동(六種振動)이란, 동(動), 기(起), 용(湧), 진(震), 후(吼),격(擊)으로,
진(震), 후(吼),격(擊)은 소리이고, 동(動), 용(湧), 기(起)는 상(相)으로, 이 여섯 가지 진동은 안이비설신의(眼, 耳, 鼻, 舌, 身, 意)의 육근(六根)을 나타내고, 또한 그 각각에서 다시 세 종류가 있어서 모두 18 가지가 되고, 18 가지는 육근(六根), 육진(六塵), 육식(六識)의 십팔계(十八界)를 나타낸다.
동(動)으로 예를 들면, 움직이는 것에는 움직이는 것(動), 두루 움직이는 것(遍動), 평등하게 움직이는 것(等遍動)이 있다. 동(動)은 단지 하나의 지역이 움직이는 것이며, 편동(遍動)은 하나의 사천하(四天下), 즉 하나의 태양과 하나의 달이 비추는 사대부주(四大部洲, 동승신주, 남섬부주, 서우화주, 북구로주)가 움직이는 것이고, 등편동(等遍動)은 삼천대천세계가 모두 움직이고, 모든 허공을 다하고 법계를 두루한 세계가 움직이는 것이다.
여섯 종류의 진동은 십주(十住), 십행(十行), 십회향(十回向), 십지(十地), 등각(等覺), 묘각(妙覺)을 말하며, 한 번 움직이는 것은 우리의 무명(無明)을 타파하는 것이다. 만약 우리가 이 여섯의 단계를 거치려고 한다면, 여섯 번의 무명을 타파해야 한다. 여섯 번 타파하는 것을 육종진동이라고 한다. 육종진동은 육근이 청정해지면 육근이 진동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눈의 공덕이 생하면 코의 번뇌가 소멸하고, 코의 공덕이 생하면 눈의 번뇌가 멸한다. 귀의 공덕이 생하면 혀의 번뇌가 멸하고, 혀의 공덕이 생하면 귀의 번뇌가 멸한다. 다른 근도 서로 공덕과 번뇌를 교류한다.
각각의 육근은 모두 공덕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각각의 공덕이 생할 때 번뇌는 멸하며, 번뇌가 생할 때 공덕은 멸하면서 서로 진동하는 것이다.
몸은 사방(四方)을 주관하며, 눈․귀․코․혀는 몸에 속하고, 뜻은 이 네 종류를 반편(半偏)하는 공능을 가지고 있다. 눈․귀․코․혀․몸․뜻의 육 근은 서로 도우기도 하고, 서로 결탁하여 못된 짓을 하기도 하여 우리의 법신을 지옥, 아귀, 축생의 삼악도로 데려가기도 하고, 우리를 도와서 부처를 이루게도 한다.
능엄경에서, 너를 지옥에 떨어지게 하는 것도 너의 육근이며, 부처를 이루게 하는 것도 다른 게 아니라 너의 육근이다. 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우치(愚痴)가 바로 지혜다. 라고 말하는데, 이것도 육근의 도리와 같은 것이다.
우리가 경을 많이 듣고 읽으면, 하나를 통하면 일체를 통하고, 하나를 깨달으면 일체를 깨닫게 된다.
"지성은 허공과 같아서(自性如虛空), 참됨과 허망함이 그 가운데 있네(眞妄在其中).
본래 도리를 철저하게 깨달으면(吾徹本來理), 하나를 통하면 일체를 통하네(一通一切通)" ㅡ 천석
於是阿難及諸大衆,俱聞十方微塵如來異口同音告阿難言:
“善哉,阿難!汝欲識知俱生無明,使汝輪轉生死結根,唯汝六根更無他物。
汝復欲知無上菩提,令汝速登安樂解脫寂靜妙常,亦汝六根更非他物。”
그 때 아난 존자와 대중들이 다 함께 시방의 제불 여래가 이구동음(異口同音)으로 아난 존자에게 하시는 말씀을 들었다.
“훌륭하다 아난아! 네가 구생무명(俱生無明, 근본무명)이 너로 하여금 윤회하게 하는 생사에 맺힌 근원을 알고자 한다면, 그것은 오직 너의 육근(六根)에 의한 것이지 다른 물건이 아니니라.
네가 다시 무상보리가 너로 하여금 해탈하여 편안하고 안락하게 하는, 고요하고 묘하고 항상한 적정묘상(寂靜妙常)을 속히 증득하는 방법을 알고자 한다면, 그 역시 너의 육근(六根)에 의해 이루는 것이지 다른 것으로 인하는 것이 아니니라.”
ㅡ이구동음(異口同音)은 제불이 생사에서 벗어나 보리를 증득함이 모두 이러한 요체(要諦)로 말미암아 이루어진 것임을 보여주는 것이고, 구생(俱生)이란 근본무명이다.
육근(六根)이 번뇌의 근본이다 중생이 윤회하는 원인은 무명(無明) 때문이고, 무명의 원인은 육근이고 깨달음도 역시 육근에 의지한다.
안락(安樂은 낙(樂), 해탈(解脫)은 아(我), 적정(寂靜)은 정(淨), 묘상(妙相)은 상(常)으로, 열반사덕(涅槃四德)의 상락아정(常樂我淨)을 말한다. 이 모두가 육근으로 인한 것으로, 육근에 의해서 번뇌가 생기고, 또한 육근을 의지해서 진심을 깨달을 수 있다.
육근으로 인해서 번뇌의 속박이 있고 또한 육근으로 말미암아 열반을 얻을 수 있다.
육근의 결박이 생사윤회(生死輪廻)이고 육근에서 벗어나는 것이 안락묘상(安樂妙常)인 것이다.